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2]‘투표하면 바뀐다’ 2040의 참여 열기 … 총·대선 당락 좌우
경향신문
박병률 기자입력 2012.01.19 21:42 수정 2012.01.20 00:50
맞벌이 부부인 김혜영씨(38·대구 동구 신서동)는 기분이 좋다.
2009년생 맏아들이 올 3월부터 보육료 지원을 받게 됐다.
지난해 여야가 본회의에서 전 계층 0~2세 유아의 보육료 지원을 의결하면서
극적으로 지원대상이 된 것이다.
김씨가 받게 되는 돈은 30여만원. 김씨 가정에는 일주일치 생활비다.
김씨는 "솔직히 서울시장 선거에서 젊은표가 나서니 현 정부와 여당이 깜짝 놀라 방향이 바뀐 것 아니냐.
깨달은 게 많다"며 "그동안 누가 돼도 그놈이 그놈이라고 생각했는데 올해 총선과 대선에는
내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 투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총선과 대선의 키워드는 2040 이다.
'선거는 어른들이나 하는 것'이라던 편견이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거치면서 깨졌다.
'내가 던진 표가 정책을 바꾸고,
결국은 내 삶을 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은 2040세대를 투표장으로 끌어모으고 있다.
19일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반값등록금국민운동본부 주최로 열린
'반값 등록금 원년 선포대회'에 참석한 학부모와 학생들이 반값 등록금 실현을 기원하며
큰절을 하고 있다. | 정지윤 기자
2040의 투표 행렬은 근본적으로 팍팍해진 삶에 원인이 있다.
지금까지는 성장만 하면 모든 게 해결될 줄 알았다.
하지만 성장은 더뎠고 그나마 있는 과실은 대기업 중심으로 돌아갔다.
높은 집값과 등록금, 보육비로 생활이 쪼들린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대안이 복지였다.
특히 청년층의 인식 변화가 뚜렷하다.
'재학 당시 높은 대학등록금→졸업 후 취직 전쟁→비정규직 취직→낮은 임금'이 악순환되면서
사회적 모순에 대한 자각이 싹트기 시작했다.
통계지표에도 2030 삶의 후퇴는 명백해 보인다.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대학생들이 대부업체에서 빌린 돈은 지난해 6월 말 기준 4만7945건, 759억원이나 된다.
1년 전과 비교해 대출 건수는 57%, 대부금액은 40%나 가파르게 늘었다.
대학생 대출액의 42%가 학자금용이었다.
대학을 졸업했지만 직장은 없다.
정부는 지난해 취업자 수가 전년보다 44만1000명 증가해 7년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고 밝혔지만,
20·30대 취업자 수는 9만6000명이 되레 감소했다.
그 각성은 투표로, 선거의 최대 승부처로 나타나고 있다.
경향신문 신년 여론조사에서 2030은 올해 가장 중요한 가치로 복지를 꼽았다.
40대도 복지와 성장을 같은 비율로 봤다.
올 총선·대선에서 투표할 때 가장 영향을 미칠 사안도 '빈부격차' 해소를 꼽았다.
복지는 이제 '잘살면 베풀 수 있는 시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해 절실한 지원'이 됐다.
1980년대 '3저 호황'의 마지막 수혜자인 40대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명박 정부 4년간
내 살림살이가 나빠졌다(52.9%)고 생각하는 사람이 더 좋아졌다(6.8%)보다 훨씬 많았다.
올해 살림살이도 부정적 전망(40.7%)이 긍정(16.7%)보다 많았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2040은 대선·총선 당선자들이 고성장과 같은 큰 업적을 이뤄주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라며
"경기가 어려우니 나눔의 미학을 실천할 수 있는 사람, 아픈 곳을 어루만져 주며 함께 갈 수 있는
사람을 찾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 박병률 기자 mypark@kyunghyang.com >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달새 추락사망 사고 3건… 魔의 서울 내부순환도로 (0) | 2012.01.20 |
---|---|
“박영준 조사뒤 경질한다 해놓고 청와대, 시간끌며 흐지부지 넘겨” (0) | 2012.01.20 |
곽노현 벌금 3천만원 선고…직무복귀 (0) | 2012.01.19 |
골목에서 충돌한 BMW와 카트, 누구 잘못일까 (0) | 2012.01.19 |
러시아 화성탐사선 추락에 미국 개입했나 (0) | 201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