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관

1 이하는 한국 밖에 없다... 추락 속도도 가팔라

기산(箕山) 2023. 2. 23. 19:13

https://v.daum.net/v/20230222195509018

1 이하는 한국 밖에 없다... 추락 속도도 가팔라

김아영 입력 2023. 2. 22. 19:55

 

 

 

[뉴스데스크]

 

◀ 앵커 ▶

 

방금 리포트에서 많은 시민들 의견을 듣고 왔죠.

경제팀 김아영 기자 옆에 나와있습니다.

 

김기자, 0.78, 숫자 자체가 충격적이기도 한데,

합계 출산율, OECD 다른 국가들하고 다시 한번 비교해보죠.

 

◀ 기자 ▶

 

네. 우리나라가 압도적 1위인데

다음 순위 국가와 차이가 너무 벌어져 있습니다.

 

화면을 보시면요.

1 아래인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죠.

그 다음이 이탈리아인데 1.24명.

일본은 1.33 미국이 1.64명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까지만 해도 1.05명으로

1명이 넘었는데 이후에 1 아래로 떨어져서

그 이후로 5년동안 꾸준하게 하락했습니다.

 

수치 자체도 낮지만 당초 정부가 예산한 것보다도

하락 속도가 빠르다는 게 우려를 더하고 있습니다.

 

◀ 앵커 ▶

 

사실 인구감소 문제의 원인은

앞서 직접 들은 시민들 의견에서 다 나온 것 같습니다.

답을 찾는 것도 여기서 출발해야 할 것 같아요.

 

◀ 기자 ▶

 

네 . 결혼과 출산에는 사실상

지금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모든 문제들이 연계돼 있습니다.

 

지금 취업자 수 증가 폭이 계속 내려가고 있고

결혼도 쉽지 않은 데다

막상 아이 하나 키우는 데 교육비도 엄청나고

육아 어려움은 또 여성들의 경력 단절 문제로 이어집니다.

 

처음 리포트에 나온 교수도

주택 안정. 양질의 일자리. 맞벌이하면서도 가능한 양육 환경을

말했는데요.

 

사실 이 답은

저출생 문제가 부각된 한참 전부터 같았지만

저출생 추세를 바꾸지는 못했습니다.

 

◀ 앵커 ▶

 

보니까,

대통령 직속 '저출산 고령화 위원회'가 출범한 게 2005년,

노무현 정부 때였는데,

16년 동안 저출산 극복에 쏟아부은 돈이 280조 원이라고

하더군요.

 

그만큼 정부도 중요한 문제로 인식은 해왔다는 얘긴데요.

 

◀ 기자 ▶

 

네. 돈이 얼마나 쓰였느냐보다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사회 전체가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는게 중요하다는게

너무 당위적이면서도 공통적인 의견들입니다.

 

육아휴직이 이제 자연스러워지고 남성들도 많이 쓰지만

대기업에 한정된 면이 있고

직장 여성들이 우려하는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

완전한 휴직 개념보다는

예를들어 하루 반일씩 근무하면서 육아를 병행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기업과 정부에서 적극 권장하고

인식을 바꿔야 할 측면들이 많습니다.

 

지금 저출생 현상은 사실

한국 사회에서 각 가정에서의 합리적인 결정의 결과입니다.

 

아이를 낳는게 합리적일 수 있겠다..

이렇게 결정을 내릴 수 있게 사회 전반 환경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 앵커 ▶

네, 김아영 기자 잘들었습니다.

 

김아영 기자(aykim@mbc.co.kr)

 

 

 

인생역전

그냥 사는게 우울하고 피곤함. 피곤한 나라...

그냥 마지못해 산다.

신경쓸게 너무 많고..뭔가 잘해야하고.성공해야하고..

그냥 사는게 스트레스다.

 

Ckgbsnd

뭐하러 애낳아요? 인구 많아봤자. 대접도 못 받는데.

우리때 한 반에 60명 가까이 수업 받았는데,제대로 교육이나 됐겠어?

경쟁만 심하고. 난 오히려 미래세대는 인간답게. 즐겁게.삶을 향유하면서

살아갔으면 좋겠어.

지긋지긋한 경쟁사회. 싫어! 학교며 집이며!

 

메아리

집단 이기주의가 만연한 엿같은 사회에서 얘를 낳는 건

자식한테 죄를 짓는 행위다.

 

Snooze

내 알 바임?

당장 난 내일 뭘 먹고 어디서 살아야할지 모르겠는데 뭔 출산임.

짐승도 주거가 불안정할땐 새끼 안낳음

 

선한시간

부동산떨어지는걸.막는.정부보면 말 다 했지

윤가는 출산율보다 기득권자 보호가 우선이니 안떨어지는게 이상하지

 

골프공날려보자

대통령부터 비정상 입니다.

늦게 결혼 자녀가 없습니다.

아버지가 연대교수 자신은 검사출신

결혼하여 자식을 안 낳고 사는 사람들 보면

어딘지 모르게 미성숙하여 보입니다.

자식을 낳아 키우면서 단잠 설치며 똥 오줌 가려가며

온갖 기쁨과 슬픔 인내를 경험할때 인간은 성숙 합니다.

이런 경험이 없는 사람이 진정한 휴머니즘을 아냐구요?

개소돼지 같은 국민들 각성하세요.

 

조아

솔직히 우리나라는 이용가능 국토 면적 대비 인구가 너무 많아요!~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인구가 줄어 들어야!~

 

InaBauer

제일 큰건 집값이야.

기레기 니들은 다 알고 있잖아

 

Taegook Song

입시와 사교육 문제, 집값 문제를 해결하고,

자녀수당을 1인당 월40만원씩 18세가 될 때까지 지급하면 됩니다.

그렇게 해야 합니다.

 

늘푸른나무

의사, 판 검사 아니면 그냥 애 낳지 말고 둘이 잼있게 살다가 가는게 최선인 나라 ...

노예가 자식 나아봐야 노예인데 자식까지 고생시킬 필요 있나 ....

둘이 신나게 쓰고 후회없이 살다 가자

 

산솔

결혼 안하고 애안낳고 결혼해도 하나 이상 잘 안 낳는데 몰라서 그래

대기업 절반도 안돼는 임금에 상여금 하나없는 비정규직으로 살아가는 청년들이 대부분이고

정규직 시간 지켜가며 편히쉬고 일하는데 비정규직 더럽고 위험하고 힘든일 다하고

노동법개정하자 하면 기업 부담에 망하느니 파업 는다느니

이딴소리 하는 사장님 정치인들 수두룩한데 뭐하러 애를 낳아 키워서 남 머슴 종 노예 시키라고

징말 미래 사람없이 망하던지 지 아들딸들 직접 공장에서 일해봐야 사람귀한줄 알거다

니들자식들이 귀하면 남의자식 귀하게 대할줄도 알아라

 

조아

산,임야,논,밭,강과 하천 빼고 이용가능한 국토 면적으로 봐서

총인구 1천5백만명도 많을듯!~

 

 

---------------------------------------

 

https://v.daum.net/v/20230223201310425

"육아휴직할 거면 나가라"...
저출생 부추기는 '직장갑질'

김민형 입력 2023. 2. 23. 20:13 수정 2023. 2. 23.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