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관

1600억 든 미사일 '해궁'.. "딱 한 번 실험 하고 합격 판정"

기산(箕山) 2018. 11. 6. 03:20

https://news.v.daum.net/v/20181105214420883?d=y


1600억 든 미사일 '해궁'.. "딱 한 번 실험 하고 합격 판정"


                                                                                             정새배 입력 2018.11.05. 21:44 수정 2018.11.05. 22:44




[앵커]


군이 우리 해군 함정에 탑재할 신형 함대공 미사일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당초 군이 요구한 기준에 못 미치는데도

엉터리 실험으로 합격 판정을 받고 실전 배치까지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변국들의 미사일 성능을 고려해보면

이래서야 적의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보도에 정새배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5월에 진수한 해군의 최신예 상륙함 '마라도함'입니다.

해병대와 승조원 등 병력 천여 명과 각종 장비를 실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적 항공기와 미사일을 격추하는 함대공 미사일

'해궁'을 탑재할 예정입니다.


군은 올해 실험에서 해궁이 표적 10발 가운데 9발을 맞췄다며

합격 판정을 내리고, 내년부터 양산에 돌입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확인 결과 이 실험에 쓰인 표적의 속력은 마하 0.5.

북한의 '금성 3호'를 비롯해 주변국 해군이 운용하는

대함 미사일의 속도 마하 0.9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그마저도 실제 미사일은

요격을 피하기 위해 해수면을 스치듯 비행하는 데 반해,

표적기 대부분은 훨씬 높은 고도로 비행해 격추가 쉬웠습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음성변조 :

"유도탄이라는 게 쏘면 운용모드 별로 '시스키밍'

(해수면을 스치듯 비행하는 것) 하게끔 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고 하니까..."]


게다가 군 당국이 요구한 성능은

주변국 미사일 개발 상황을 고려해 마하 2.0 속도도 요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하지만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위사업청은

초음속 표적의 경우 시뮬레이션만 거친 뒤 실험을 마무리했습니다.


[김중로/바른미래당 의원/국방위원 :

"그냥 시뮬레이션만 해가지고 실전배치를 한다?

그걸 어떻게 장병들이 믿고 운영하겠어요.

방어는 한 번 뚫리면 함정 자체가 위험에 처하니까..."]


해궁의 개발에 들어간 돈은 모두 1600억 원.

양산에는 앞으로 5600억 원이 추가로 투입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정새배기자 (newboat@k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