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적으로 육지에 근접"…풀리지 않는 의문
SBS | 정호선 | 입력 2010.03.27 21:21
< 8뉴스 >
< 앵커 >
지금까지 알려진 사고 정황을 보면, 잘 이해되지 않는 여러가지 의문점들이 있습니다.
특히, 사고 당시 천안함의 위치가 비정상적으로 육지 쪽에 근접했던 이유에 대해서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호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한 지역은 백령도 부근 1마일 해상입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1,200톤급 대형 초계함이 이렇게 육지에 근접했던 경우가
정호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한 지역은 백령도 부근 1마일 해상입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1,200톤급 대형 초계함이 이렇게 육지에 근접했던 경우가
거의 없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초계함의 주목적은 고속정을 후방지원하는 역할인데
초계함의 주목적은 고속정을 후방지원하는 역할인데
왜 그렇게 육지쪽으로 가까이 갔느냐는 의문입니다.
[전 해군 최고위급 간부 : 왜 1마일까지 들어갔는지 나는 미스터리입니다.
[전 해군 최고위급 간부 : 왜 1마일까지 들어갔는지 나는 미스터리입니다.
고속정도 잘 들어가지 않는 위치입니다.
수심이 낮기 때문에.. 천지개벽할 일이 아닌한 1마일까지 들어가는 것은 아닌데...]
이런 상황때문에 천안함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긴박한 상황이 있었을 것이라는
이런 상황때문에 천안함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긴박한 상황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고 그래서 북한과의 교전설도 제기됐습니다.
또 인근에 있던 속초함이 미확인 물체라며 경고사격을 가했던 것도 혼란을 가중 시켰습니다.
사고 발생 직후 해군 지휘부의 명쾌하지 못한 사고 처리 과정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해군 고위장교 출신의 한 관계자는 "천안함 규모의 초계함이라면 사령부와 무선이 열려 있어
또 인근에 있던 속초함이 미확인 물체라며 경고사격을 가했던 것도 혼란을 가중 시켰습니다.
사고 발생 직후 해군 지휘부의 명쾌하지 못한 사고 처리 과정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해군 고위장교 출신의 한 관계자는 "천안함 규모의 초계함이라면 사령부와 무선이 열려 있어
작은 이상도 즉시 보고되는데 함장이 군 통신기기가 아닌 휴대전화로 상황을 보고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또 천안호가 완전히 침몰하는데 3시간이나 걸려 이함할 시간도 많았는데
또 천안호가 완전히 침몰하는데 3시간이나 걸려 이함할 시간도 많았는데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체 결함 있었나" 풀리지 않는 천안함 미스터리 (0) | 2010.03.28 |
---|---|
[초계함 침몰] 2분 만에 탈출…3시간 만에 침몰 (0) | 2010.03.28 |
대청도 현지 상황 동영상 화면 YTN 입수 (0) | 2010.03.27 |
초계함 침몰...구조작업 어려움 (0) | 2010.03.27 |
“양심도 없이 임신했냐?” “애 낳고 춤이 춰 지냐?” (0) | 2010.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