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320194911637
일본인 65% "정상회담 잘했다"...
'위안부 거론' 말 다른 양국 정부
현영준 입력 2023. 3. 20. 19:49 수정 2023. 3. 20. 20:06
[뉴스데스크]
◀ 앵커 ▶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 정부는 한껏 고무된 모습입니다.
여론 조사에서 '잘했다'는 평가가 60% 이상 압도적으로 나왔고,
바닥을 기던 기시다 총리의 지지율도 반등했습니다.
도쿄 연결하겠습니다.
현영준 기자!
일본 정부가 이번에 참 잘했다,
일본 국민들 반응이 많이 좋은가보죠?
◀ 기자 ▶
네, 요미우리 신문 여론조사에선 65%가,
아사히 신문 조사에선 63%가
한일정상회담을 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일정상회담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호응에
일본 정부도 상당히 고무된 모습인데요.
관방장관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
"여론조사에 나타난 국민 여러분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한일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생각입니다."
특히 60세이상 고령자층만 놓고 보면
무려 69%가 잘했다고 평가했는데요,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이
반한 감정이 깊었던 고령자층에게는 '서프라이즈',
즉 깜짝 놀랄만한 제안이었다고 분석했습니다.
덕분에 그동안 꾸준히 하락하던
기시다 총리의 지지율은 소폭 상승해 40%대로
반등하는데 성공했습니다.
◀ 앵커 ▶
일본 입장에선 그만큼 얻은 게 많았다는 거겠죠.
그런데 과거 위안부 합의를 이행하라고 요구했다는 거,
우리 쪽은 논의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일본에선 위안부 논의가 있었다는 보도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어요?
◀ 기자 ▶
네 NHK와 교도통신에 이어
이번에는 산케이 신문도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위안부 문제 뿐만 아니라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철폐도 요구했고
자위대 초계기 논란도 현안으로 지적했습니다.
다만, 이 문제들에 대해 양국 정상간
구체적인 해법이나 진전이 있었던 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 앵커 ▶
위안부 문제 뿐만 아니라 독도문제도
우리 대통령실은 논의된 바 없다고 거듭해서
선을 긋고 있단 말이죠.
왜 이렇게 말이 다른 걸까요?
◀ 기자 ▶
네. 그래서 한일 양쪽의 말을 종합해 보면
일본 측은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거론하긴 했지만,
우리 정부나 윤 대통령이 이에 대해 대응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도 일본 언론에 계속 이런 문제가 나오는 것은
일본 정부가 보수지지층을 고려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내용을 언론에 흘리면서
여론을 우호적으로 끌고가려는 속셈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현영준 기자(yjun@mbc.co.kr)
https://v.daum.net/v/20230321000827741
日 여당의원, “더 이상 사죄 필요 없어”...
“위안부 합의 이행 요구 있었다”
지종익 입력 2023. 3. 21. 00:08
https://v.daum.net/v/20230320175817394
대통령실 "외교당국, 日 왜곡보도에 유감".. 여진 계속
손효정 입력 2023. 3. 20. 17:58
외교에서 에메모호 한 벌언의 결과 한국국민도 이해 못 하는데 일본인들 이해 할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고 둥굴뭉실 여론좋으면 그쪽으로 여론 안좋으면 그게 아니다 반론
뭘 어찌 알아 들어란 얘기 인지요
정상회담 내용에 없었는데 일본정부가 자국 정치용으로 독도를 이용하고 있다면 단교해야지.
얼마나 개호구를 잡혔길래 정상회담 내용을 왜곡하는데 찍소리를 못하는데
온 국민이 들고 일어날 판인데... 유감표명 갖고 되겠니?
니들말이 진실이고 일본언론이 거짓보도 하고 있다면 당당히 보도정정과 사과 요구해야지.
자국 언론은 우습고... 일본 언론은 떠받들어 줘야 하니?
전국서 타오르는 촛불을... 정녕 보고싶은 건희?
요미우리 신문에
한국 대통령을 그냥 '윤씨' 라고 대놓고 썼더라. 쪽 팔리지도 않나...
그 신문이 문재인 대통령은 '문대통령'이라고 썼었지
------------------------
https://v.daum.net/v/20230320202007140
커지는 대일외교 참사 규탄..
“윤 대통령·3인방 책임 묻겠다”
엄지원 입력 2023. 3. 20. 20:20 수정 2023. 3. 21. 00:00
김상희 위원장(사진 오른쪽에서 다섯째)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대일굴욕외교대책위원회 국회의원들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광화문광장에서
정부의 강제징용 배상 해법,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외교와 관련해
팻말을 든 채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최악의 굴욕 외교’라는 비판을 받는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후폭풍이 각계로 확산하고 있다.
20일 대학정책학회·전국교수노동조합 등
17개 교수·연구자 단체는
“역사상 최악의 외교참사가 발생했다”며
일제 강제노동 피해자 제3자 변제안 철회와
박진 외교부 장관 탄핵을 촉구했고,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은
전북 전주에서 정권 퇴진 촉구 시국미사를 열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박진 외교부 장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외교참사 3인방으로 꼽으며 문책을 요구했다.
야당은
정상회담 과정에 대한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은 물론
국정조사 실시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카드를 동원하겠다는
태도다.
대학정책학회 등 17개 교수·연구자단체는 20일
국회의원 단체인 ‘일본의 강제동원 사죄와
전범기업의 직접배상 이행을 촉구하는 의원 모임’ 소속 의원들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의 부당한 요구에 완전히 백기를 들었다”며
“대한민국의 모든 절대 이익을 양보한 반면
단 하나의 실익도 얻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신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제목의 성명서에
“한-일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이 보여준 굴욕적 투항은
역사의 교훈을 부정하는
대통령의 천박한 인식이 불러온 당연한 귀결”이라며
“정부 해법(제3자 변제안)을 당장 철회하고,
윤 대통령이 직접 어떤 책임을 질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를 향해선
“외교참사의 주무 장관 박진을 탄핵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에는
사단법인 외교광장 등 외교·평화 연구자 단체와
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 등 전국 교수·연구자 단체가
참여했다.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사제단)도
이날 저녁 전북 전주시 풍남문광장에서
‘검찰독재 타도와 매판매국 독재정권 퇴진 촉구 시국미사’를
열었다.
윤 대통령 취임 뒤
사제단이 정권 퇴진을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의기억연대도 성명을 내어
“피해자들과 시민단체를 걸림돌 취급하고
‘위안부’ 피해자에게 화해치유재단 잔여금을 활용하겠다는
망언을 규탄한다”며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국민과 피해자에게 사과하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압박 강도를 높였다.
이재명 대표는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윤석열 정권의 대일 굴욕외교 진상을 밝히기 위해서
국회가 강력한 조치에 나서야 한다”며
“우리 민주당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망국적 야합에 대한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박 장관과 김태효 차장은 약속이나 한 듯
언론에 나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정상회담 대화는 다 공개 못 한다’고
서둘러 덮으려는 모습뿐”이라며
“책임지고 당장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정의당과 함께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을 요구했다.
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신을사조약 진상규명 국정조사’ 추진 등
국회에서 동원할 수 있는 카드들을
종합적으로 따져보는 중”이라고 전했다.
민주당은 이날
당 대일굴욕외교대책위원회 주최로
‘한-일 정상회담 분석·평가 긴급좌담회’를 열기도 했다.
좌담회에서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은
박진 장관과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을 거명하며
“일본 정부를 존중하는 마음의 100분의 1이라도
피해자나 한국 국민에게 보여야 하지 않겠나.
이런 분이 정치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하는 데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며
이들에 대한 탄핵과 사퇴를 요구했다.
강창일 전 주일대사는
정상회담을 ‘백기투항’ ‘구걸’ ‘굴욕외교’라고 표현했다.
그는 일본 언론이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합의 이행이나 후쿠시마 등
수산물 수입 문제 등이 논의됐다고 보도한 것을
언급하면서
“한국 정부는 일본 외교부에, 총리실에
왜 의제에 없는 것을 이야기하냐고 항의를 했어야 하지 않냐”며
“(대통령실 설명대로) 논의하지 않았다는 건
가만히 있었다는 것 아니냐.
이렇게 굴욕적인 짓을 할 수가 있나, 이게 매국이다”라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세지는 '강제동원' 후폭풍... 학계 비판 성명에 시국선언 잇따라 (0) | 2023.03.22 |
---|---|
기소된 이재명... 승부처는 ‘4895억 배임’ 동기·고의성 입증 (0) | 2023.03.22 |
"굴욕 외교 중단하라"... '강제동원 해법·한일정상회담 규탄' 집회 (0) | 2023.03.19 |
“한일 정상회담 반대” 도심 곳곳 반대집회 잇따라 (0) | 2023.03.17 |
“전두환은 학살자” 폭로, 손자 전우원 인터뷰... “회개의 결과”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