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관 2788

난방비 대란 속 1억 넘게 아낀 농가... '소똥'이 효자였다

https://v.daum.net/v/20230214160102433 난방비 대란 속 1억 넘게 아낀 농가... '소똥'이 효자였다 변태섭 입력 2023. 2. 14. 16:01 수정 2023. 2. 14. 16:10 가축 분뇨로 만든 고체연로 태워 게티이미지뱅크 충남 청양군에서 시설하우스를 운영하는 토마토 재배 농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까지 1억4,000만 원의 난방비 (등유 약 9,000L)를 아꼈다. 토마토 수확 시기도 10일 이상 빨라졌고 품질·생산량도 향상됐다. 이 농가가 ‘난방비 충격’에서 자유로운 건 인근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을 운영하는 농업법인 칠성에너지에서 난방용 온수를 공급받고 있어서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원한 해당 시설은 연간 5만7,000톤의 가축분뇨와 2만5,000톤의 음폐수..

사회관 2023.02.15

이재명 11시간 조사.. "새 증거 없어"

https://v.daum.net/v/20230211121010699 이재명 11시간 조사.. "새 증거 없어" 김상훈 입력 2023. 2. 11. 12:10 [정오뉴스] ◀ 앵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위례·대장동 사업과 관련한 두 번째 소환 조사를 마치고 어젯밤 귀가했습니다. 11시간 동안 이뤄진 조사에선 기존에 제출한 진술서로 갈음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김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소환 11시간 만인 어제 밤 10시 40분쯤 검찰청사를 빠져나왔습니다. 기다리던 취재진에겐 왜 또 불렀는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새로 제시된 증거도 없고 검찰에 포획된 대장동 관련자들의 번복된 진술 말고는 아무런 근거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사회관 2023.02.12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 "이대로 가면 원전 18기 올스톱"

https://v.daum.net/v/20230210181105663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 "이대로 가면 원전 18기 올스톱" 김소현 입력 2023. 2. 10. 18:11 수정 2023. 2. 10. 18:32 7~9년 뒤 원전 18기 멈출 판 핵폐기물법은 국회 '낮잠' 빨라진 저장시설 포화 시점 원전 활용 늘며 1~2년 앞당겨져 한빛·한울·고리 등 포화 위기 사진=연합뉴스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이 2030년부터 차례로 가득 찰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7~9년 뒤 원전 18기가 저장시설 포화로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을 짓기 위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특별법의 국회 처리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사회관 2023.02.10

국회, 이상민 장관 탄핵소추안 가결

https://v.daum.net/v/20230208152510483 국회, 이상민 장관 탄핵소추안 가결 조미덥·신주영 기자 입력 2023. 2. 8. 15:25 수정 2023. 2. 8. 15:40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책임 물어 출석 의원 293명 중 179명 찬성 헌정 사상 첫 국무위원 탄핵소추 이상민, 소추의결서 송달 받고 헌재 결정 나올 때까지 직무 정지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8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의 법사위 회부 동의 제안설명을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국회가 8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의 책임을 물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가결했다. 국무위원 탄핵소추는 헌정 사상 처음이다. 국회는 이날 출석 의원 293명 중 179명 찬성으로 ..

사회관 2023.02.08

“책임 못다한 이가 뻔뻔하게 고개 쳐들고”...

https://v.daum.net/v/FC7hag2m3N “책임 못다한 이가 뻔뻔하게 고개 쳐들고”... 눈물과 분노 속 국회 이태원 참사 추모제 문광호 기자 입력 2023. 2. 5. 15:06 수정 2023. 2. 5. 15:14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국회 추모제에서 추모사를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우리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지 못한 이들이 뻔뻔하게 고개를 쳐들고 큰 잘못이 없는 것처럼 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민김종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 사제는 5일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영정 사진을 바라보며 이 같이 말했다. 여야 지도부 등 국회의원들이 참석한 장내는 숙연해졌다. 몇몇 유족과 생존자들은 눈물을 훔쳤다. 국회 이..

사회관 2023.02.05

“이태원 골목에 기름 뿌려”... 의원들 폰에도 퍼지는 ‘독버섯’

https://v.daum.net/v/20230131000306945 “이태원 골목에 기름 뿌려”... 의원들 폰에도 퍼지는 ‘독버섯’ 정당팀 입력 2023. 1. 31. 00:03 [한국정치, ‘3대 늪’에서 벗어나자] 가짜뉴스 가짜뉴스는 한국 정치의 대표적 암이다. 가짜뉴스들은 카카오톡과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해 확산된다. 우리 사회에서 음모론이 판치는 배경이다. 양극단의 지지자들은 가짜뉴스를 신봉하면서 정상적인 정보의 유통과 토론을 방해한다. 국회의원들도 쏟아지는 가짜뉴스에 신음하는 것이 현실이다. 국민일보는 여야 두 초선의원의 동의를 받아 이들이 각각 속해 있는 단톡방 4개를 선정해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일주일 동안 단톡방에 올라온 가짜뉴스들을 분석했다. 이 기간 동안 가짜뉴스로 판정된 허위..

사회관 2023.01.31

난방비 폭탄 누구 탓인가... “문재인 탓” vs “윤석열의 배신”

https://v.daum.net/v/20230128142502993 난방비 폭탄 누구 탓인가... “문재인 탓” vs “윤석열의 배신” 신성철 입력 2023. 1. 28. 14:25 수정 2023. 1. 28. 16:57 시사 18초│8화 난방비 '폭탄' 원인과 대책은? 문성호 국민의힘 대변인 이경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무엇이든 짧고 재밌어야 많이 보는 시대. 시사 대담도 예외는 아닙니다. 세계일보 영상팀은 트위터에서 재미의 영감을 얻어왔습니다. 트위터의 140자 제한 덕분에 이용자들은 간결하면서 힘 있는 글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140자를 소리 내면서 읽으면 약 18초가 걸립니다. 시사 대담에서도 패널 발언을 18초로 제한한다면 어떨까요? 나아가 시간제한이 9초, 5초, 2초로 점점 줄면 더 재밌..

사회관 2023.01.28

시베리아발 '한파 고속도로' 뚫렸다... '극과 극' 날씨 이유는?

https://v.daum.net/v/20230124201707397 시베리아발 '한파 고속도로' 뚫렸다... '극과 극' 날씨 이유는? 윤영탁 기자 입력 2023. 1. 24. 20:17 [앵커] 이렇게까지 추운 날씨가 찾아온 건 시베리아 찬공기를 막고 있던 문이 활짝 열렸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기압 배치까지 더해지면서 그야말로 찬공기가 바로 내려오는 고속도로가 생겼습니다. 윤영탁 기자가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오늘 북반구의 최저기온 그래픽입니다. 북극에서 시베리아, 중국 북동부를 거쳐 한반도까지 영하 20도를 훌쩍 넘는 보라색 구역이 이어져 내려옵니다. 제트기류를 나타낸 그래픽과 겹쳐봤더니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시베리아에서 직배송 된 냉동실 한파인 겁니다. 이번엔 바람의 흐름을 보겠습니다...

사회관 2023.01.24

“제발 우리집 좀 지어주세요”… 공사비 인플레 날벼락 맞은 재건축

https://v.daum.net/v/20230117210046786 “제발 우리집 좀 지어주세요”… 공사비 인플레 날벼락 맞은 재건축 입력 2023. 1. 17. 21:00 남성아파트 1년째 시공사 선정 중 청량리6구역·청량리 8구역·신당 8구역도 시공사 선정에 애 먹어 “1년 사이 공사비 25% 올라” 적정 공사비 액수 놓고 시공사와 조합간 온도차 커 영등포구 문래동 남성아파트. [서영상 기자] #. 서울시 영등포구 남성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시공사를 찾는데 1년째 애를 먹고 있다. 재건축사업 시공사 선정을 위해 지난 13일을 마감으로 입찰공고를 냈지만 롯데건설 단 한 곳만 입찰에 참여했다. 입찰공고만 작년 초부터 시작해 이번이 4번째다. 앞서 두번은 무응찰, 이 후 두번은 롯데건설만 단독 입찰했다. 경..

사회관 2023.01.18

주민등록 인구 3년 연속 감소… '나홀로 가구' 1천만 눈앞

https://v.daum.net/v/20230115120016147 주민등록 인구 3년 연속 감소…'나홀로 가구' 1천만 눈앞 계승현 입력 2023. 1. 15. 12:00 수정 2023. 1. 15. 16:19 작년 인구 19만9천여명 줄어… 세대원수 2.17명 역대 최저남녀 인구 격차 최대… 여자 20%가 65세 이상 고령층 1인 가구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에도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세대는 증가세가 이어져 1천만 세대 돌파를 앞두고 있으며, 여성 고령인구 비중이 처음으로 20%를 넘었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5천143만9천38명으로, 2021년(5천163만8천809명)보다 19만9천771명(-0..

사회관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