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 무슨 날이죠?…초등 3학년 3분의2 의미 몰라
서울신문 | 입력 2011.06.06 02:47
현충일을 이틀 앞둔 지난 4일 서울 동작구의 A초등학교 3학년 교실.
종례를 하기 위해 교탁 앞에 선 담임 교사 이모(33·여)씨가 질문을 던졌다.
"월요일(6일)은 학교에 나오지 않아도 돼요.
월요일에 왜 쉬는지 아는 사람, 손들어 보세요."
이씨의 말이 끝나기 무섭게 아이들은
"6일은 '빨간 날'이에요."
"노는 날요."라면서 환호성을 질렀다.
"현충일이라서요."라는 대답이 작게 들리긴 했지만,
현충일의 정확한 의미를 아는 아이는 한 명도 없었다.
현충일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선열과 국군장병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정한 국가 기념일로, 1956년 4월 대통령령으로 제정됐다.
↑ “형 벌써 60년이…” 6일 현충일
결국 이씨가 질문을 던졌다.
"월요일이 무슨 날인지 아는 사람?"
이 질문에 전체 학생 33명 중 12명이 손을 들었다.
"월요일은 현충일이에요. 그럼 현충일이 무슨 의미인지 아는 사람?"
이어진 이씨의 질문에 아이들은 꿀 먹은 벙어리가 됐다.
이씨는
"아직 어린 학생들이긴 하지만 반 아이들의 3분의2가 현충일이 무슨 날인지도 모르고,
나머지 3분의1도 대충 '우리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념하기 위한 날'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면서
"요새는 학교에서 안보교육을 강조하는 추세인데 무엇보다 현충일 같은 국가 기념일의 의미를
정확히 가르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최현미(41·여)씨도
"학교 수업시간에도 막연히 '현충일은 국가 기념일'이라고만 가르치지
구체적으로 왜 이날을 기념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지 않아 아이들이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천안함·연평도 사건 이후 강조되는 청소년 대상 안보교육을
"기본부터 재정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효종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날인데도 학교에서부터 그 의미를 적극적으로 교육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면서
"현충일을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기리는 날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
조기게양 몰랐나?…'너덜너덜' 태극기의 수모
SBS | 조성현 | 입력 2011.06.06 21:15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강 준설로 물 없어 모내기 못해"…농민들 아우성 (0) | 2011.06.08 |
---|---|
[시한폭탄 국민연금] (0) | 2011.06.08 |
강이 운다 아들을 잃고, 어미도 운다 (0) | 2011.06.06 |
미국판 '돌아온 백구'…1930㎞ 떨어진 거리에서 극적인 재회 (0) | 2011.06.05 |
123층 롯데수퍼타워, "3일에 한층씩 올라간다" (0) | 201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