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v.daum.net/v/20210403213721285
[소멸의 땅]①
너도나도 서울로.. 지방이 사라진다
이형관 입력 2021. 04. 03. 21:37 수정 2021. 04. 03. 21:58
[앵커]
"국토가 골다공증에 걸렸다"는 한탄이 나올 정도로,
지방 마을 곳곳이 텅 비어가고 있습니다.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빈집만 늘어나고,
일자리는 점점 더 줄어들고 있는데요.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의 실태를 오늘(3일)과 내일(4일)
'9시 뉴스'와 '시사기획 창'을 통해 집중 진단합니다.
이형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북 군위의 한 시골 마을,
폐허가 된 빈 집들이 곳곳에 방치된 채 들어섰습니다.
[경북 군위 주민 :
"마을이 없어지는 기분이고, 젊은 사람도 안 들어오고 하니까, 안 좋지."]
영화의 무대가 되기도 했던 곳.
[영화 '리틀 포레스트' :
"돌아왔다, 집으로. 고향은 언제나 좋다."]
청년들의 꿈은 한낱 이야기일 뿐, 현실은 전혀 달랐습니다.
현재 군위군민 2만 3천 명 중 60대 이상 고령자는 절반이 넘습니다.
하나 뿐인 종합병원은 7년 전 문을 닫았습니다.
[김성자/경북 군위군 군위읍 :
"그러니까 불편하죠.
여기는 2층, 3층 입원실이었는데 (이제는) 없으니까."]
소멸 위기는 도심 지역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전북 익산시는 지난 40년 동안 인구가 25% 이상 감소해
대표적인 '축소 도시'로 불리고,
부산은 최근 인구 340만 명이 무너지면서
인천에 '제2의 도시'라는 자리를 내어줄 처지에 놓였습니다.
[이상호/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
"중소산업도시들의 쇠퇴 문제,
더 나아가서는 대규모 산업직접지의 쇠퇴 문제가
실질화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보고요."]
학령 인구 감소와 함께 청년 인구의 수도권 선호로
올해 지방거점국립대 9곳 가운데 8곳이 모집 정원의
100%를 채우지 못했습니다.
[채지희/경북대 4학년 :
"적어도 (취업준비생) 반 정도는 서울에 가려고 하지 않을까.
지방대를 나와서, 지방에서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니까."]
청년 인구가 줄어든다는 건 좋은 일자리도 함께 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120조 원 규모의 투자가 기대되는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구미시민들은 엄동설한에 얼음물까지 뒤집어쓰며 지역 유치를 염원했지만,
결론은 수도권이었습니다.
[강현수/국토연구원장 :
"서울과 가까워야지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고요.
고급 연구 인력을 지방에서 구하기 어려우니까 (기업들이) 수도권으로
옮겨가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수도권 쏠림이 계속된다면,
30년 뒤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46%가 사라질 거라는 우울한 전망이 나옵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영상편집:김대영
이형관 기자 (parole@kbs.co.kr)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시, 구리시, 코로나19 안심콜 출입관리시스템 도입 (0) | 2021.04.06 |
---|---|
내일부터 식당 방문하면 출입명부 '이렇게' 써야 합니다 (0) | 2021.04.05 |
'내곡동·자책골·여성 매수·전셋값'.. 재보선 D-5 막판 변수는? (0) | 2021.04.03 |
"차마 MB당은 못 찍겠고.." 정권심판론 바람 속 40대의 '복잡한 마음' (0) | 2021.04.03 |
강남 7층 건물 흔들려 긴급대피.. 며칠 전엔 땅꺼짐 (0) | 202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