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키운 ‘단지’ 놔두고 다른 곳 운운 말이 되나”
르포 - 뒤숭숭한 대덕연구단지
연구기관 밀집 ‘시너지’… 국가 미래 위해 최적지
경향신문 | 윤희일 기자
입력 2011.01.20 21:51 | 수정 2011.01.20 22:24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 얘기는 꺼낼 필요도 없습니다.
이건 공약의 문제 이전에 당위성의 문제이니까요.
40년 동안 키워온 대덕연구단지(현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놔두고
다른 곳에 과학비즈니스벨트를 만든다는 것이 말이나 되는 얘기냐고요."
20일 오후 2시 대전 유성구 덕진동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대덕원자력포럼 사무실을 지키고 있던 대덕원자력포럼 장인순 회장(전 원자력원구원 원장)은
대뜸 목소리부터 높였다.
"다른 지역은 이제 기초연구를 하는 단계이고
대덕연구개발특구는 그동안의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응용연구를 하는 단계입니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있는 곳에 과학과 비즈니스가 연계된 과학벨트를 만들어야만
우리나라의 20~30년 후의 먹을거리를 만들 수 있는 겁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도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대덕연구개발특구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과학벨트는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는 충청권으로 들어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안종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화학생물연구센터장도
"각종 연구결과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국가의 중추 연구기능이 몰려 있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쪽으로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부분의 다른 연구원들도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발전과 이를 통한 산업화를 위해서는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원로 과학인인 박화영 전 기계연구원장도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역설했다.
연구원 이모씨(38)는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공약이 파기될 위기에 놓였다는 소식을 들은 지자체들이
하이에나처럼 몰려든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국가의 백년대계를 생각하면 참으로 가슴 아픈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나 정치권이 국가의 미래를 위해 과학벨트의 입지를 정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벨트 유치에 나선 다른 지역들이 대학의 연구소를 인프라라고 내세우고 있는데
대학은 기초연구를 하는 곳이지 상품화를 연구하는 곳이 아니다"라며
"연구결과의 상품화가 가능한 대덕연구개발특구야말로 과학벨트의 최적지"라고 말했다.
한편 대덕특구인쇄출판산업단지추진조합 등 대덕특구 내 일부 단체들은
최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요구하는 집회를 여는 등 실력행사에 나서기도 했다.
< 윤희일 기자 yhi@kyunghyang.com >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적, 한국에 보복?…"앞으로 선원 죽일것" 협박 (0) | 2011.01.24 |
---|---|
피랍 100여일…'금미 305호' 선원들은 어떻게? (0) | 2011.01.21 |
"박정희 前대통령 군사독재의 원흉" (0) | 2011.01.21 |
<美·中 정상회담>450억$ ‘통큰 선물’ 中 돈보따리 풀어 ‘환율 입막음' (0) | 2011.01.20 |
30년 영욕의 `대우자동차`..이제 역사속으로~ (0) | 201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