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629105010077
푸틴의 복수?...
돈줄 끊고 전세계 '바그너 제국' 접수 나서
이지헌 입력 2023. 6. 29. 10:50
아프리카·중동 등지서 군사지원...
러 영향력 확대 지렛대 역할
무장반란 실패직후 각국 수뇌부 접촉...
"관리주체 바뀔 것" 통보
말리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바그너 그룹 용병
[AP 연합뉴스 자료사진/프랑스 국방부 제공]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이끄는 바그너 그룹의
무장반란이 실패로 끝나자
러시아 정부가 세계 각지에 흩어진 이들의 용병 사업 장악에
곧바로 착수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바그너 그룹이 세계 곳곳에 구축한 용병 사업 네트워크를
접수하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WSJ 보도 등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 외교부 고위관계자가 시리아를 방문해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에게
바그너 그룹의 용병 사업의 관리 주체가 바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같은 메시지는
바그너 그룹의 주요 활동 국가인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말리 정부에도 각각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무장반란에 실패한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 입장에선 돈줄이 끊기게 된 셈이다.
푸틴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프리고진은
아프리카와 중동 각국의 정부에 군사 지원을 해 주는 대가로
광물 채굴권과 항구 이용권 등 각종 이권을 챙겼다.
해외 용병 사업으로 바그너 그룹이 벌어들인 수입은
연간 수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정부는
바그너 그룹의 군사력을 아프리카와 중동 외교의
지렛대로 활용했지만, 용병 활동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바그너 그룹 용병의 민간인 살해 등 인권 침해 논란에 대해선
러시아 정부와 바그너 그룹간 관계를 부인하기도 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무장반란 사건 이후
용병사업 네트워크를 유지하면서
정부의 관여도를 높이기로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 27일(현지시간)
"국가가 사실상 바그너 그룹의 유지를 맡았음에도
콩코드 기업의 소유주(프리고진)는 군에 음식을 공급하고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연간 800억 루블(약 1조2천230억 원)을 벌었다"면서
"당국이 바그너 그룹과 수장에 지급된 돈이 어떻게 쓰였는지
조사하겠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지역 특사를 지낸 존 피터 팸은
"바그너 그룹의 용병 활동은
러시아가 이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을 줬다"면서
"러시아는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WSJ은
"이제 바그너 그룹 작전의 운명은
크렘린궁이 프리고진을 밀어내고서도
3개 대륙에 구축한 바그너 그룹의 제국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달렸다"라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반란 사태 이후 바그너 그룹의 장비를 인수하는 등
국방부 산하로 흡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푸틴 대통령도
바그너 그룹 소속 용병들에게 국방부와의 계약이나
활동 중단, 벨라루스행 등 세 가지 선택지를 제시한
상태다.
현재 바그너 그룹에 소속된 용병은 3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아프리카와 중동을 중심으로 사업을 벌였지만,
최근에는 베네수엘라와 아이티 등
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에도 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무장반란 사태로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아프리카, 중동 등지에서 러시아의 군사 지원은
지속될 것이란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러시아 국영 RT 방송에서
바그너의 무장 반란 사태가 아프리카에서 러시아의 위상을
잠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러시아 정부 관리들이 현지 지도자들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번 반란이 러시아의 파트너 및 우방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안보·전략·기술센터 선임연구원인
페데리카 세이니 파사노티 역시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바그너 용병들을 필요로 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프리고진은
무장반란 실패 이후 낸 육성 메시지에서
바그너 그룹의 해외 작전을 통제할지에 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koman@yna.co.kr
---------------------
https://v.daum.net/v/20230629102559806
바그너 용병 거처?
"벨라루스 빈 군기지에 텐트 구조물 들어서"
윤종석 입력 2023. 6. 29. 10:25 수정 2023. 6. 29. 11:14
군사기지 밀집 도시 아시포비치
인근 기지 내 연병장에서 움직임 포착
러시아 본토에서 반란을 일으킨 바그너그룹 용병들이
벨라루스로 옮기기로 한 가운데,
벨라루스의 버려진 군부대 연병장에 텐트촌이 지어지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상업 위성업체인 '미디어랩'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벨라루스 군사 도시 인근의 비어있는 군 기지 내 연병장에
지난 26일부터 텐트들이 갑자기 들어서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반란 중단하고 돌아가는 바그너그룹 용병들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26일은
바그너그룹 용병들이 반란에 나서
수도 모스크바 인근 200㎞ 지점까지 진격했다가
회군한 24일로부터 이틀 뒤다.
이 기지는 수도 민스크에서 130㎞가량 떨어진 곳에 있다.
훈련장과 탄약고 등 군사기지가 다수 모여 있는
소도시 아시포비치 북서쪽 20㎞ 거리에 있다.
연병장 3만2천㎡ 정도의 면적에
6줄로 된 대형 텐트로 보이는 임시 구조물이
건립 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구조물의 외양을 보면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작년 이후 지어지기 시작한
집단 텐트 야영지와 비슷하다고 NYT는 전했다.
하지만 미디어랩의 인공위성 해상도가 높지 못해
시설물의 모습은 희미하게 보인다고 NYT는 덧붙였다.
벨라루스군의 465 미사일 여단이 사용했던 이 기지는
2018년 아시포비치 인근으로 이전했다.
윌리엄 앨버크 국제전략연구소 연구원에 따르면
이 여단은 벨라루스 군 중에서
러시아산 전술 탄도 미사일인 이스칸데르를 보유한
유일한 부대다.
이곳은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완전히 비어 있었고
아무런 움직임도 없었다.
인공위성 사진은 최근 전개된 상황과도 맞아떨어진다.
러시아 반란 사태의 중재자를 자처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바그너그룹에 반란을 멈추고 벨라루스로 오도록 했는데,
이들 용병에게
비어있는 군 기지에 머물 것을 제의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루카셴코 대통령은 최근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중재 당시 상황을 전하며
"바그너그룹 용병들을 위한 캠프를 새로 건설하지 않겠지만,
사용하지 않고 버려진 군사기지 가운데 하나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면서
"울타리가 있고 모든 것이 있으니 텐트만 치면 된다"고 말했다.
벨라루스 당국은
아직은 바그너 용병단을 어디에 수용할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이들이 언제 벨라루스에 올지,
심지어 올 계획 자체가 있는지도 확실치 않다.
다만 러시아의 독립언론인 뵤르슷카는 지난 26일
바그너 용병들의 거처로 아시포비치를 지목한 바 있다.
banana@yna.co.kr
-------------------------------
https://v.daum.net/v/20230629115302317
반란 방관했다는 의심 받아온 러 육군 대장 체포, 푸틴의 숙청 시작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이끄는 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이 반란을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고도 제대로 대처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아온 러시아 최고위급 장성인 알렉세이 수로비킨
v.daum.net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교회협의회 “한국전쟁 종전 선언하고 평화협정 전환하길” (0) | 2023.06.30 |
---|---|
오염수 검증한 미 핵물리학자 "콘크리트로 만들면 방류보다 낫다" (0) | 2023.06.29 |
'삼중수소'보다 독한 '6개 핵종' 섞인 오염수... “일본 선의만 믿는 처지” (0) | 2023.06.28 |
우크라 1700만명 ‘한계 상황’... 1년4개월째 삶 가린 포연 (0) | 2023.06.27 |
푸틴, 프리고진 군사반란 최소 24시간 전에 알고 있었다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