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누르기'가 능사? 더 큰 피해로 이어질수도
SBS | 박민하 | 입력 2011.02.17 21:20
< 8뉴스 >
< 앵커 >
이와 관련해 어제(16일) 서울우유가 업소용 우유 값을 대폭 올리려다
정부의 압박으로 4시간만에 철회하는 해프닝이 있었는데,
이런 방식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죠.
이렇게 하는 게 가장 쉬운 길이기는 합니다만,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민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서울우유가 최근 제빵업체와 커피전문점 등에 보낸 공문입니다.
우유 납품가격을 평균 50%, 최고 66% 올리겠다는 내용입니다.
[서울우유 관계자 :
급식우유 확보를 하고 가정배달이나 시중에서 마시는 우유의
수급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면 되지 않기 때문에…]
하지만 어제 오후 늦게 서울우유 관계자가 농림부에 불려갔다 온 직후 없던 일이 됐습니다.
원당 가격이 급등했지만, 정부 눈치 보느라 원가 반영을 못하는 제당업체들도 한계에 이르렀습니다.
[이열근/제당업체 부장 :
현재의 원재료 시세나 환율을 감안했을 경우 상반기 안에 최소 500억 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됩니다.]
인위적 가격 억제는 정부 대책의 실효성마저 떨어뜨립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이후 국내 설탕 값 안정을 위해 설탕 완제품의 수입관세를 없앴습니다.
하지만, 그 사이 국제 설탕 가격이 올라 거꾸로 국내 설탕 값이 더 싸지는 엉뚱한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정부 통제로 눌렸던 가격이 일시에 폭발하면 나중에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조성봉/한국경제연구원 기업연구실장 :
가계 부채의 어려움도 있고 수출 업체의 어려움도 있겠지만,
금리를 올리고 환율 하락을 용인하는 것과 같은 거시정책 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가격 기능은 살리면서, 불합리한 유통구조 등 제도적 개선에 치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 영상편집 : 오노영)
박민하 mhpark@sbs.co.kr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겨울 눈 대신 '모래폭풍' 부는 어촌마을 (0) | 2011.02.19 |
---|---|
불법 수사지휘 논란‥법무부 장관 개입했나 (0) | 2011.02.19 |
대전 ‘구제역 매몰’도 과학도시답네 (0) | 2011.02.18 |
김정일 아들 3형제...'형제의 난' 가능성은? (0) | 2011.02.16 |
바이러스 유입 헛짚고 애먼 축산농에 책임전가 (0) | 201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