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320194619767?rcmd=rn
땅 속 흐르고 있는 물 6천 톤.. 누가 언제 다 빼내나
황의준 입력 2019.03.20. 19:46 수정 2019.03.20. 21:00
[뉴스데스크]
◀ 앵커 ▶
그런데 이 발전소 땅밑에는
아직도 당시에 채운 물이 6천 톤 남아있다고 합니다.
그대로 둬도 되는 건지, 아니면 또다른 화근이 되는건 아닌지
황의준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리포트 ▶
포항지열발전소의 사업자는 넥스지오란 이름의
자원 개발 업체입니다.
회사는 지난 2016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발전소를 시험가동하면서
총 1만3천톤의 물을 땅에 주입했습니다.
시험을 거듭하면서 7천톤은 밖으로 빼냈지만
포항지진이 일어나면서 6천톤의 물은 여전히 땅 속에 남아있습니다.
문제는 이 물 때문에 추가적인 여진이 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이진한/고려대 지구환경공학과 교수]
"큰 지진은 그만큼 가능성이 적어졌지만 계속해서 (진도) 2~3 정도의
지진은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들이 어떻게 모여 유체압(수압)이 높아지면 물의 양과 상관없이
또 지진이 태동될 수 있는거죠."
실제로 스위스 바젤의 경우도
발전소를 폐쇄한 뒤 남아있는 물을 빼내는 과정에서
지진이 다시 발생했습니다.
[김광희/부산대 지질환경공학과 교수]
"단층이 깨졌다, 찢어졌다 이렇게 얘기했잖아요.
아직 물이 남아있는데 그 물의 영향이 지속되는 지 안되는 지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죠."
남은 물을 누가 어떻게 처리할 지도 쟁점입니다.
사업자인 넥스지오 측은 포항지진 이후 자금난을 겪으며
지난해 9월 법정관리에 들어가 복구비용 마련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기술적 어려움도 커서 업체측은 충분한 준비없이 배출을 하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넥스지오 관계자]
"5.4 지진이 나면서 지하 환경이 많이 바뀌었지 않습니까.
그런 상태라면 펌핑을 이용한 강제배수는 힘들 수 있습니다.
배출가능한 수량자체가 없을 수도 있고…
그 전이라면 좀 더 적극적으로 강제배출시키기도 하고…"
정부 주도로 시작된 사업인만큼
복구책임이 정부에 있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어서
손해배상 소송 등 법정에서 복구 주체가 가려져야 할 수도 있습니다.
MBC뉴스 황의준입니다.
관련 태그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P "文대통령의 '외교결례'? 당사국은 신경 안써" (0) | 2019.03.24 |
---|---|
15년 전부터 켜진 '경고등'.. 몰랐거나 무시했거나 (0) | 2019.03.21 |
전기차의 '역습'.. "공장에 사람 많을 필요 없다" (0) | 2019.03.19 |
1+ 한우 먹고 1++ 가격 내고.. "가격 거품, 소비자만 골탕" (0) | 2019.03.17 |
수천억 주고 들여왔는데.. "유지비 물며 세워둘 판" (0) | 201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