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여성이 ‘독도’ 지켰다
문화일보 | 기사입력 2008.07.16 13:31 | 최종수정 2008.07.16 15:31
캐나다와 미국에 거주하는 두 명의 한국계 여성이 '독도'를 구했다.
대한민국 정부가 주일대사를 소환하며 목소리를 높이는 동안
미국 수도 워싱턴의 의회도서관에서 '독도'의 검색주제어가
'리앙쿠르 암석(Liancourt Rocks)'으로 소리 소문없이 바뀔 뻔했으나,
한국계 여성 두명의 재빠른 대응으로 의회도서관이 명칭변경을 보류했다.
당초 16일로 예정됐던 미 의회도서관의 주제어 변경 회의를 가장 먼저 포착했던
사람은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동아시아도서관 한국학 책임자인 김하나씨.
북미 동아시아도서관협회 한국분과위원장이기도 한 그는 14일
워싱턴 주미대사관과 조지 워싱턴대학 동아시아어문학과장인 김영기 교수에게
이 사실을 긴급히 알렸다.
주미대사관에는 의회도서관이 16일 주제어편집회의를 열어
독도를 '리앙쿠르 암석'으로 바꾸려 한다는 사실을 전하며 신속한 외교적 대응노력을 주문했다.
이와함께 워싱턴에서 오랫동안 한국문화 알리기에 노력해온 김 교수에게도
이와함께 워싱턴에서 오랫동안 한국문화 알리기에 노력해온 김 교수에게도
민간차원의 대응을 부탁했다.
앞서 북미·호주·뉴질랜드·프랑스에 있는 한인 사서 연락망을 통해
이 문제를 협의한 뒤 북미동아시아도서관협회 한국분과위원회 이름의 공문을
의회도서관에 보내
"이 문제는 한·일간의 영토분쟁을 가속화시킬 것"이라며 강력한 반대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16일(한국시간) 오전 문화일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은 16일(한국시간) 오전 문화일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오늘 미 의회도서관이 우리 요청을 받아들여 앞으로 미국 지명위원회나
국제지명관계위원회에서 이런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주제어변경을 보류하겠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는 이어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의회도서관의 조치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또 언제 바뀔지 모르기 때문에 지금부터 대응을 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의회도서관의 주제어 변경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독도(주제어 번호 151)가
리앙쿠르 암석이라는 주제어로 바뀌는 것보다 상위 주제어가
'한국의 섬'이 아니라 일본해의 섬들(주제어 번호 550)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이라며
"이렇게 될 경우 독도가 일본해에 포함돼 있는 일본 군도로 여겨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가 이 문제를 처음 포착한 것은 미국 뉴욕의 컬럼비아대학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그가 이 문제를 처음 포착한 것은 미국 뉴욕의 컬럼비아대학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사서정보. 매주 한차례 히데유키 모리모토라는 일본계 사서가 보내는 정보인데
지난주 보낸 e메일에서
"직접적인 도서정보는 아니지만 사안의 중대성 때문에 알려준다"며
의회도서관의 주제어변경회의 일정과 내용을 전해줬다.
매주 오는 e메일이어서 놓치기 쉬웠지만 김씨의 눈에 띈 것이 행운이었다.
워싱턴에서 김 위원장의 연락을 받아 한국 언론과 교민사회에 문제의 심각성을 전파한
워싱턴에서 김 위원장의 연락을 받아 한국 언론과 교민사회에 문제의 심각성을 전파한
김 교수는 이날 문화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의회도서관측은 미국 지리원(NGA)과 미국 지명위원회(BGN)가 이미 독도 명칭을
'리앙쿠르 바위'로 변경했다는 점을 이유로 들고 있다"며
"하지만 이 과정에는 일본측의 조용하고 오랜 노력이 숨어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는
"독도문제와 관련해 정말 절실한 노력은 강경한 목소리가 아니라
자료를 모아서 미국의 지리전문가를 설득하는 것"이라며
"NGA 연혁에서도 지도 작성문제는 국익과 국제분쟁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듯이 지금부터라도 한국정부와 전문가들의 체계적인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최우등 성적으로 졸업했으며 현재 캐나다 영주권자다.
김 교수는 작고한 유명작가 한무숙의 딸이며
김 교수는 작고한 유명작가 한무숙의 딸이며
세계은행에서 오랫동안 아시아를 담당했던 프랑스 경제학자 베르트렁 르노 박사와
버클리대 유학 중 만나 결혼했다.
정부, 독도 '리앙쿠르' 표기 20년간 알고도 방치
MBC | 기사입력 2008.07.18 10:27 | 최종수정 2008.07.18 10:33
[뉴스투데이]
◀ANC▶
독도에 대한 미국 정부의 공식명칭이 리앙쿠르 바위로 바뀐 것을
우리 정부도 20년 전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방치해 왔습니다.
김경태 기자입니다.
하지만 방치해 왔습니다.
김경태 기자입니다.
◀VCR▶
외교통상부는 관련 외교문서를 찾아본 결과
20년전인 1988년에 미국 국립지리원이
독도의 명칭을 리앙쿠르 바위로 바꾼 것을
우리정부도 알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우리정부도 알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외교부는 왜 변경됐는지, 또 변경된 것을 알았을 때
어떻게 정부가 대응했는지는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모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리앙쿠르트로 변경되기 전의 명칭도 뭔지 모른다고 했습니다.
또 리앙쿠르트로 변경되기 전의 명칭도 뭔지 모른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MBC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88년 이전엔 독도였다고 쉽게 확인해줬습니다.
◀SYN▶바바라 틸렛/미의회도서관 명칭 담당국장
"1985년, 의회도서관은 '독도'라고 표기된 자료들을 입수해 지명위원회에 확인했더니
'독도'가 맞다고 했다."
외교통상부는 리앙쿠르라는 이름을 독도로 수정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SYN▶문태영 대변인/외교통상부
"고문서라든지, 고지도라든지 이런 것을 축적을 많이 해서 나가는 그런
대비를 해야 될 것으로 생각을 합니다."
축적하고 있는 상탭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은 외국 정부기관을 설득하고
시정을 요구할 범 정부적인 기관과 대책입니다.
또 미국 국립지리원 등을 상대할 수 있는 지리학 관련 전문가들의 확보와
일년에 30억원 안팎에 불과한 예산의 확충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됩니다.
관련기사|일본, 독도 일본땅 명기 통보
- 정부, 독도 '리앙쿠르' 표기 20년간 알고도 방치 MBC
- 日, 10여년전부터 '독도 관할' 증거 만들기 열중 한국일보
- 정부, 독도 강경기류.."그냥 안넘어가" 연합뉴스
- 日외무성 2008년 외교청서 "독도는 日 고유의 영토" 경향신문
- 독도, 한국만 늘 당하는 이유는 매일경제
- 李대통령, 취임후 국가안전보장회의 첫소집 연합뉴스
- 日 '독도' 파문.."한국 소극적 일관, 화 키웠다" 한국일보
- 일본정부와 언론, '치고 빠지기 합동작전'? YTN
- 日대사관 자국민에 '反日집회 주의보' 연합뉴스
- 정부, 외교장관회담 거절..얼어붙는 한일관계 SBS
- 日 "외교장관회담 제안한적 없다"..요미우리 보도 경향신문
- 권 주일대사, 6자회담서 대일협력 변화 시사 연합뉴스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파이프·물대포' 또 나왔다…시위대 7명 연행 (0) | 2008.07.18 |
---|---|
촛불집회에 또 물대포, 쇠파이프...7명 연행 (0) | 2008.07.18 |
'PD수첩' '뉴스 9', 방송위 징계 조치에 강력 반발 (0) | 2008.07.17 |
팔은 안으로 굽는다! (0) | 2008.07.17 |
일 학자 “옛지도에 ‘독도는 조선땅’ 주석” (0) | 2008.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