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717185104356?d=y
봉오동전투 최진동, 임정 김희선.. 민낯 드러난 가짜 유공자
[서울신문] 류지영
입력 2019.07.17. 18:51 수정 2019.07.18. 05:06
[3·1운동, 임시정부 100년-가짜 독립유공자 대해부] <1>
부풀려진 대한민국 서훈자
지난 4월 충남 연기군에 있는 독립운동가 김정필의 묘소에서 인부들이
거짓 독립운동 행적이 적힌 비문을 철거하고 있다.
2015년 김정필의 증손자 종갑씨는 자신의 증조부가 가짜 독립운동가임을 고백했다.
EBS 다큐 '시선' 화면 캡처
2017년 8월 우리 사회에 놀라운 소식 하나가 전해졌다.
한 70대 시민이 '자신의 증조할아버지가 가짜 독립유공자였다'는
사실을 솔직히 밝혀 정부로부터 이를 인정받은 것이다.
조상의 독립운동을 부풀리는 사례는 허다했지만,
그 반대로 조상의 허위 공적을 스스로 바로잡은 것은 처음이었기에
화제가 됐다.
주인공은
독립유공자에 이름을 올렸던 김정필(1846-1920)의 증손자 김종갑(77)씨.
그는 2015년 용기를 내 광복회 대전충남지부 김영진 감사를 찾아가
오랜 세월 숨겨온 이야기를 털어놨다.
국가보훈처의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에 따르면
김정필은 충남 대덕 출신으로 1907년 의병장 한봉수(1883~1972)의
밑에 들어가 경기 용인, 여주 등에서 격전을 치렀다.
중국 만주로 망명한 뒤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에 참가했다가
일본 경찰에게 살해됐다.
1968년 김씨의 당숙(아버지의 사촌형제)이 서훈을 신청했고
정부는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1991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4등급)도
추서했다.
하지만 종갑씨는 모든 것이 이상했다.
자신의 증조부가 그토록 엄청난 활동을 했는데도 집안 사람 누구도
이를 알지 못했다.
증조부가 봉오동 전투에 참가했던 나이도 75세로 격한 신체활동을 하기
힘들 때였다.
공훈록에는 그가 1920년 사망했다고 나오지만 실제 증조부는 1925년
세상을 떠났다.
알고 보니 당숙이 보훈 연금을 타내려고 똑같은 행적의 동명이인 공훈을
가로채 서훈을 신청한 것이었다.
진실을 알게 된 종갑씨는 고민 끝에
국가보훈처에 "증조부에 대한 서훈을 취소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사실이 아닌 것을 묻어두는 것이야말로 선대를 욕보이는 죄악이다.
정부가 유공자 전수조사를 실시한다는 소식이 들리는데 '가짜 유공자'
논쟁을 없애는 계기가 돼야 한다"면서
"가짜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하루빨리 서훈을 자진 반납하고 역사를
바로잡는 데 동참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 공식적 서훈 취소 '가짜 유공자'는 39명
과거를 청산하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목소리가 높지만
3·1운동 100주년을 맞은 올해에도 독립유공자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는 작업도 중요하지만 '가짜'들을 솎아내
역사의 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고 학계와 시민사회는
입을 모은다.
아직도 수많은 가짜 독립운동가가 버젓이 예우받는 것이 '불편한 진실'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2월 독립유공자 서훈이 박탈된 동아일보 설립자 김성수.
서울신문 DB
● 보훈처, 서훈자 1만 5180명 전수조사
17일 보훈처가 내놓은 '독립유공자 서훈 취소 현황'을 보면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서훈이 취소된 '가짜 독립유공자'는 39명이다.
2011년에는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2005~2009)가 내놓은
반민족행위자(1006명) 명단을 토대로 허위 공적자 19명에 대한 서훈을 취소했다.
2017년에도 동일인 중복 서훈 등 가짜 유공자 15명을 추려냈다.
지난해 2월에는 동아일보 설립자 김성수(1891~1955)의 서훈이 박탈됐다.
학계에서는 아직도 드러나지 않은 가짜 독립유공자가 100명이 넘을 것으로 본다.
이용창 민족문제연구소 편찬실장은
"과거 자료가 워낙 부실하다 보니 같은 공적으로 이중 포상이 이뤄진다거나
흠결이 있는 분들까지도 잘못 서훈된 사례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봉오동 전투의 주역임에도 훗날 친일파로 변절해 일제에 충성한 최진동.
서울신문 DB
● 공적 도용 등 가짜 유공자 30~40명 추가
가짜 유공자 논란이 끊이지 않자 보훈처는 지난해 11월
"서훈자 1만 5180명에 대해 전수조사를 벌이겠다"고 약속했다.
1976년 이전 서훈자 가운데 우선 검증 대상 587명에 대한
1차 조사 결과를 먼저 발표한다.
이들 587명은 1949~1976년에 당시 문교부와 총무처가 서훈한
독립유공자 가운데 1990년 재검증에서 빠진 이들이다.
과거에는 건국훈장이 3등급(중장, 복장, 단장)이었다가
1990년부터 5등급(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으로
확대됐다.
이때 보훈처는 새로 생겨난 4~5등급(애국장, 애족장)에 해당하는
이들을 선정하고자 일부 유공자에 대해 재검증 작업을 벌였다.
그간 유공자 전수조사를 주장해 온 윤석경 전 광복회 대전충남지부장은
"이번이야말로 역사를 바로 세우고 보훈처가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학계에 따르면
보훈처는 이번 조사에서 독립운동 행적이 지나치게 부풀려지거나
남의 공적을 도용한 가짜 유공자 30~40명 정도를 추가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인물로는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김희선(1875~1925)과
봉오동 전투의 주역으로 알려진 최진동(1883~1945) 등이다.
● 김희선의 상하이 임시정부 행적 지나치게 과장
김희선은 조선 말기 육군참령(소령)으로 활동하다가
1907년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자 항전을 주도했다.
평안도 안주군수로 있다가
1910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관직을 버리고 중국 상하이로 탈출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해 군무부차장(국방부차관)을 지냈고
1920년 만주로 건너가 대한청년단연합회·대한독립단·서로군정서를
통합한 대한광복군총영을 설치했다.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이 추서됐다.
그는 1925년 지린성 지안현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백범일지에는 그가 "임정 군무부차장 때 일본군에게 항복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적혀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그의 행적이 지나치게 과장됐다"고 주장해 왔다.
최진동은 함경북도 온성 출생으로
중국 만주로 망명해 1919년부터 청년들에게 군사훈련을 시켰다.
1920년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제19사단 보병부대와 교전해 500여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거뒀다.
이후에도 북간도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무장항일운동을 이어 갔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이 추서됐다.
하지만 그는 1937년 중일전쟁에서 일본의 위력을 확인한 뒤 돌연 친일파로
변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군 토벌대의 선두가 돼 항일무장세력 진압에 앞장섰고
자신의 독립운동 과거를 속죄하고자 일제에 거액의 국방헌금을 냈다는
의혹도 있다.
막대한 재산으로 독립운동과 친일행각을 동시에 벌인 것으로 의심받는
인물이다.
이에 대해 최진동의 유족은
"(친일 의혹은) 몇몇 학자들이 감정에 기반해 작성한 그릇된 자료가 바탕이 됐다"면서
"특히 일제의 비행기 제조를 돕고자 헌금을 했다는 일부의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반박했다.
정부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은 올해 가짜 유공자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하지만 친일 행적 인물들의 현충원 안장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고도 국립묘지에 묻히는 이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보훈처와 민족문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현재 서울현충원에만 친일 인사 37명이 안장돼 있다.
이 가운데는 국가기관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된 인물도 7명이나 있다.
이들은 공식적으로 친일 행위가 확인됐음에도 여전히 현충원에서
진짜 독립유공자들과 함께 있다.
7명 가운데 한 사람인 이종찬(1916~1983)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나와 1942년 2월 일본군 최고 영예인 금치훈장을 받을 정도로
일제에 협력했다.
그럼에도 해방 이후 육군참모총장을 지냈다는 이유로 현충원에 묻혔다.
2015년 9월 안장된 김홍준(1915~1946)은
만주국이 세운 간도특설대에서 항일무장세력을 소탕하는 데 가담했다.
하지만 그 역시 대한민국 국방경비대총사령부 근무 경력을 인정받아 국립묘지 안장
자격을 얻었다.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친일 인사 가운데 한 사람인 김창룡.
서울신문 DB
● '김구 암살 배후 의혹' 김창룡도 국립묘지에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친일인사 28명을 더하면 그 수는 65명으로 늘어난다.
대전현충원에 있는 친일 인사 가운데
일본군 헌병 오장(분대장) 출신 김창룡(1920~1956)은
김구(1876~1949) 암살의 배후에 있었다는 의혹을 받는다.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관계자는
"현충원에 반민족·민주행위자들이 버젓이 묻혀 있는 것은
민족정기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하루빨리 개정해
이미 안장돼 있는 자도 이장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역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만 원권 신사임당 그림의 비밀.. 친일 후손에게 '입금' (0) | 2019.08.18 |
---|---|
홍콩 언론 "1987년 한국 대선 전 여당 부정선거 모의" (0) | 2019.07.22 |
훈민정음 상주본, 강제로 회수할 방법 없나? (0) | 2019.07.18 |
파묻었던 '일제 만행'.. 봉인 열릴까 두려운 아베 (0) | 2019.07.12 |
'독가스 사용기록' 공개한 일본 학자 "역사 겸허히 바라봐야" (0) | 201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