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활력 (사교댄스의 이해 )
홈
태그
방명록
사회관
참여정부 시절 "북한에 전기 주고 '황강댐 활용' 추진"
기산(箕山)
2009. 9. 9. 22:57
[단독] "북한에 전기 주고 '황강댐 활용' 추진"
SBS
|
입력
2009.09.09 21:12
< 8뉴스 >
< 앵커 >
북한 황강댐의 위험성은 우리 정부도 이미 오래전부터 충분히 알고 있었습니다.
참여정부
시절 북측에 전기를 공급해 주고 대신 황강댐을
임진강
홍수 조절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형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 기자 >
[이원식/
국토해양부
수자원개발과장 :
황강댐을 인위적으로 파괴해서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은 현재 건설중에 있는
군남 홍수조절지댐
규모로 충분히 방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미 착공 때부터 군남댐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 문건은 지난 2006년 8월에 작성된 임진강 유역 홍수대책특별위원회의 최종 보고서입니다.
댐 공사 착공 한달 전이었고 위원장은 한명숙 전 총리였습니다.
북측 황강댐 등의 이상방류시 규모가 작아 역부족일 걸로 보고 있습니다.
1차로 규모를 키우는 방안이 검토됐습니다.
< cg2 > 당초 26m였던 댐 높이를 40m나 45m로 높여
저수량을 2억 9천만 톤이나
4억 6천만 톤까지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방안은 북측 지역의 수몰 우려로 결국 폐기됐습니다.
< cg3 > 남한도 6.4㎢가 수몰되지만, 이보다 두 배 많은 13㎢가 수몰되는 북한이
쉽게 합의해줄 것 같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아예 황강댐을 남한 지역의 홍수조절 목적으로 사용하자는 방안이 제시됐습니다.
< cg4 > 대신에 북한의 전력생산 손실분을 감안해 남한 전력을 북측에 공급해준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안마저 북측의 핵실험으로 논의가 중단됐습니다.
[
이철우
/전 국회의원 :
장관급 회담의 임진강 수해가 의제가 됐었죠.
북한에 전기를 주고, 우리는 홍수조절을 한다, 그렇게 되면 이미 벌써 통일이 된거죠.]
총리실 관계자는 당시 군남댐 건설은 국토해양부 장관이 이미 확정고시한 상태였고,
총리실의 역할은 검증, 평가에 한정돼 있어 더 이상의 보완이 불가능했다고 밝혔습니다.
김형주
kimmyworld@sbs.co.kr
관련기사
◆여야 "임진강 참사 안이한 대처"…매서운 질타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삶의 활력 (사교댄스의 이해 )
'
사회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종된 아들이 감옥에? 72일간 '억울한 옥살이'
(0)
2009.09.14
연천군 "北황강댐 방류대책 건의, 정부 묵살"
(0)
2009.09.14
평화의댐, 北 금강산댐에 대응할 수 있나
(0)
2009.09.08
북한 댐 방류, 6명 실종…北 어린이도 숨진채 쓸려와
(0)
2009.09.07
"北에서 한꺼번에 방류" 추정‥다급했던 상황
(0)
2009.09.06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