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안의 독소를 없애는 습관 ♣ 내 몸의 독소를 없애는 습관, 그 시작은 건강한 아침 태초부터 인류의 가장 큰 욕망 중 하나는 불로장생일 것이다. 갖가지 불로장생에 관한 이야기 중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가장 많이 회자되는 것은 아마도 진시황이 찾았던 블로초일 것이다. 과연 불로초의 정체는 무엇일까? 오랜 세월 불로장생에 .. 보건관 2006.05.26
당뇨병에 특효 (뽕나무열매) 뽕나무를 왜 뽕나무라 했을까? 그건 오디를 많이 먹으면 방귀가 잘 나와서 ‘방귀나무’라는 뜻으로 뽕나무가 된 것이다 **뽕잎은 ‘상엽(桑葉)’이라고 하는데 10∼11월 서리가 내린 뒤에 채취하여 쓴다. 쓴맛에 약간의 단맛과 성질은 찬 성질을 가졌다. 상엽 추출액은 동물 실험에서 부작용이 없이 혈.. 보건관 2006.05.26
보석가루로 그린... 보석가루로 그린 보석화 북한의 유명화가들의 작품, 맘님의 블로그에서 파일이 커서 펌. <백두산> 백두산 천지(보석화 병풍) 백두산 천지 폭포 학 백두산 보통강에서 장미 활쏘는 소년 금강산 귀면암 금강산 세존봉 내금강 표훈사 고양이와 옥수수 고양이 보석화 <백두산>은 만수.. 미술관 2006.05.25
실경 산수화 (오용길 화백) 실경 산수화 그림 : 오용길 화백 [57세-현 이화여대교수] 그는 전통 산수화와의 차별을 위해 소재를 고답적인 데서 친근하고 사람냄새나는 현실로 끌고 내려온다. 재직 중인 학교의 교정에 가득핀 봄꽃그림은 풍성하고, 사물의 형상을 변형·단순화해 여백을 강조한 문인화 풍의 작품은 .. 미술관 2006.05.25
신사임당 작품 신사임당 (申師任堂 : 1504 ~ 1551) 이름은 인선. 호는 사임당, 임사재. 어진 어머니이자, 현명한 아내이며 뛰어난 여류 화가셨데요.. 가지와 방아개비 수박과들쥐 어숭이와 개구리 산차조기와 사마귀 맨드라미와 쇠똥벌레 원추리와 개구리 양귀비와 도마뱀 오이와 개구리 미술관 2006.05.23
서울 100년 1904년 서울의 장날 조선말기의 남대문 일원 남대문 안 남대문 동대문 동대문 밖 1950년 명동에서 중앙청 1950년 시청앞과 덕수궁 1950년 명동과 을지로 1950년 중앙청 1950년 서울역 1950년 한강철교 1968년 남대문 1968년 비원앞 1968년 청계상가 1968년 무교동(三一路) 1968년 서울역~남대문 사이의 대한항공 빌딩.. 역사관 2006.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