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media.daum.net/v/20170427144604016
남극 '피의 폭포' 미스터리, 106년 만에 풀렸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입력 2017.04.27. 14:46 수정 2017.04.27. 16:26
대자연이 아파하는 것일까.
남극의 테일러 빙하가 피를 흘리는 것처럼 보여 세간의 관심을 끌었던
‘피의 폭포’(blood falls)에 얽힌 수수께끼가 마침내 풀렸다.
남극의 명물이기도 한 피의 폭포는
106년 전인 1911년 영국 태생 호주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 박사가 처음 발견했다.
당시 그는 폭포에서 핏빛 물이 흐르는 원인이 붉은 미세 조류에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 주장은 2003년 뒤집혔다.
빙하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500만 년 된 해수 호수의 마지막 잔해로
거기 들어 있는 철 성분이 산소와 만나 산화하면서 붉게 변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미국 콜로라도 칼리지와 알래스카대 페어뱅크스캠퍼스 공동 연구진이
여기서 더 나아간 새로운 연구 결과를 내놨다.
2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메트로 등 외신에 따르면,
이들 연구진은 ‘피의 폭포’의 원천은 빙하 밑에 100만 년 이상 갇혀 있던
한 큰 호수에서 나온 물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반향정위(echolocation)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해
빙하 밑 물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크리스티나 카 박사과정 연구원(알래스카대)은
“박쥐가 이 기술을 사용해 주변 물체를 보듯 우리는 빙하 주변에서
안테나를 격자 모양으로 움직여 얼음 속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테일러 빙하는 자체적으로 물이 흐르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이번 연구는
테일러 빙하가 자체적으로 물이 흐르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얼음 속에 갇힌 호수가 오랜 시간이 흘러도 얼지 않았다는 점에 놀라워했다.
물은 얼어붙을 때 열이 방출됨에 따라 주변 얼음을 녹여 물을 계속 흘려보낸다.
이렇게 되면 수백만 년 된 물이 폭포가 될 때 더 많은 핏빛 물을 쏟아낼 수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빙하학 저널’(Journal of Glaciology) 최신호(4월 24일자)에 실렸다.
사진=United States Antarctic Program(위), Peter Rejcek / Wikimedi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는 USB C 시대입니다" (0) | 2017.05.02 |
---|---|
우연히 찾았다! '비닐봉지 먹는 애벌레' 발견 (0) | 2017.04.28 |
'이국적 풍광' 제주의 야자수가 골칫덩이 된 까닭은 (0) | 2017.04.27 |
아직도.. '블랙마켓'에 갇힌 인테리어 시장 (0) | 2017.04.24 |
"문제는 주적이 아니야" 대선서 사라진 진짜 안보 (0) | 2017.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