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831211827682
100년 전 참상 고스란히...
당시 학생들이 본 ‘조선인 학살’
박원기 입력 2023. 8. 31. 21:18 수정 2023. 8. 31. 22:44
[앵커]
일본 관동 지방,
그러니까 간토에서 규모 7.9의 큰 지진이 난 지
내일(1일)이면 꼭 100년입니다.
10만 명 넘게 숨지는 혼란 속에
수많은 조선인들이 억울하게 희생됐습니다.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
'불을 지른다'는 식의 유언비어가 퍼지면서,
일본 경찰과 자경단원 등이 무차별 학살에 나섰는데
아직 희생자 수조차 제대로 파악이 안 됩니다.
일본 정부는
진상 규명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KBS가 100년 전 참상의 기록을 새로 발굴했습니다.
당시 일본의 10대 청소년들이 직접 보고 겪은 내용을
손으로 적은 자료입니다.
도쿄 박원기 특파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1923년 9월 1일,
일본의 수도권, '간토' 지역을 강타한 지진으로
당시 일본 사회는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지진이 발생한지 약 한 달 뒤,
이 일본 학교 중등부는 학생들에게
지진 당시의 참상과 피해를 보고 겪은대로 쓰게
했습니다.
육필로 작성된 기록에는
조선인과 유언비어에 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합니다.
'조선인 3천 명이 화약고를 습격한다'는 말에
'여자 아이가 도망쳐 왔다'는데,
결국, '조선인 같은 사람은 한 사람도 오지 않았다'고
썼습니다.
[히로세 유이치/부산대박물관 특별연구원 :
"(간토대지진 당시) 유언비어에
매우 현혹된 모습이 있고, 무슨 일이 있었는지
어떤 것을 봤는지 생생하게 들어 있어요."]
주변이 다 타버린 길가엔
조선인의 시체가 여기저기' 널렸고,
'조선인에 대한 '압박, 감금, 학살이 도처에서 행해졌다'고
적혀 있습니다.
이를 두고
일본이 '야만의 시대를 재현했다'며 탄식하기도 합니다.
당시 조직된 자경단은
조선인뿐 아니라 같은 일본 사람에게도
공포의 대상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자경단원들이 조선인인줄 알고 잔혹하게 폭행했는데,
경찰이 조사했더니 일본인으로 드러나 입을 다물지 못했다는
내용도 나옵니다.
만 12살에서 16살까지.10대 학생 617명이
자필로 쓴 14권 분량의 책 이름은
'지진을 기록했다'는 의미의 '진재기'입니다.
[김문길/한일문화연구소장/'진재기' 발굴 :
"사실에 입각해서, 지난 과거의 잘못은 이야기하고
(한일 관계가) 전진해 나가는 그런 입장을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간토대지진 당시 자행된 조선인 학살.
때묻지 않은, 백년 전 당시 일본의 10대 학생들의 눈에도
그것은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원기입니다.
촬영:안병욱/영상편집:이웅/그래픽:채상우
/자료조사:문종원 박원기 기자
(remember@kbs.co.kr)
------------------------------
https://v.daum.net/v/20230831210016348
“학살당한 자국민 추모조차 안 하는 정부를 신뢰하겠나”
박용하 기자 입력 2023. 8. 31. 21:00 수정 2023. 8. 31. 23:15
진상규명에 40년, 일 시민단체 ‘호센카’ 니시자키 이사
“일 정부 학살 자료 은폐 급급 양국 협력 이뤄지지 않을 듯
젊은 세대에게 정보 제공 등 시민단체들이 나설 수밖에”
대학생 때 선배의 제안으로 ‘희생자 유골’ 발굴 시작 계기
증거 좇고 추모 활동에 몰두
그날의 흔적 펼쳐 보이며…
일본 시민단체 ‘호센카’의 니시자키 마사오 이사가
지난 6월21일 간토대학살 당시 희생자들이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도쿄 스미다구 아라카와 강변을 검사들이 둘러보는 사진(왼쪽)과
희생자 기족들이 방문하는 사진을 들어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40년.
일본 시민단체 ‘호센카’(봉선화)의 니시자키 마사오 이사(64)가
간토대학살 진상규명을 위해 일해온 기간이다.
그가 생면부지의 조선인들을 위한 활동에 투신하게 된 것은
대학 4학년이던 1982년 ‘도쿄 아라카와 강변에 묻혀 있는
희생자들 유골을 발굴해보자’는 선배의 제안이 계기가 됐다.
어린 시절 자주 놀던 아름다운 강변이
끔찍한 학살이 자행된 곳이었다는 사실은
그의 삶을 바꿔놓을 정도로 충격이었다.
니시자키 이사는
지금까지 대학살의 흔적을 좇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활동에 투신해왔다.
추도비 건립 사업에 전념하기 위해
중학교 교사직까지 그만두고,
극우단체의 추도비 공격을 우려해
그 옆에서 7년 넘게 생활하기도 했다.
2016년에는
대학살에 대한 1100건의 증언을 모은 자료집을 펴냈다.
그는
책임을 회피하는 일본 정부를 움직이려면
일본의 젊은 세대에게 역사의 진실을 알리는 노력이
줄기차게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지난 29일 e메일을 통해 이뤄진 인터뷰 전문.
- 왜 간토대학살 문제에 집중하게 됐나.
“간토대학살은
재난 가운데 많은 사람의 목숨을 일방적으로 앗아간
끔찍한 사건이다.
당시 화재가 심했던 도쿄 아사쿠사나 쓰키시마 등에선
조선인을 불태워 살해하기도 했고,
오시마 등에서는 조선인 여성의 음부에 죽창을 찌르는
잔혹한 사건도 있었다.
일본에선 계속 숨겨져왔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인데도
나 역시 이를 전혀 몰랐다.
그 문제를 알았을 때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고,
진실을 찾아볼 수밖에 없었다.”
- 진상규명 활동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대지진 당시 일본 정부에 의해
사건이 철저히 은폐됐기 때문에 남겨진 공적 사료가
거의 없다.
현재까지도 희생자 수, 희생자 성명, 유골의 행방 등
중요한 정보를 거의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고 싶어도
공적 사료가 남아 있지 않거나 숨겨져 있다는 점이
가장 힘들었다.”
- 일본 정부는 대학살 증거나 자료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거짓말이다.
학살 증거나 사료들이 방위성 방위연구소나
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 등에 보존돼 있다는 사실이
그간 밝혀진 바 있다.”
- 자료가 공개되면 어떤 점들을 밝힐 수 있을까.
“희생자 수나 성명, 유골의 행방 등이 일정 정도
밝혀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육친 소식을 궁금해하는 유족들이 아직도 있다.
적어도 그들은 이 같은 사실을 알 권리가 있다.”
- 한국 정부의 진상규명 노력은 충분하다고 보나.
“함께 활동하는 재일교포들은 하고 싶은 말이 많을 것이다.
자국민이 학살당한 사건을 조사하고 추모하지 않는 정부는
신뢰할 수 없다고 본다.”
- 한·일 간 진상규명 협력도 가능할까.
“한·일 간 협력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학살 책임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일본 정부이기에
진상규명에 협조할 리 없다.”
- 많은 일본인들이 이 문제를 알지 못하는 이유는.
“일본 정부가 의도적으로 간토대학살 문제를
알리지 못하도록 해왔기에 국민들은 모를 수밖에 없다.
교과서 등을 봐도 간토대학살에 관한 기술은 미흡하고
학생들은 진실을 알기 힘든 상황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조선인이 흉악한 범죄를 저질렀고,
자경단이 죽인 것은 정당방위였다’는
일부 우익 누리꾼들의 논조가 힘을 얻고 있다.”
- 간토대학살은
그간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문제보다 관심이 적은 측면도 있었다.
“일제강점기보다 이른 시기에 간토 지방에 한정해서 일어나
한반도까지 정보가 전해지기 힘들었던 것 아닐까 한다.
한국에선 거의 사료를 찾아볼 수 없고 연구도 진행되지 않았다.
기본적 사실에 대한 규명이 이뤄지지 않았기에
한국 정부도 대응하기 힘들었을 것이라 추측한다.
반면 일본 정부는 식민지 지배 책임을 다할 의사가 없기에
사건의 은폐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재일 한국인들에 대한 편견과 폭력은 어떤 상황인가.
“현재도 증오 시위나 헤이트 스피치는 태연히 이뤄지고 있다.
단순한 협박에 그치지 않는다. 교토 우토로의 방화도 있지 않았나.
‘헤이트 스피치 해소법’이 생겼지만
벌칙 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없다.
집권여당의 태도도 문제다.
일본 사회가 혐오 발언을 규제하려는 노력을 해왔다지만,
여당은 줄곧 그 반대의 움직임을 보여왔다.”
- 향후 활동에선 어떤 측면에 중점을 둘 생각인가.
“일본 정부나 도쿄도 등이 적극 이 문제를 조사해
관련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생각하기 힘든 일이기에,
우리 같은 시민단체들이 줄기차게 활동할 수밖에 없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 얼마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https://v.daum.net/v/20230901195216524
일본 정부, 이 와중에 과거사 왜곡...
관동대학살 기록 없다?
이준범 입력 2023. 9. 1. 19:52
https://v.daum.net/v/20230901232004232
간토학살 100년, 일본 정부 ‘외면’ 속 추모 분위기...
“진상 규명해야”
지종익 입력 2023. 9. 1. 23:20
----------------------------------
https://v.daum.net/v/20230831194317161
‘N●재팬’ 외치는 중국... 일본 몰려가는 한국
KBS 지역국 입력 2023. 8. 31. 19:43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 신형 ICBM '사르마트' 실전 배치... "전투 임무 투입" (0) | 2023.09.02 |
---|---|
홍범도에 박정희까지... 이념논쟁의 시작은 누구에서인가? (0) | 2023.09.01 |
‘생존 위험’ 시속 200km 허리케인 이달리아 플로리다 관통 (0) | 2023.08.31 |
미국 전문가 "북한 핵보유는 한반도서 미국과 중국 경쟁 멀어지는 역할" (0) | 2023.08.31 |
원전 오염수 불안 확산...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다? (1)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