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관

낙동강 현장..'논란' 속 끝없는 트럭행렬

기산(箕山) 2010. 6. 10. 14:01

낙동강 현장..'논란' 속 끝없는 트럭행렬

시공사 관계자 '무덤덤'..주민들 "공사 우찌 되노?" 궁금
김두관 당선자 '4대강 특위' 구성..水公 "중단이 더 문제"

                                                              연합뉴스 | 입력 2010.06.10 09:44 | 수정 2010.06.10 13:51

                                                             (창녕.합천=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현 상태에서 공사를 중단하고 원점으로 돌리는데 드는 비용은

사업을 강행한 뒤에 필요한 유지비를 비롯해 생태계 파괴에 따른 손실 등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액수입니다"

"이미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상당 부분 진행됐습니다.

단체장이 바뀌었다고 공사를 중단하면 오히려 더 큰 문제입니다"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ㆍ기초 단체장들이 정부가 추진중인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해

정치적 입장에 따라 각자 다른 의견을 내놓은 가운데 경남지역 공사현장에서는 예정된 공정이

착착 진행중이다.

 

 

 

 

 

 

 
경남지역 4대강 사업 구간은 낙동강 함안보와 합천보 등
보 공사 2개 공구와 준설 공사 구간 등 모두 18개 공구.

10일 창녕군 길곡면 함안보 공사현장과 합천군 청덕면 합천보 공사현장에서는
콘크리트 보의 하단과 교각 부분이 상당 부분 자리를 잡아가는 등
기초공사가 끝나고 구조물 공사가 한창이다.

지난 3일 기준으로 수자원공사가 밝힌 함안보와 합천보의 공정률은
각각 24.7%, 21.6%로 24시간 중단없이 수백명의 인원이 교대로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보 공사 현장외에 준설공사가 진행 중인 공구에서도 강 바닥에서 흙을 퍼내는 준설선이
24시간 가동되고 있으며 수십대의 덤프트럭이 준설된 골재를 쌓아두는 적치장을 쉼없이
왔다갔다 하고 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차량 행렬에다 적치장 사정 등으로 현장 주변은 먼지가 자욱하다.
현장에서 만난 시공사 관계자들은 4대강 사업에 대한 찬반 논란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다.

한 시공사 관계자는
"지방선거를 전후해 공사일정이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공기를 맞추기 위해 24시간 가동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경남지사 당선자와 일부 기초단체장이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반대한다고해서
여기서 공정을 중단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도 4대강 사업의 계속 여부에 관심이 많다.
창녕군 남지읍에 사는 진봉상(60.농업)씨는 "4대강 사업으로 농사도 못 짓고 있는데
하루 빨리 마무리됐으면 좋겠다"며
"아무리 지사 당선자가 4대강 사업을 반대한다해도 이건 국책사업이다.
침수 피해에 대한 현지 주민들의 절박한 사정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준설공사가 진행중인 낙동강 살리기 15공구 김해시 한림면 주민들은 일손을 놓은 채
마을회관에 삼삼오오 모여앉아 4대강 사업 이야기를 하는 게 하루 일과가 되다시피했다.

매년 낙동강변에서 대단위 비닐하우스로 수박과 딸기 등을 재배했던 한림면은
6월이면 작물 출하로 한창 바쁠 시기지만 낙동강 살리기 공사 때문에 농사를 지을 수 없어
마을 전체에는 중장비 소리만 들렸다.

26년째 한림면에서 농사를 지었다는 박모(66)씨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며
"이미 시작한 사업인데 어떻게 되는건가? 중단될 수도 있나?"고 되묻기도 했다.

이 마을 토박이 이모(51)씨는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면 하천을 정비할 필요도 있지만
정부가 그동안 너무 밀어붙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업의 전면 중단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수정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경남지역 수자원공사 측도 정부 방침대로 4대강 사업을 원안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관련 주민 모두가 결사반대한다면 모를까 이미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상당 부분 진행중인 마당에
단체장이 바뀌었다고해서 사업을 중단하면 오히려 그게 더 문제"란다.

이 관계자는
"준설토를 농경지에 붓는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 승인권이 도에 있어
향후 준설토 처리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역 환경단체에서는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를 비롯해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기초단체장을 중심으로 사업 중단을 적극 촉구할 계획이다.

임희자 마창진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이번 6.2 지방선거에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지역민들의 의사가 반영됐다고 본다"며
"경남도에 이 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4대강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 등을 정리한
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거기간에 4대강 사업 반대를 공언한 무소속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는
지난 9일 도지사직 인수위원회에 4대강 환경특별위원회를 두기로 하는 등
본격적으로 낙동강 사업 '저지 행보'에 나서고 있다.

인수위 업무가 완료된 뒤에도 운영될 예정인 이 위원회는
4대강 사업에 대한 행정적, 법적 검토와 함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안을 찾는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기초단체장 가운데는 민주당 김맹곤 김해시장 당선자, 무소속 하성식 함안군수 당선자가
4대강 사업에 반대하고 있고 한나라당 박완수 통합 창원시장 당선자와 김충식 창녕군수 당선자,
무소속 하창환 합천군수 당선자 등은 찬성한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이에따라 이들 당선자들이 공식 업무를 시작한 이후엔
4대강(낙동강) 사업에 대한 논란이 더 뜨거워질 전망이다.

pitbull@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