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수정권고안에 찬반 여론 '팽팽'>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8.10.30 16:14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신재우 기자
교육과학기술부가 30일 발표한 고교용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권고안에 대해
진보와 보수진영의 찬반 의견이 명백히 갈려 새로운 논쟁을 예고했다.
보수 성향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등은
"교과서 내용 중 국가 정통성과 헌법 정신을 부정하는 내용을 수정하는 것은
당연한 조치"라며 환영의 뜻을 밝힌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은"교과부가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했다"며 반발했다.
교총은 논평을 통해
"근현대사 교과서 중 국가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내용을 바로잡겠다는 것은 당연하다"며
"추후에도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편향성 시비가 재연되지 않도록 철저한
사후 조치를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교총은 "근현대사 교과서가 이념적으로 60년 가까이 대치하고 있는 북한의 시각에서
기술되고 있다면 학생들에게 국가 정체성의 혼돈을 가져오는 심각한 결과가 초래된다.
이를 바로잡는 것을 이념 논쟁으로 몰고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송인정 전국학교운영위원총연합회 회장은
"예전부터 교과서가 지나치게 좌편향이라는 지적이 많이 나왔다.
지금부터라도 학생들에게 치우치지 않은 건전한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고 환영했다.
그러나 전교조 등 진보 진영은
교과부의 수정안 저지를 위해 집단 대응을 강구하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임병구 전교조 대변인은
"역사 교과서는 역사적 사실과 전문적 학자의 양식에 기초해 기술되도록 보장해야 하는데
정권의 이념 편 가르기 논란을 교과부가 그대로 인정하는 것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역사교사 모임이나 역사학자들과 연대해 추후 대응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박이선 참교육학부모회 수석부회장도
"서울시 교육감을 중심으로 보수단체들이 이끄는 대로 교과서 내용을 수정하려
한다는 것은 학교와 교사의 교과서 선택권 자체를 봉쇄하는 것이며,
이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권한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대현 한국진보연대 대변인은
"현 정부가 역사 교과서마저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로 판단한다.
검인정 교과서 체제를 무력화하면서 정권을 이용해 역사마저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는
발상이 우려스럽다"고 비난했다.
jangje@yna.co.kr
withwit@yna.co.kr
(끝)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년 만의 투자 적기', 내게도 맞는 말일까? (1) | 2008.10.31 |
---|---|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첫 불꽃 밝혔다 (0) | 2008.10.31 |
아름다운 버섯... (0) | 2008.10.29 |
서울지하철 304㎞ 중 2㎞만 내진 설계 (0) | 2008.10.26 |
인터넷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 (0) | 2008.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