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들이 마신다는 구기자차는 무병장수의 신선차로 알려져 있습니다.
잎과 열매를 말렸다 다려서 먹는 구기자차는 보간제로서 옛부터
강장제로 꼽았습니다. 구기자죽(구기자가루와 꿀을 넣어 쑨 죽)은
보신제로 많이 쓰고 있습니다.
구기자는 오장의 사기(邪氣)를 없애고 소갈과 전신마비, 풍습(風濕)을
다스리며 오래 먹으면 근골이 튼튼해지고 몸이 가볍고 늙지 않으며
추위와 더위를 이긴다고 합니다. 또 정기(精氣)를 보충해주고 안색을
좋게 하며 흰머리를 막고 눈도 맑게 하며 정신신경을 안정시켜 준다고
합니다.
구기자 열매로 술도 담그는데 폐결핵, 신장, 간장병에 좋고 토혈,
각혈에도 좋습니다. 술을 담그는 비율은 술 1.5ℓ에 구기자 5백g이
적당합니다. 구기자의 효과는 각혈, 두통, 정기, 정력강장, 간장병,
신장병, 폐결핵, 토혈, 기침, 소갈, 식은 땀 등에 좋습니다
*** 구 기 자 차 ***
★ 재료: 구기자 6~12g, 물 600ml, 기호에 따라 설탕이나 꿀 약간
구기자 차는 향긋한 향과 단맛을 지니고 있어 오랫동안 마실 수
있으며 부작용 또한 없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차이다.
구기자는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인체의 생리 작용을 원활하게
해주므로 장기간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열이 많은 사람보다는
몸이 차거나 손발이 냉한 사람에게 더욱 좋다.
★ 효능, 효과
신경쇠약, 시력감퇴, 정력증진에도 효과가 있으며 성호르몬의
촉진작용, 콜레스테롤의 침착 제거외에도 간장에 축척되어 있는
지방을 분해시키며 혈액내의 혈당을 감소시킨다.
구기자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잔병을 막아 몸을 튼튼하게 해주며
그중에서도 특히 고혈압 환자에게 좋다.
혈압을 강하제로 그리고 중풍도 예방할 수 있다. 그밖에도 강장작용, 해열작용이 있어 허리가 허약하거나 가슴의 염증
갈증을 수반 하는 당뇨병,
술, 고기등을 많이 먹어서 간에 기름이 낀 지방간 환자에게 좋다. 특히 여성에게는 피부가 고와지고 기미도 없어지는데
이것은 예로부터 구기자나무의 뿌리, 줄기, 잎, 열매로 미용제로 사용해 왔다. 눈이 침침해 지고 현기증이나 피곤한 사람, 면역증강물질의 생산, 조혈작용과 생장호르몬의 촉진작용에도 효과가 좋다.
혈청과 간중의 인지질을 증가시키는 작용과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중추성 및 말초성의 부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다.
동의보감(東醫寶監) : 내경편(內景篇) 약생약이항(養生藥餌項)의 구기자에 대한 기록을 보면 "뿌리인 지골피는 삼정환의 기본이고 구기는 구복(久服)하면
경신불노(輕身不老)하고 추위와 더위를 이기며 장수한다." 라고 되어 있다. - 신경통 : 율무와 구기자를 넣고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복용한다. - 위 암 : 율무와 구기자를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마시면 효과가 있다. - 위 염 : 구기자를 응달에 말려 차처럼 달여서 3~4일 마시면 특효약이다. - 심장쇠약 : 구기자차를 장기간 마시면 효험이 있다. - 폐결핵 : 구기자나무 뿌리를 생식하거나 구기자 차를 달여 장기간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 구기자차 다이어트 ** 1. 구기자차의 효과 구기자는 불로장생 식품이라고 불릴 정도로 건강에 좋고 맛과 향이 독특하여
차로 마시는 것이 가장 좋은데 하루 5잔 이상 마셔도 괜찮다.
구기자는 신장기능을 좋게 하고 폐와 호흡기 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추위를 타지 않게 하며 쉽게 피로한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다.
구기자는 정신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이 오랫동안 마시면
정신적 여유를 찾을 수 있다.
구기자는 시력을 좋게 하고 잦은 갈증에도 도움이 된다.
공복시 구기자차를 마시면 공복감도 줄일 수 있고 숙면을 취한다. 2. 다이어트 방법 구기자는 맑게 달이는게 맛과 향기가 좋은데 감초도 같이 넣고 약한 불에서
오래 달이는 것이 더욱 좋다.
검붉은 물이 우러나면 아주 고운 체에 걸려 보온병에 담아둔 후 수시로 마신다.
'보건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과의 전쟁 (0) | 2007.04.05 |
---|---|
구기자 & 오미자 & 연근 (0) | 2007.04.04 |
건강과 긍정적 생각 (0) | 2007.04.03 |
장에 좋은 음식 (0) | 2007.04.02 |
봄이되면 왜 피곤할까? (0) | 2007.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