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220503215536921
日자위대 F-35A 탑재용 장거리 순항미사일 전력화 지연
김호준 입력 2022. 05. 03. 21:55
'적 기지 공격 능력'에 필요한 타격수단 중 하나로 거론
日자위대 F-35A 전투기
[일본 항공자위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일본 항공자위대가 보유한
스텔스 전투기 F-35A에 탑재되는 장거리 순항미사일의
전력화가 지연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로 예정됐던 F-35A 탑재용 합동타격미사일(JSM)의
도입이 지연돼 구입비 149억엔(약 1천450억원)이
집행되지 않았다.
노르웨이 제품인 JSM은
사거리 500㎞로 함정 혹은 지상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납품이 지연된 이유는
JSM과 F-35A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미국제 데이터링크 장비가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방위성은 올해 중에도 JSM을 배치할 계획이나
공급이 막힌 미국 제품이 대외군사판매(FMS) 적용 장비이기 때문에
미국 측의 판단에 따라 배치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FMS는
미국이 동맹국에 정부 간 계약으로 군수품을 판매하는 제도를 말한다.
방위성은
난세이제도를 공격하는 적 함정을 막기 위해
JSM을 배치한다고 설명하나,
동해로 출격하는 F-35A에 탑재하면 북한 내 지상 목표물의 타격도
가능하다.
따라서 JSM은
일본 정부가 보유를 검토 중인 이른바 '적 기지 공격 능력'에 필요한
타격 수단 중의 하나로 거론된다.
집권 자민당은 지난달 27일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 적 기지 공격 능력의 명칭을
'반격 능력'으로 바꿔 관련 군사 능력을 보유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hojun@yna.co.kr
https://news.v.daum.net/v/20220503214218613
https://news.v.daum.net/v/20220503133412222
미국, 자주포 대만 판매철회 논란 속 고속기동 다연장 로켓 제안
김철문 입력 2022. 05. 03. 13:34
로켓 발사하는 HIMARS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행정부가
팔라딘 자주포의 대만 판매를 돌연 취소해
무성한 추측이 일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고속기동 포병 로켓 시스템(HIMARS) 지원을
새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3일 연합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국방부는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측이 M109A6 팔라딘 자주포의 대만 인도가
이르면 2026년 이후에야 가능하다면서
이를 대체할 무기로 HIMARS 등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대만 국방부는
미국측의 제안에 대한 평가 작업을 거쳐
대체 방안을 마련한 뒤 입법원(국회)의 다음 회기 내
예산안과 함께 송부해 심의를 거쳐 시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만의 전문가들은
미 행정부의 팔라딘 자주포 판매 중단 통보로 인해
대만군의 방위 작전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대만 국가정책연구기금회 제중(揭仲) 연구원은
HIMARS와 팔라딘 자주포의 임무가 서로 달라
상호 대체가 매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는
사거리가 24~30km인 팔라딘 자주포가
대만·펑후(澎湖) 방위작전 시 제일선의 지상부대에
화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게 주요 용도인 반면
HIMARS는 사정 42~300km로 주로 전선의 후방인
적의 동남 연해의 중국군 기지 및 상륙 선단 등
고가치 목표물에 대한 타격이 주요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만이 HIMARS의 추가 구매에 나선다고 해도
최대 수량이 17기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를 통해 유사시 일선 부대의 급변하는 상황 등에 따라
지속적인 화력 지원을 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제중 연구원은
특히 사격 지휘소(FDC)의 정보에 따라 통상 포탄을 발사하는
대만 포병의 경우 첫 포사격까지 5분이 소요될 수 있지만
팔라딘 자주포는 1분 내로 사격이 가능해
자주포가 대만 방어 작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만은
올해 HIMARS 구매를 위해 151억 대만달러(약 6천470억원)를
편성해 오는 2027년까지 11기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 국무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최근 155mm 팔라딘 자주포의 대만 판매 중단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일으켰다.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맞서 독립노선을 추구하는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이 이끄는 대만 정부는
미국의 적극적 지원 아래 F-16V 전투기, M1A2T 전차 등의 무기를
대거 수입하는 한편 자체 기술로 비대칭 전력을 확충해
중국의 군사 압박에 맞서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미군이 운용하는 팔라딘 자주포 [연합뉴스 자료사진]
jinbi100@yna.co.kr
https://news.v.daum.net/v/20220503092556062
대만 美 'M270 MLRS' 수입 가능성에 中 긴장
[아시아경제 베이징=조영신 특파원] 미국이 대만에 수출하기로 한 'M109 A6 팔라딘 자주포' 등 7억5000만달러 규모 무기 계약을 취소했다고 중국 매체들이 보도했다. 중국 매체들은 미국이 우크라이
news.v.daum.net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젤렌스키, 러 협상 조건으로 '영토 복구·EU 가입' 등 제시 (0) | 2022.05.08 |
---|---|
룰라 전 브라질 대통령 "젤렌스키, 푸틴만큼 전쟁에 책임" (0) | 2022.05.05 |
이탈리아 꺾고 韓전투기 날았다, 콜롬비아 7600억 수출 임박 (0) | 2022.05.02 |
"우크라 지원하다가.. 美미사일 비축 물량 급격히 감소" 뉴스위크 보도 (0) | 2022.04.29 |
미, 러 천연가스 공급 중단하자 수출 확대로 응수 (0)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