잘못된 온라인 육아 정보 21 잘못된 온라인 육아 정보 21 베스트베이비 | 입력 2010.12.10 09:07 요즘은 언제 어디서나 간단한 검색으로 다양한 육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카페나 블로그 등의 많은 육아 정보 중 검증되지 않은 잘못된 정보도 적지 않다. 인구보건복지협회에서 알려준 잘못된 온라인 육아 정보들을 각 분야의 전.. 보건관 2010.12.10
모과의 효능과 얽힌이야기 모과의 효능과 얽힌이야기 옛날부터 떠도는 말이 모과를 보면 4번 놀란다고 하는 말이 있다. 첫 번째는 못생긴 모과의 모습에 놀라고, 두 번째는 잘 익은 모과의 향기에 놀라고, 세 번째는 모과의 시금털털한 맛에 놀라고, 네 번째는 약재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모과의 효능에 놀란다는 것이다. 우리가 .. 보건관 2010.12.06
<속설많은 탈모치료 오해와 진실> <속설많은 탈모치료 오해와 진실> 연합뉴스 | 입력 2010.11.26 06:14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탈모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05년 500만명 수준이던 탈모인구가 2010년 현재 1천만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젊은 탈모인구의 증가세는 더욱 두드러지는데, 지난해 발.. 보건관 2010.11.26
“암보다 더 무서운 당뇨” “암보다 더 무서운 당뇨” 아시아경제 | 강경훈 | 입력 2010.11.02 11:07 전문가들 亞 전염병 수준 印 2025년 환자 7000만명 초기 집중치료, 비용절감·합병증 예방효과 높아 사회는 '암'을 이야기하지만 전문가들은 '당뇨'를 말한다. 머잖아 당뇨로 인한 인간들의 '재앙'이 일어날 것이란 다소 '과격한' 표현도.. 보건관 2010.11.02
수면마취제 '프로포폴' 불법시술 무더기 적발 수면마취제 '프로포폴' 불법시술 무더기 적발 입력시간 : 2010-09-19 09:08 [앵커멘트] 환각 효과가 있는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을 불법으로 시술하고 억대의 수익을 챙긴 병원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적발됐습니다. 마약못지 않게 중독성도 강해 피해가 확산되고 있고 내년부터는 투약자도 마약사범으로 처.. 보건관 2010.09.21
식약청 "낙지머리 먹어도 된다"...위해성 논란 식약청 "낙지머리 먹어도 된다"...위해성 논란 입력시간 : 2010-09-14 19:57 [앵커멘트] 낙지나 문어의 내장에 다량의 중금속이 포함돼 있다는 서울시 발표에 낙지 전문점들이 그야말로 된서리를 맞고 있습니다. 하지만 식품안전을 총괄하는 식약청은 특정 부위에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이 포함돼 있더라도 .. 보건관 2010.09.18
"술 안마시면 일찍 죽는다"...학술논문 '충격' "술 안마시면 일찍 죽는다"...학술논문 '충격' 헤럴드경제 | 입력 2010.09.05 10:42 폭음하는 사람이 술을 입에 대지 않는 사람보다 더 오래 산다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에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스탠퍼드대와 텍사스 주립대학(오스틴) 연구팀은 최근 '알코올중독: 임상실험연구' 학회보에 논문을 발표, 지난 2.. 보건관 2010.09.05
보행감과 생체부담 보행감과 생체부담 보행감과 생체부담 주거환경은 생활양식에 따라 크게 다르다. 우리는 조상 때부터 온돌문화의 좌식생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와 달리 집안에서 신발을 벗고 살아가는 생활습관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신체가 직접 바닥재료와 밀접해 있기 때문에 바닥재료가 신체에 .. 보건관 2010.08.25
여름철 냄새고민, 해결책은? [기획] 여름철 냄새고민, 해결책은?③ 매일경제 | 입력 2010.07.24 01:27 직장인 김씨는 핸섬한 외모에 유머 있는 말투 덕분에 주변 사람들에게 인기만점이다. 그러나 김씨에게는 한 가지 눈에 띄는 습관이 있다. 말을 할 때마다 입을 가리는 것이다. 지인으로부터 입냄새가 심하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김씨는.. 보건관 2010.07.24
피로엔 돼지고기, 숙취엔 꽁치 드세요 피로엔 돼지고기, 숙취엔 꽁치 드세요 비타민B 종류와 기능 B2 결핍 땐 피부 염증… 우유·치즈 등 섭취 엽산 보충제 복용, 중년 남성 건강에 도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 중 하나가 비타민B2로 권장량 대비 섭취 비율이 82.5%에 불과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섭.. 보건관 201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