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관

베이징 올림픽...

기산(箕山) 2008. 8. 25. 02:03

한국, 베이징을 붉게 물들였다…금13개로 종합7위, 역대최고 성적-아시아 2위

                                                                                     조이뉴스24 | 기사입력 2008.08.24 17:20



< 조이뉴스24 >
17일간의 지구촌 대축제 2008 베이징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한국의 태극전사들은 베이징을 붉게 물들이며 금메달 13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8개를 획득,

역대 최다 금메달을 수확하는 풍년가 속에 204개 출전국 중 종합 순위 7위,

아시아 2위라는 최고의 성적을 내며 올림픽을 마감했다.



 

한국은 첫 금메달을 따낸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에서 금1 은1 동4로 19위를 기록,

처음으로 20위권 안에 진출했다.

1984년 LA올림픽에서는 금6 은6 동7로 10위를 기록,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후 한국의 올림픽 무대에서의 발전 속도는 눈부셨다.

안방에서 열린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금12 은10 동11로 처음으로 금메달 수를 두 자리로 늘렸고,

전체 4위라는 기적적인 성과를 이뤘다.

홈을 벗어나도 태극전사들의 선전은 이어졌다.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금12 은5 동12개로 7위를 기록했다.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에서는 두 자리수 금메달에 실패,

금7 은15 동5의 기록으로 10위를 차지했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는 아예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금8 은10 동10개를 기록, 12위에 그쳤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 10위권 안에 드는 데는 성공했지만 두 자리 금메달은 얻지 못했다.

금9 은12 동9로 9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10-10(금메달 10개, 세계 10위)라는 목표를 세웠다.

태극전사들의 분전과 국민들의 열렬한 응원으로 목표를 초과달성해

선수들과 국민들의 얼굴에는 흥겨운 미소와 감동의 눈물이 떠나지 않았다.


13개의 금메달.

대회 첫 날 유도 60kg급의 최민호를 시작으로 수영 남자 자유형 400m 박태환,

여자 양궁 단체(박성현, 주현정, 윤옥희). 남자 양궁 단체(박경모, 이창환, 임동현),

사격 남자 50m 공기권총 진종오, 역도 남자 77kg급 사재혁, 역도 여자 75kg이상급 장미란,

한국이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 얻은 수확은 많았다.

 

수영의 변방에 머물렀던 한국이 '마린보이' 박태환을 앞세워

수영에서 첫 금메달을 따내는 역사를 창조했다.

또 여자역도 장미란의 독주체제를 확인시켜준 올림픽이었다.

 

귀화선수로는 첫 메달을 따낸 당예서도 있었고,

태권도 4체급을 모두 석권하며 태권도 종주국의 자존심을 지킬 수 있었다.

16년 만에 나온 사격에서의 금, 또 16년 만에 들어 올린 남자 역도의 금메달,

12년 만에 금맥을 캐낸 배드민턴 혼합복식,

올림픽 6연패의 역사를 써낸 한국 여자 양궁,

한국의 인기 구기 종목 중 처음으로 세계정상에 오른

야구 대표팀 등 수많은 값진 결실을 얻어냈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많았다.

양정모 이 후 단 한 번도 놓치지 않았던 레슬링 금메달이 베이징에서는 나오지 못했다.

또 대회 7연패를 노렸던 여자 양궁 개인에서 중국의 벽에 막혀 무산됐고,

너무나 높았던 세계축구의 벽, 오심으로 무산된 '우생순2' 등이 있었다.

베이징 올림픽은 끝이 났다.

이제는 2012년 런던 올림픽을 바라봐야만 한다.

베이징에서 얻었던 수확은 잘 보듬어안고,

베이징에서의 아쉬운 점은 잘 보완해서 런던으로 향해야만 한다.

지난 4년의 끝이 새로운 4년의 시작이다.

/최용재기자 indig80@joynew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