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엔 돼지고기, 숙취엔 꽁치 드세요
비타민B 종류와 기능
B2 결핍 땐 피부 염증… 우유·치즈 등 섭취
엽산 보충제 복용, 중년 남성 건강에 도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 중 하나가 비타민B2로 권장량 대비 섭취 비율이 82.5%에 불과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섭취율이 52.6%로 그 정도가 심했다.
여성의 경우 비타민B2뿐만 아니라 비타민B3도 91.3%로 섭취량이 부족했다.
나이가 들수록 비타민B군의 섭취는 더 줄었다.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50~64세, 65~74세, 75세 이상 노인의 영양상태를 조사했더니
나이가 들수록 비타민B1, B2, B3 섭취율이 감소했다.
비타민B군이 결핍됐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그리고 풍부한 음식을 정리했다.
■정력 되찾는 비타민B1
비타민B1은 '피곤하다' '힘이 없다'는 남성이 주목해야 할 영양소다.
비타민B1은 탄수화물을 비롯한 체내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데
필요량보다 부족하면 근육에 피로물질인 젖산이 쌓이면서 쉽게 피로하고 초조해진다.
결핍이 지속되면 식욕부진, 소화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정력 감퇴, 체중 감소까지 초래한다.
-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spphoto@chosun.com·조선일보 DB
-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spphoto@chosun.com·조선일보 DB
- 비타민B1은 돼지고기를 포함한 육류, 콩, 고등어에 많다.
-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사용하는 방사선에 가장 민감한 영양소이므로
- 가공식품보다 신선한 식품 그대로 섭취해야 한다.
- 한국영양학회지에 따르면 쇠고기에 방사선을 조사했더니
- 비타민B1이 60~70% 손실됐고, 고등어는 50~65%가 손실됐다.
비타민B1이 가장 풍부한 식품은 돼지고기. - 삶았을 때 가장 함량이 높다.
- 또 쌀겨, 시금치, 마늘, 부추, 파, 양파에 많이 함유됐다.
- 그러나 비타민B1이 풍부한 식품을 커피나 차와 함께 섭취하면 비타민B1의 활성이 떨어진다.
■'피부미남' 만드는 비타민B2
비타민B2는 건강한 피부, 손톱, 발톱, 머리털을 만드는 효능이 있다. - 비타민B2는 성장과 세포 재생을 돕는 촉매 역할을 하는데 시력 증진과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
- 입 안이 헐거나 입술·혀의 염증도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 비타민B2가 결핍되면 피부와 생식기 염증, 구강과 입술이 허는 구강염이나 구순염이 생기기 쉽다.
- 극단적인 채식주의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 환자, 간 질환자, 노인과 청소년에게 비타민B2 결핍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우유는 비타민B2가 가장 풍부한 식품으로 가열하지 않고 그냥 먹는 것이 좋다. - 산소와 빛에 노출됐을 때도 쉽게 파괴되므로 우유 등을 불투명 재질에 보관해야 빛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다.
- 콩, 생선껍질, 치즈, 달걀, 간 등에도 비타민B2가 풍부하다.
■술 안주로 좋은 비타민B3·B6
비타민B3가 부족하면 - 피부병의 일종인 펠라그라병, 소화관 점막의 염증, 구토, 변비, 설사, 소화관 장애, 우울증, 무감각, 두통, 피로,
- 기억상실과 같은 신경계 장애를 나타낸다.
- 알코올 중독자, 만성설사로 인한 흡수장애, 일부 크론병 환자는 심각한 비타민B3 결핍증을 나타낸다.
-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은 일반적인 식사를 한다면 비타민B3 결핍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다만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비타민B3 보충에 신경을 써야 한다.
- 알코올 섭취 후 숙취를 유발하는 아세트 알데히드 분해를 돕기 때문이다.
- 술을 평소의 양 정도만 마셨는데도 심하게 취한다면 비타민B3 부족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꽁치나 고등어 등 생선, 간, 살코기에 풍부하므로 이들을 안주로 먹으면 좋다. - 말린 버섯에도 비타민B3가 풍부하다.
- 버섯은 볶는 조리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고, 물에 잘 녹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육수를 내먹는 것도 괜찮다.
비타민B6가 결핍되면 - 야간 근육경련, 다리 경련이나 팔다리 신경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 비타민B6가 풍부한 식품은 바나나, 해바라기 씨 등이다.
- 육류, 생선류, 가금류 등 동물성 식품에도 풍부하다.
- 반면 유제품은 상대적으로 비타민B6의 함량이 적다.
■빈혈 예방엔 비타민B9(엽산)
엽산이 부족하면 빈혈이 나타난다. - 엽산이 결핍될 때 나타나는 빈혈은 허약감, 피로, 불안정, 가슴이 두근거림 등의 증세를 동반한다.
- 체력이 달리고 심한 피로를 느끼는 중년 남성은 엽산 보충제를 꾸준히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998년부터 모든 곡물 가공품에 엽산을 첨가하도록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 엽산은 산화돼 파괴되기 쉬운 영양소여서 식품을 조리·가공하는 과정에서 50~90%까지 파괴될 수 있다.
- 엽산은 대두, 녹두, 시금치, 쑥갓, 김, 다시마, 김치에 풍부하다.
- 또한 한 컵의 오렌지 주스(엽산 약 100㎍)로 권장량의 4분의1을 섭취할 수 있다.
2008.12.02 16:20 입력 / 2008.12.02 17:38 수정
-
-
/ 정시욱 헬스조선 기자 sujung@chosun.com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lks@chosun.com
도움말=조비룡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여에스더 에스더클리닉 원장
'보건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행감과 생체부담 (0) | 2010.08.25 |
---|---|
여름철 냄새고민, 해결책은? (0) | 2010.07.24 |
만나면 독 되는 식품 베스트10 (0) | 2010.07.12 |
된장찌개가 암 일으킬 수도 있다? (0) | 2010.07.11 |
죽음에 이르는 ‘소금 중독’ (0) | 201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