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506214730057?f=p
[르포]
"산불은 나지만 큰불은 없다".. 핀란드의 비결은?
유광석 입력 2019.05.06. 21:47 수정 2019.05.06. 22:10
[앵커]
전국 곳곳,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산불들,
지난달 국가 재난 사태까지 부른 강원 산불처럼
크게 번지지 않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산불은 나지만, 큰불은 없다는 핀란드에선
어떤 효율적인 진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유광석 특파원이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십년 된 나무들이 봄볕을 받아 싱그러움을 더합니다.
당초 벌목과 목재 운반을 위해 대형 트럭이 지날 수 있을 만큼
넓게 만든 산림도로는 불이 나면 소방차 진입로가 됩니다.
숲속 어느 지점에서든 3~400 미터만 가면
이 같은 산림도로를 만날 수 있습니다.
소방차가 화재 현장에 그만큼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깊은 숲 속까지 그물망처럼 촘촘히 놓인 산림도로로 인해
숲이 평균 1.5헥타르 미만의 작은 단위로 나뉘다보니
큰불이 날 가능성도 줄어듭니다.
[헨리크 린드버그/해메 응용과학대학 교수 :
"매우 효율적인 땔감 차단 작용을 합니다.
산림도로엔 무기물만 있어 불이 여기서 저지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사전 예방입니다.
핀란드 기상청은
기온과 습도, 강수량 등을 토대로 매일 산불위험지수를
발표합니다.
최고 6인 위험지수가 4를 넘으면 TV와 라디오, 인터넷, SNS
등을 통해 경보를 발령하고 특별 경계태세에 들어갑니다.
[라미 루스카/핀란드 내무부 구조선임관 :
"(경보가 발령되면) 매우 주의해야 하고
야외에서 불을 피워선 안됩니다."]
조기경보가 발령되면 항공 감시도 시작됩니다.
화재 기미가 보이면 즉각 위치와 규모를 소방당국에 알려
소방차가 출동할 수 있게 합니다.
[페트리 탈리카/칸타-해메소방서 구조팀장 :
"항상 가장 가까이 있는 소방대가 화재에 대응하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핀란드에서도 연평균 천여 건의 산불이 나지만
이런 노력 덕분에 연간 피해 면적은 5백여 헥타르,
전체 산림의 5만분의 1에 불과합니다.
빠른 화재 포착과 신속한 진화로 1등 산림국가의 숲이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습니다.
헬싱키에서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유광석 기자 ( ksyoo@kbs.co.kr)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 '벼락' 맞은 천리안 1호.. '구름 사진' 끊겨 (0) | 2019.05.11 |
---|---|
노후 경유차를 하이브리드 차로.. '엔진 개조 기술' 공개 (0) | 2019.05.10 |
항진균제 안 듣는 슈퍼곰팡이.. 국내 '2명 사망' 확인 (0) | 2019.05.07 |
북 공개 '신형 전술유도무기', 탄도 미사일과 비교해보니.. (0) | 2019.05.06 |
美 "터키가 러 S-400 도입 강행하면 F-35 공동생산 중단" (0) | 2019.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