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관

도로 방음벽에 손톱만 한 점들 붙였더니.. '놀라운 변화'

기산(箕山) 2019. 2. 18. 00:01

https://news.v.daum.net/v/20190217211202834


도로 방음벽에 손톱만 한 점들 붙였더니.. '놀라운 변화'


                                                                                      이용식 기자 입력 2019.02.17. 21:12 수정 2019.02.17. 22:22




<앵커>


도로 양옆으로 세워진 투명한 방음벽에 부딪혀서 죽는 새들이 정말 많습니다.

저희가 계속 문제를 제기해서 정부도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데

투명 방음벽에 손톱만 한 점들을 붙였더니 놀라운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이용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전에서 세종 사이 도로의 투명방음벽 아래에 물까치 두 마리가 죽어있습니다.

이곳은 4계절 내내 죽은 새들이 발견될 만큼 새 충돌사고가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환경부가 지난해 12월 22일

방음벽에 6mm 크기의 사각점을 5cm 간격으로 빼곡하게 붙이고 새 충돌 여부를

모니터했습니다.


사각점을 붙여놓은 이곳 투명방음벽은 길이가 110m에 높이는 10m나 될 만큼

대형 방음벽입니다.


최근까지 50일 동안 야생조류 폐사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1년 전 이곳에서 같은 기간 새 20마리가 숨진 채 발견됐던 것과

비교해 놀랄만한 변화입니다.


사각점을 붙이지 않은 투명 방음벽 주변에서는 50일 동안 16마리의 폐사체가

발견됐습니다.


천연기념물인 새매도 방음벽에 부딪쳐 죽었습니다.


[김영준/국립생태원 부장 :

비록 작은 점이라 하더라도 새들은 거기가 비어있지 않고

뭔가 차있는 공간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사고가 나지 않습니다.]


기존의 맹금류 스티커에 비해 빈 공간이 없는데다 경관도 가리지 않습니다.


환경부는 오는 4월 말까지 모니터를 계속한 뒤

사각점 스티커를 새 충돌 방지수단으로 채택할지 결정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강윤구·김민철)

이용식 기자yslee@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