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카자흐스탄 거대 지상화 위성사진 공개..8천년 전 것 추정
연합뉴스 입력 2015.10.31. 21:39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카자흐스탄 북부 투르게이 대초원에 있는 고대의 거대한 지상화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690㎞ 상공에서 촬영한 위성사진이 공개됐다.
사각형, 십자, 선, 원 등 총 5개의 이들 거대한 지상화는
각각이 축구장 몇 개를 합쳐 놓은 크기로 공중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약 8천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카자흐스탄의 경제학자인 드미트리 데이(44)는 2007년 피라미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본 뒤,
다른 곳에도 피라미드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구글 어스를 통해 자신이 사는 코스타나이 인근을 살펴보다
이 지상화를 처음 발견했다.
그는 카자흐스탄의 고고학자들에게 이것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물었지만,
대답은 그들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데이는 고고학자들과 현장을 찾았지만,
지상에서는 그것의 모양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고 땅을 파도 나오는 것은 없었다.
이곳에 언덕과 도랑 등 최소 260여개의 토목공사 흔적으로 이뤄진 거대 지상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지난해 이스탄불에서 열린 고고학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위성사진을 제공한 NASA의 콤프턴 터커는
"이런 것을 본 적이 없다"며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는 인터뷰에서 투르게이 지상화가 외계인이나 나치와 관련이 있다는 추측들을 일축하면서,
높은 곳에 직선으로 그려진 이 선들이 아침 해의 움직임을 추적한 관측소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카자흐스탄에서 질병을 연구하던 중 지난해 학회 발표를 관심 있게 지켜본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의 로널드 라포트 명예교수는 데이를 찾아내 사진과 서류들을 보고
투르게이 지상화가 진짜이며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확신했다.
두 사람은 카자흐스탄 항공우주국에 사진 촬영을 요청하고,
유네스코에 긴급 보호를 요청해야 한다고 지역 당국을 압박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데이는 비옥한 대초원이 사냥터를 찾던 석기 시대 부족들의 목적지였다며,
기원전 7천∼5천 년 전 번성했던 마한드자르 문화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과학자들은 유목 민족이 한 장소에 머물며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었다는 데 대해 의구심을 표했다.
하지만 캐나다 위니펙 대학의 고고학자인 페르시스 클락슨은
투르게이 지상화나 페루의 유명한 나스카 지상화로 인해 초기 유목민에 대한 관점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mihee@yna.co.kr
(끝)
'역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픈 역사 잊어선 안돼"..'강제 동원' 상처 여전 (0) | 2016.08.16 |
---|---|
北 "조선시대 무술교본 '무예도보통지'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 (0) | 2016.07.08 |
고려·조선도 단군왕검 계승.. 기록 찾았다 (0) | 2016.05.21 |
크리스마스 트리, 한국에서 유래됐다? (0) | 2016.05.09 |
1951년 겨울, 한반도에 크리스마스는 없었다 (0) | 2015.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