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81105214420883?d=y
1600억 든 미사일 '해궁'.. "딱 한 번 실험 하고 합격 판정"
정새배 입력 2018.11.05. 21:44 수정 2018.11.05. 22:44
[앵커]
군이 우리 해군 함정에 탑재할 신형 함대공 미사일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당초 군이 요구한 기준에 못 미치는데도
엉터리 실험으로 합격 판정을 받고 실전 배치까지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변국들의 미사일 성능을 고려해보면
이래서야 적의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보도에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5월에 진수한 해군의 최신예 상륙함 '마라도함'입니다.
해병대와 승조원 등 병력 천여 명과 각종 장비를 실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적 항공기와 미사일을 격추하는 함대공 미사일
'해궁'을 탑재할 예정입니다.
군은 올해 실험에서 해궁이 표적 10발 가운데 9발을 맞췄다며
합격 판정을 내리고, 내년부터 양산에 돌입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확인 결과 이 실험에 쓰인 표적의 속력은 마하 0.5.
북한의 '금성 3호'를 비롯해 주변국 해군이 운용하는
대함 미사일의 속도 마하 0.9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그마저도 실제 미사일은
요격을 피하기 위해 해수면을 스치듯 비행하는 데 반해,
표적기 대부분은 훨씬 높은 고도로 비행해 격추가 쉬웠습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음성변조 :
"유도탄이라는 게 쏘면 운용모드 별로 '시스키밍'
(해수면을 스치듯 비행하는 것) 하게끔 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고 하니까..."]
게다가 군 당국이 요구한 성능은
주변국 미사일 개발 상황을 고려해 마하 2.0 속도도 요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하지만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위사업청은
초음속 표적의 경우 시뮬레이션만 거친 뒤 실험을 마무리했습니다.
[김중로/바른미래당 의원/국방위원 :
"그냥 시뮬레이션만 해가지고 실전배치를 한다?
그걸 어떻게 장병들이 믿고 운영하겠어요.
방어는 한 번 뚫리면 함정 자체가 위험에 처하니까..."]
해궁의 개발에 들어간 돈은 모두 1600억 원.
양산에는 앞으로 5600억 원이 추가로 투입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정새배기자 (newboat@kbs.co.kr)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부등본 공신력 보장하라".. 들끓는 민심 (0) | 2018.11.09 |
---|---|
당진화력 저탄장 20여일째 불.. 주민 두통 호소에도 '쉬쉬' (0) | 2018.11.08 |
초유의 '무기 빅딜'.. 국산 훈련기 유럽 수출 청신호 (0) | 2018.11.04 |
거지도 'QR코드' 쓰는 中.. 지갑 없이 3주 살아봤더니 (0) | 2018.11.04 |
정부 "시속 25km 미만 개인형이동수단 면허면제 검토" (0) | 201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