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issdaism/13417062
퇴계 선생의 '훈몽(訓蒙)' 시에 이런 것이 있다.
"많은 가르침은 싹을 뽑아 북돋움과 한가지니,
큰 칭찬이 회초리보다 훨씬 낫다네.
내 자식 어리석다 말하지 마라.
좋은 낯빛 짓는 것만 같지 못하리..
(多敎等�O苗, 大讚勝撻楚. 莫謂渠愚迷, 不如我顔好)."
어떤 이가 자기 밭에 심은 곡식이
싹이 잘 안 자라자 싹을 강제로 뽑아 올라오게 했다.
그리고는 자라는 것을 도와주었다(助長)고 자랑했다.
다음 날 보니 싹은 다 말라 죽어 있었다.
'맹자'에 나오는 이야기다.
덮어놓고 많이 가르치고,
이것저것 배우게 하는 것은,
욕심 때문에 멀쩡한 싹을 뽑아 올려
싹을 죽이고 마는 어리석은 농부의 행동과 같다.
정색을 한 매질보다는 칭찬이,
어리석다는 야단보다는 신뢰를 담은 기쁜 낯빛을 짓는 것이
자식의 바른 성장에 훨씬 낫다는 말씀이다.
아이가 불쑥 영어 한두 마디 한다고 무슨 천재라도 난 줄 알고
영재교육이다 뭐다 해서 호들갑 떨 일이 아니다.
아이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부모의 칭찬과
든든한 신뢰, 그리고 환한 낯빛이다.
'인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에게 물었다. (0) | 2009.08.22 |
---|---|
인동초(忍冬草) (0) | 2009.08.19 |
말이 씨가 된다 (0) | 2009.08.10 |
성공하는 남자들의... (0) | 2009.08.09 |
인생이라는 긴 여행 (0) | 200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