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前대통령 국장]마지막 가는 길, 동교동 집·서울광장 들러
영결식에서 안장까지 시민 등 2만4000명만 초청
정부반대 ‘열린 국장’ 무산
경향신문 | 김기범기자 | 입력 2009.08.21 18:05 | 수정 2009.08.21 23:05
행정안전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 역대 국장·국민장 중
가장 많은 2만4000명이 초청된다고 21일 밝혔다.
'고 김대중 대통령 국장' 장의집행위원회와 유족 측이
이날까지 확정한 장례절차를 바탕으로 23일 상황을 미리 살펴본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은 이날 오후 2시 영결식으로 시작된다.
발인은 빈소와 영결식장이 거의 같은 곳에 있어 영결식 직전 이뤄질 예정이다.
조순용 전 정무수석과 여성 사회자가 개식을 선언하고, 국민의례가 진행된다.
행안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결식 때와 달리 남녀 2명이 공동사회를 하게 된 것에 대해
"김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의 남녀평등 사상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악 연주 속에 1분 동안 고인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장의위원장인 한승수 국무총리의 조사 및 유족 측이 추천한 인사의 추모사가 거행된다.
종교의식은 천주교·불교·기독교·원불교 순으로 진행되며,
종교의식은 천주교·불교·기독교·원불교 순으로 진행되며,
고인의 행적을 기리는 생전 영상물이 5분 정도 상영된다.
헌화는 상주를 시작으로 직계 유족, 장의위원장, 외교 사절, 각계 대표 등의 순으로 이뤄진다.
추모 공연으로는 성악가와 어린이합창단 및 교향악단이 추모곡을 준비하고 있다.
1시간 가까이 진행되는 영결식은 3군의 조총 21발 발사와 조악 연주, 폐식 선언으로 마무리된다.
1시간 가까이 진행되는 영결식은 3군의 조총 21발 발사와 조악 연주, 폐식 선언으로 마무리된다.
행안부는 이날 영결식에 통상적인 행사의 6000~7000명보다 3~4배 많은
2만4000명을 초청했다고 밝혔다.
정부 초청인사 9000명에는 유족과 장의위원, 각계 각층 대표 및 외교 사절,
서울시민 대표 4300명 등이 포함돼 있다.
행안부 이재풍 의정담당관은
행안부 이재풍 의정담당관은
"유족 측이 초청하는 1만5000명에는 민주당 당원들은 물론
김 전 대통령과 관련된 많은 시민이 포함돼 있다"면서
"초청장과 비표를 지참하지 않은 시민들은 영결식장에 입장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영결식 준비를 위해 국회의사당 내 분향소는 23일 오전 8시부터 통제된다고 행안부는 밝혔다.
영결식 준비를 위해 국회의사당 내 분향소는 23일 오전 8시부터 통제된다고 행안부는 밝혔다.
대신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국회정문 앞에 임시 분향소가 설치된다고 덧붙였다.
또 영결식장에 들어가지 못한 시민들을 위해 임시 분향소와 서울광장 분향소에는
대형 스크린이 마련돼 영결식 전 장면이 생중계될 예정이다.
영결식을 마친 국장행렬은 오후 3시쯤 국회의사당 앞마당을 출발해
영결식을 마친 국장행렬은 오후 3시쯤 국회의사당 앞마당을 출발해
동교동 자택과 김대중도서관, 서울광장을 지난다.
특히 서울광장에서는 추모객이 많이 모여 있을 경우
자연스럽게 약식으로 추모 행사가 열릴 가능성도 크다.
하관·허토(관 주변 빈틈을 흙으로 메우는 의식) 등의 순서를 거쳐 안장된다.
들어서며 전체 264㎡(80여평) 규모로 조성된다.
한편 유족측과 정부는 국장 세부 절차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의견 차이를 드러냈다.
한편 유족측과 정부는 국장 세부 절차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의견 차이를 드러냈다.
이날 유족측은 영결식을 '열린 국장'으로 치르기 위해 신분증을 가진 모든 시민에게 개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정부는 경호상의 문제로 초청장을 가져야 영결식장에 입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행안부와 유족 측은 노제 개최여부를 비롯해 사회자, 추모공연 등
세부 절차를 놓고 이날 밤 늦게까지 협의를 계속했다.
< 김기범기자 holjjak@kyunghyang.com >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로호, 각본 따라 "성공" 방송 (0) | 2009.08.27 |
---|---|
DJ 지석(誌石)엔 어떤 내용... 총리의 조사(弔辭)... (0) | 2009.08.24 |
수척해진 김홍일 전 의원 모습 ‘슬픈 역사’ (0) | 2009.08.20 |
해외언론 “민주화의 상징, 김 前대통령 서거” (0) | 2009.08.19 |
<김前대통령서거> 막내린 3김시대 (0) | 2009.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