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대학별 교수성명 잇달아

기산(箕山) 2015. 9. 16. 02:44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대학별 교수성명 잇달아 (종합)

 

                                                                                                연합뉴스 | 입력 2015.09.15. 18:54

                                                                                                (서울=연합뉴스) 이효석 기자

 

부산대·덕성여대·고려대교수들 "시대에 역행…국정화 중단해야"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교수들의 집단 성명이 대학별로 이어지고 있다.

 

부산대학교 역사 관련학과 교수 24명 전원은 15일 성명을 내고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대학 사학과, 고고학과, 역사교육과 교수 등으로 재직 중인 이들은 성명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이라는 헌법 정신에 위배된다"면서

"국정 교과서 제도는 일제 식민통치 체제와 유신 때만 있었던 독재 권력의 산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서

"교과서 국정화는 학생들에게 획일적인 역사 인식을 강요하는 폭력"이라면서

"정치권은 국정화를 즉각 중단하고, 역사학계를 망라한 '역사교육위원회'를 구성해

전문성 있는 학계에 교육 제도를 맡겨야 한다"고

요구했다.

 

비역사 전공을 포함한 덕성여대 교수 40명도 이날 성명을 내고

"한국사 국정화 반대가 우리 사회의 공통된 여론인데 교육부만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민주화로 인해 검정 교과서 제도로 바뀐 지 불과 10년도 채 안 돼

국정 교과서 제도로 회귀하는 것은 백년지대계인 교육에 대한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고려대학교 인문사회계 교수들도 16일 오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담은 교수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선언에는 역사계열 교수 20여명과 함께 인문사회계열 교수 140여명이 이름을 올렸다.

 

정태헌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교과서라는 게 기본 틀은 공유하되 그 안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도록 해야 하는데

아예 국정화를 해버리겠다는 건 시대에 역행하는 방침"이라면서

"교수들이 상당히 보수적임에도 이렇게 들고 일어나는 건 그만큼 기본이 흔들리고 있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hyo@yna.co.kr

(끝)

 

---------------------------------------------------------------------------------------------------------------

 

고려대 교수 160명, "교과서 국정화 반대" 성명 발표

 

                                                                                          중앙일보 | 조혜경 | 입력 2015.09.16. 11:33

 

고려대학교 교수 160명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에 반대하는 고려대학교 교수 성명’을 발표했다.

 

정태헌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를 비롯한 6명의 교수들은 16일 오전 10시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에서 반대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서에는 역사학과 교수 20여명을 비롯한 인문사회계열 교수 160명이 서명했다.

 

정 교수는 성명서를 낭독하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행위이며, 헌법 가치를 파괴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또 “국정화를 통한 단일한 역사인식은 결국 정부의 입김에 좌우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교수들은 성명서를 통해

“근대 교과서 발행 제도는 유신 정권 하에서 국정으로 바뀌었다가 근래에 와서 비로소 검정제를 회복했다”며

“오늘날 세계적으로 교과서 발행은 검인정제에서 자유발행제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는데,

국정화는 이런 세계적 추세를 거스르는 것일 뿐 아니라 독재로의 회귀를 상징하는 반민주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교과서 국정화는 국격을 떨어트리는 행위라는 의견도 나왔다.

 

교수들은

“국정 역사 교과서는 북한 등 극소수 특수 국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과거사 청산 문제로 대립하고 있는 일본도 역사 교과서는 검정으로 발행한다”며

“민주적 합의에 의한 당면과제를 방기한 채 추진되는 국정화는 정치적 갈등과 사회적 분열만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혜경 기자 wiseli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