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712143231688
한국, 세계 10위 경제대국서 밀려났다...
강달러·성장부진에 13위
세종=유재희 기자 입력 2023. 7. 12. 14:32
(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2023.2.2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가
세계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년 동안은 10대 경제대국 반열에 올랐지만
글로벌 강달러로 인한 원화 가치 하락과 성장 부진 탓에
13위까지 내려왔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시장환율을 적용한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조6733억달러로
세계 13위 수준으로 추정됐다.
미국이 25조4627억달러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이 17조8760억달러로 G2(주요 2개국) 지위를
유지했다.
세계 3위는 일본(4조2256억달러),
4~5위는 독일(4조752억달러), 영국(3조798억달러)이었다.
그 뒤를
△인도(3조96억달러) △프랑스(2조7791억달러)
△캐나다(2조1436억달러) △러시아(2조503억달러)
△이탈리아(2조105억달러) 등이 이었다.
우리나라는
2021년만 해도 명목GDP 1조8109억달러의 10위
경제 대국이었다.
당시에는
11위 러시아(1조7787억달러),
12위 호주(1조7345억달러),
13위 브라질(1조6089억달러)을 제쳤지만
올해는 추월당했다.
러시아(9위), 브라질(11위), 호주(12위) 등이
우리나라를 앞섰다.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 감소는
원화 가치 하락 때문으로 풀이된다.
원화를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의 작년 명목 GDP는
2161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9% 증가했다.
하지만 달러를 기준으로 했을 땐
환율이 12.9% 급등한 탓에 7.9% 감소했다.
이번에 우리나라를 앞서간 러시아·호주·브라질 등
3개국의 경우
자원 부국인 덕분에 원자재 가격 상승이
자국 통화 가치를 방어하는 효과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도 우리나라가 다시 10위권으로 진입하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1%대 초중반으로 전망되는 데다
글로벌 강달러 현상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4월 전망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GDP는 1조7200억달러로
세계 12위에 오를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1조71000억달러)는 추월하지만
브라질(2조800억달러), 러시아(2조600억달러)에 못 미친다.
우리나라가 처음 세계 10위 경제 대국이 된 것은
2005년이었다.
이후 10위 안에 들지 못하다가 2018년에 다시 들었으며
2019년에는 두 계단 미끄러져 12위를 기록했다.
그러다가 2020년과 2021년에 2년 연속 10위를 차지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케이지
할 줄 아는 것이라곤 압색ㆍ구속밖에 없는
머리 빈 정신나간 인간과 그 마누라가 설쳐대며
미국ㆍ일본에 꼬리치느라
국익도 국격도 다 가져다 바친 것치고는 선방했네
googol
대국 같은소리하고 있네
ㆍ일인당 국민소득은 세계 ㅣ36 위 수준이여
이제그만내려오자
이게 끝이 아닌데!!
향후 몇년간은 올라갈일은 없을것이고
다음에 올 정부는 아마도 엄청난 외교적 과제와
국가산업의 체질개선 때문에 수많은 시간을 할애해야할것이다.
지금은 아주 조금만 보여준것이다.
앞으로 대한민국은 많은 경쟁력을 잃어갈 것이고
멍청한 이념외교에 경제는 죽어갈것이고 죽을것이다.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천 년에 한 번 쏟아질 폭우, 싼샤댐 22개 수증기 풀렸다 (0) | 2023.07.15 |
---|---|
'미국 턱밑' 쿠바에 러시아 군함... 냉전시절 공생관계 복원중 (0) | 2023.07.14 |
러 국방 "우크라에 집속탄 지원하면 우리도 유사 무기 쓸 것" (0) | 2023.07.12 |
태도국이 한국 걱정... IAEA는 "일본에 물어라" (0) | 2023.07.11 |
바이든 “우크라 나토 가입은 시기상조... 전쟁 끝나야 가능”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