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존 최고(最古) 비로자나불상, 국보 된다 한국 현존 최고(最古) 비로자나불상, 국보 된다 한국일보 | 인현우 | 입력 2015.10.26 15:34 통일신라 혜공왕 때 조성된 경남 산청군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현존 최고(最古)의 비로자나불상으로 꼽힌다. 문화재청 제공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것 중 가장 오래된 비로자나불상이 국보.. 역사관 2015.10.26
박대통령 11년전 “만주군 박정희? 우리 군대 없었으니까” 박대통령 11년전 “만주군 박정희? 우리 군대 없었으니까” 한겨레 등록 : 2015-10-22 16:09 수정 : 2015-10-22 17:52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14003.html?_ns=t0 2004년 한나라당 대표 시절 <한겨레21> 인터뷰 화제 “그래서 해방 뒤에 육사를 만들지 않았나 일제때 직업 가진 사람이 다.. 역사관 2015.10.23
바다를 제패한 아시아의 바이킹, 발해인들 [ 펌 - 발췌 ]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 <12> 바다를 제패한 아시아의 바이킹, 발해인들 중국은 동북공정을 추진하면서 '발해는 당 왕조가 관할한 소수민족 지방정권(渤海是我國唐王朝轄屬的少數民族地方政權)'이라고 했다. 역사를 뒤엎는 궤변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의 역사서 속.. 역사관 2015.10.20
與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사명" 여론전 총력 태세 이슈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與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시대사명" 여론전 총력 태세 연합뉴스 | 입력 2015.10.10. 12:11 | 수정 2015.10.10. 13:53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내일 첫 '교과서 당정'…단계별 추진 전략 논의 "野 국회일정 연계 시도, 국민이 용서치 않을 것" 새누리당은 10일 다음.. 역사관 2015.10.11
전담 집필자 두고 근현대사 비중 축소? 세부 내용보니.. 전담 집필자 두고 근현대사 비중 축소? 세부 내용보니.. 당정, 밀어붙이기 vs 야, 장외투쟁 시사 JTBC | 이승필 | 입력 2015.10.09. 20:33 [앵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 취재기자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승필 기자. 정부와 새누리당 움직임을 보면 국정화, 이제 기정사실이다 .. 역사관 2015.10.10
문화재청 "훈민정음 상주본 소유권 정부에 있어" 문화재청 "훈민정음 상주본 소유권 정부에 있어" 연합뉴스 | 입력 2015.10.09. 22:51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먼저 실물 공개해야"… 소장자 배씨 "1천억원 받고 헌납하겠다"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배익기 씨가 국가가 1천억원을 주면 헌납하겠다는 의사를 비.. 역사관 2015.10.10
근대 한글 활자 개발자는 서양 선교사들 근대 한글 활자 개발자는 서양 선교사들 한국일보 | 김혜영 입력 2015.10.08. 20:17 | 수정 2015.10.08. 22:16 교회 서적·교리 전파 위해 1870년대 日 등에 인쇄소 설립 류현국 교수 ‘한글 활자의 탄생’ 12년간 40여개국 답사, 활자화 과정·인쇄사 집대성 코스트 신부가 도쿄히라노활판제작소에서 .. 역사관 2015.10.09
바꾸려는 與·지키려는 野..이념전쟁터 된 역사교과서 바꾸려는 與·지키려는 野..이념전쟁터 된 역사교과서 헤럴드경제 | 입력 2015.10.08. 11:18 | 수정 2015.10.08. 11:45 與 “좌편향이 국론분열 부추겨” 野 “총선용 지지층 결집 꼼수다” 11일 당정, 단일교과서 확정 전망 정치권이 국정 한국사교과서(국정교과서)에서 시작된 ‘역사관 전쟁’으.. 역사관 2015.10.08
여의도 국회의사당은 어쩌다 지붕에 돔을 얹었나 [정리뉴스] 여의도 국회의사당은 어쩌다 지붕에 돔을 얹었나 경향신문 | 배문규 기자 입력 2015.10.03. 00:31 | 수정 2015.10.03. 00: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이 ‘불혹’(不惑·마흔 살)을 맞았습니다. 국회는 국회의사당 준공 40주년을 맞은 지난 9월1일 기념행사를 열고 ‘국회의원 단체 기념사진.. 역사관 2015.10.04
국정원장도 몰랐던 DJ-김정일 회담 [광복70년/한국 외교사 명장면] 국정원장도 몰랐던 DJ-김정일 회담 박지원-현대 이익치 秘線이 주도.. DJ "신빙성 있는지 잘 모르겠다" 동아일보 | 입력 2015.10.03. 03:05 | 수정 2015.10.03. 09:00 2000년 6월 역사적인 첫 남북 정상회담도 비선(秘線)에서 그 논의를 시작했다. 1999년 12월 취임한 임동원 .. 역사관 201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