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715203716367
1천 년에 한 번 쏟아질 폭우,
싼샤댐 22개 수증기 풀렸다
현인아 입력 2023. 7. 15. 20:37 수정 2023. 7. 15. 20:40
[뉴스데스크]
◀ 앵커 ▶
어제와 오늘 극강의 폭우가 쏟아진 곳이 있습니다.
충남 청양에 무려 500mm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졌는데요.
이 비를 분석해 봤더니
확률적으로 약 1천 년에 한 번 쏟아질 법한 폭우였다고 합니다.
왜 이런 이례적인 물 폭탄이 쏟아지게 된 걸까요?
그 원인을 기후환경팀 현인아 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 리포트 ▶
기상관측 사상
가장 위험한 7월 장맛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전북 군산에는 어제 하루 동안 무려 373mm의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어제와 오늘 저녁까지 충남 청양에는 5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 비는 얼마나 이례적인 걸까요?
군산에 온 비는 100년에 한 번,
청양은 500년에서 1,000년에 한 번 빈도의
폭우였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승수/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
"500년 빈도를 훌쩍 넘어서 약 천 년 빈도에 근접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강우가 내린 것으로 파악됩니다.
천 년에 한 번 올 비가 쏟아진 원인은
막대한 수증기입니다.
이것은 한반도 상공으로 유입되는 수증기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붉은색은 시간당 60mm 정도,
밝은 분홍색은 시간당 최고 70mm 이상의 폭우를
쏟아낼 수 있습니다.
막대한 수증기가 장마전선과 저기압을 만나서
폭우로 돌변했습니다.
더 근본적인 배경에는 기후 변화가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한반도의 여름 강우량이 늘고 있는데
그중 7월 강우량이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
1995년 이전에는 전국 평균 367mm였는데요.
1995년 이후에는 444mm로 21%나 급증했습니다.
[손석우/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MBC 재난자문위원)]
"아시아 몬순 시스템이 급격히 변동했다고 부르는
현상인데요.
전반적인 대규모 기후계가 90년대 중반에 바뀌었습니다.
왜 그 무렵 급변했는지는 아직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지구의 기온은 1.1도 상승했습니다.
기온이 1도 상승하면 수증기는 7% 늘어납니다.
수증기 7%는 얼마나 되는 양일까요?
무게로 환산하면 8,900억 톤이 넘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댐인 싼샤댐이 393억 톤 정도니까요.
싼샤댐 22개가 터진 것과 같은 물이 대기에 풀린 겁니다.
이렇게 풀린 수증기가 폭우로 변해
집중적으로 떨어지는 곳 중 하나가 우리나라입니다.
세계 곳곳에도 이전에는 상상하기 힘든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이전과는 다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MBC뉴스 현인아입니다.
영상편집 : 조민우
현인아 기자(innah@mbc.co.kr)
https://v.daum.net/v/20230715201314907
'다 잠겨버렸다' 주민들 망연자실... 이 시각 괴산 상황
이지은 입력 2023. 7. 15. 20:13
https://v.daum.net/v/20230715211525858
"60년 넘게 이런 적 없었는데... " 산사태로 폐허 된 마을
김형래 기자 입력 2023. 7. 15. 21:15 수정 2023. 7. 15. 22:24
https://v.daum.net/v/20230715204102411
“‘구르릉’ 소리 나더니 윗집 사라져”... 수마가 휩쓸고 간 예천
신주현 입력 2023. 7. 15. 20:41
https://v.daum.net/v/20230715200607802
순식간에 475m 지하차도 잠겼다... 대피 어려웠던 이유
이성훈 기자 입력 2023. 7. 15. 20:06 수정 2023. 7. 15. 22:25
--------------------------------
https://v.daum.net/v/20230715164001825
“만하루 지붕만 보인다” 물바다 된 공주·부여
사흘간 500㎜ 가까운 집중호우 제민천 범람…옥룡동 일대 침수 주민과 요양원 입소자 등 대피 금강교·백제교 통행 전면 금지 충남 공주와 부여가 사흘간 쏟아진 폭우에 물바다로 변했다. 15일 공
v.daum.net
https://v.daum.net/v/20230715212204992
청주 지하차도 침수 당시 영상보니... '한번에 쏟아진 6만t 물'
전창해 입력 2023. 7. 15. 21:22
폭우로 터진 제방따라 유입된 강물 우수저류조처럼 빨아들여
미호천교 수위 상승에도 교통통제 안해... 늑장대처 지적 고조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서 발생한
궁평 제2지하차도 침수사고는
6만t에 달하는 강물이 터널을 덮치듯 쏟아져 내리면서
피해 차량들이 대피할 겨를 조차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 오송지하차도 덮치는 흙탕물 (청주=연합뉴스)
15일 오전 8시40분께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를
미호강에서 범람한 흙탕물이 덮치고 있다.
침수사고 후 긴급출동한 소방당국은 난간에 매달려 있던 버스 승객 등
9명을 구조하고,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남성 시신 1구를 인양했다.
하지만 차량 19대가 물에 잠겨 있고, 최소 17명 이상이 고립된 것으로 추정돼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023.7.15 [지하차도 CCTV 캡처]
15일 충북도가 공개한
사고 당시 지하차도 CCTV 영상을 보면
범람한 미호강 흙탕물이 오른편에서 폭포수처럼
지하차도 입구를 덮치고 있다.
사흘간 계속된 폭우에 인근 미호강 제방이 터지면서
다량의 강물이 도로로 유입됐고,
지하차도가 마치 우수저류조처럼 강물을 빨아들인 셈이다.
사고가 난 지하차도의 전체 길이는 685m이고,
이중 터널 구간은 430m이다.
충북도는
터널 구간이 짧은 시간에 완전히 침수됐고,
그 물은 6만t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했다.
CCTV 분석 결과
지하차도를 빠져나오지 못해 침수된 차량은 15대로 파악됐다.
경찰에 실종신고된 인원만 이날 9시 현재 11명이다.
일부에서는
제때 교통 통제에 나서지 않은 행정당국의
미흡한 대처가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강홍수통제소는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사고가 난 지하차도와
직선거리로 약 600m 떨어진 미호천교의 수위가
홍수경보 수준보다 높아지자
관할 구청에 인근 도로의 교통 통제 등이 필요하다고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행정당국의 교통통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사고 당시 지하차도 구조물 난간에서
가까스로 구조된 A씨는
"버스와 승용차 등이 주변에 많았는데
지하차도 앞뒤에서 물이 들어오더니
그 수위가 빠르게 높아졌다"며
"침수가 예상될 때
지하차도 진입로를 미리 막았더라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텐데
왜 통제가 안 됐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청주 지하차도 차량 침수 신고 (청주=연합뉴스) 천경환 기자 =
많은 비가 내린 15일 충북 청주 흥덕구 오송읍 궁평제2지하차도에
차량이 침수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 당국과 경찰이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2023.7.15 kw@yna.co.kr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행정당국의 늑장 대처를 비난하는 글이 이어진다.
한 네티즌은
"지하차도 침수사고로 사촌언니가 실종됐다"면서
"재난 속보도 나지 않고 강에 물이 넘치려 할 때도
도로를 통제하지 않은 바람에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
행정당국은
사고 원인 분석에 앞서 피해자 확인과 구조활동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소방당국 등이 지하차도의 물을 퍼내는
양수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이곳으로 물이 계속 유입되는 미호강의 제방을
복구하는 데만 최소 1∼2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현재 지하차도 상단까지 완전 침수돼
구조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배수작업과 함께 주변 CCTV 분석, 이동통신사 위치 추적
등을 통해 피해자 수색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송 지하차도 침수사고는
이날 오전 8시40분께 발생했고,
소방당국은 현재까지 9명을 구조했고,
신원이 밝혀지지 않는 30대 남성의 시신 1구를 인양했다.
jeonch@yna.co.kr
rosa
쓸대없는 재난문자만 ᆢ계속 보내드니
정말 해야할 중요한 재난문자는 물 말아드셨나
수박조아
사고 다 터지고 나서 재난문자는 왜이렇게 많이 보내냐?
여긴 비도 안오는데 호우경보라고 보내고 있다
상황에 맞는 재난문자를 보내라
--------------------
https://v.daum.net/v/20230716101059468
"사고 전 모래 제방 쌓더라"…오송 지하차도 침수, '인재 논란'
(청주=뉴스1) 이성기 기자 = 충북 청주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가 예견된 인재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마을 주민이 '사고 발생 1시간 전쯤 인부들이 모래로 임시제방을 쌓는 것을 보고 제
v.daum.net
https://v.daum.net/v/20230715200304751
오송 지하차도 들이닥친 빗물... 생존자가 전한 긴박 순간
입력 2023. 7. 15. 20:03 수정 2023. 7. 15. 22:42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기고 무너지고... 하늘에서 본 물 폭탄 참사 현장 (0) | 2023.07.16 |
---|---|
“반도체 공장, 땅만 있다고 못 지어요”... 전기·물, 얼마나 쓰길래? (0) | 2023.07.16 |
'미국 턱밑' 쿠바에 러시아 군함... 냉전시절 공생관계 복원중 (0) | 2023.07.14 |
한국, 세계 10위 경제대국서 밀려났다... 강달러·성장부진에 13위 (1) | 2023.07.13 |
러 국방 "우크라에 집속탄 지원하면 우리도 유사 무기 쓸 것"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