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나무 [ginkgo, 銀杏 ―]식물브리태니커
은행나무목(銀杏―目 Ginkgoales)에서 유일하게 살아 있는 대표적인 교목.
은행나무목은 은행나무과(銀杏―科 Ginkgoaceae)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이 과는 고생대 이첩기(2억 8,600만~2억 4,500만 년 전)에 나타난 15속(屬)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긴크고이테스속(Ginkgoites)과 바이에라속(Baiera)은 모두 멸종했는데,
현생하는 은행나무 잎과 비슷한 잎이 화석으로 남아 있다.
중국이 원산지인 은행나무를 종종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사람이 심지 않고 야생으로 자라는 은행나무가 있는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절의 뜰에 심어왔으나,
지금은 곰팡이와 벌레에 강하고 아름다운 관상수로서 세계 여러 곳에서 귀중하게 쓰고 있다.
대부분의 겉씨식물과는 달리 도심의 탁한 대기 속에서도 살 수 있다.
은행나무는 생김새가 피라미드형으로 둥그런 기둥처럼 생긴 줄기에 가지가 많이 달리지 않으며,
키 30m, 지름 2.5m까지 자란다.
수피(樹皮)는 오래된 나무의 경우 회색빛이 돌고 골이 깊게 패어 있으며 결이 코르크 같다.
목재는 엷은 색깔이며 가볍고 약하여 경제적 가치는 거의 없다.
잎은 부채 모양으로 공작고사리의 잎을 닮았으며 짧고 두꺼운 어린 가지에 달린다.
가죽질의 잎은 길이가 8㎝에 이르고 너비는 그 2배가 되기도 한다.
2개의 나란히맥이 긴 잎자루의 부착점에서 각 잎사귀 쪽으로 뻗어 잎가장자리로 가면서 반복되어 갈라져 있다.
대부분 잎은 가운데 있는 V자형의 새김을 중심으로 둘로 나누어져 있다.
잎은 여름에는 흐린 회녹색에서 황록색을 띠나 가을에는 황금색으로 바뀌며 늦가을까지 나무에 붙어 있다가 떨어진다.
수그루의 꽃가루를 만드는 소포자낭과 암그루의 밑씨는 서로 떨어져 달린다.
바람에 의해 수그루의 꽃가루가 암그루로 전해진다.
암그루의 쌍을 이루고 있는 밑씨가 수정되면 노란 빛을 띤 살구 모양의 씨로 되는데,
씨는 길이가 약 2.5㎝이며 악취가 나는 노란색의 껍질로 둘러싸여 있다.
은빛을 띠며('ginkgo'라는 영어 이름은 중국과 일본의 은색 견과, 은살구라는 말에서 유래) 구우면 맛이 있지만,
다 익은 다육질의 껍질은 매우 불쾌한 냄새를 풍겨 암그루는 정원에 심기에 적당하지 않다.
원기둥 모양의 것이나 성장이 잘 되는 것, 아름다운 낙엽을 가진 것 등 원하는 특성대로
여러 가지 변종들을 조경에 이용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언제부터 심어왔는지 확실하지 않은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경기도 용문사에 있는 은행나무의 나이가 1,100년이 넘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에 승려들이 중국에서 씨를 가져와 절 근처에 심은 것이 전국으로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용문사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된 것을 비롯하여 19그루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은행나무는 불에 잘 타지 않고 병충해에 강해 오래 살며 흔히 정자나무로 많이 심고 있다.
싹이 튼 지 20년 이상이 지나야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데,
씨를 심어 손자를 볼 나이에 열매를 얻을 수 있다고 하여 공손수(公孫樹)라고도 부른다.
가을에 껍질 안에 들어 있는 씨를 까서 구워먹거나 여러 요리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껍질을 벗겨 말린 씨를 백과(百果)라고 하는데, 폐와 위를 깨끗하게 해주며, 진해·거담에 효과가 있다.
씨를 둘러싸고 있는 물렁물렁한 겉껍질은 불쾌한 냄새가 나며 피부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잎에는 여러 가지 화합물이 들어 있는데, 특히 방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틸산이 있어
잎을 책 속에 넣어두면 책에 좀이 먹지 않으며,
몇몇 플라보노이드계(系) 물질은 사람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나무목에 속하는 화석식물이 여러 곳에서 20여 종류가 발견되고 있다.
-----------------------------------------------------------------------------------------------------
은행의 효능...
은행의 효능에 대해서 살펴보면,,,
은행은 천년 이상 사는 낙엽성 고목으로,
할아버지때 심어 손자때 열매를 따먹는다 해서 '공손수'라 불립니다.
은행열매의 경우 삶게 되면 100g당 180kcal로 다른 견과류의 칼로리에 비하면 낮은 편에 속합니다.
☆ 우선
야뇨증 치료에 탁월합니다.열매를 불에 굽거나 팬에 소금을 뿌려 볶아 매일 5알정도 먹이면 밤에 오줌을 싸는 어린이들에게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방법 : 소금에 살짝 볶아 하루에 4~5알씩먹이면 됩니다.
☆ 그리고
기침이나 가래, 천식에도 좋은데요.은행은 폐 기능을 도와서 호흡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방법 : 은행잎과 햇순을 1회분 5~6g기준으로 달여 하루 두세번씩 마셔주면 됩니다.
☆ 또한 고혈압 치료에도 탁월한데,
은행잎과 감초를 함께 달여 마시면 몸속 독소를 빼주고 혈압을 내려가게 해줍니다.
*방법 : 은행잎 35g에 감초 15g을 넣고 달인물을 수시로 마셔주시고 은행잎을 쪄서 만든 차를
하루에 2~3잔씩 마셔주면 좋습니다.
☆ 마지막으로 탈모예방에 좋은데,
은행잎의 경우 혈액순환과 혈관벽의 탄력을 좋게해 모근의 영양이 가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
은행의 특징과 효능
은행(銀杏) - 백과(白果)
은행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존재하는 식물중의 하나이다.
은행은 낙엽성(落葉性) 고목으로 1000년 이상씩 살며, 銀杏科(은행나무과)에 속한다.
은행나무에서 나오는 소지(小枝)를 건조한 것을 민간에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은행나무의 씨를 백과(白果)라고 한다.
이명(異名)으로는
압각수(鴨脚樹), 부지갑(不指甲), 영안(靈眼), 은행씨, 은행나무, 으능나무, 은행(銀杏)등으로 불린다.
중국에서는 할아버지가 심어서 손자 때 열매를 따먹는다 해서 공손수(公孫樹)라고 부른다.
(그만큼 나무를 심어서 열매를 맺기까지가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또 압각수(鴨脚樹)라고 부르게 된 것은 은행나무의 잎이 오리 발가락 모양이기 때문이며,
은행나무의 종자는 은(銀)처럼 희고, 열매는 살구씨 같기 때문에 은행(銀杏)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은행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우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이며,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은행나무들이 더 크고, 유효 성분 함량 또한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무의 높이는 30m가량 되며, 잎은 어긋나고 부채 모양이다.
꽃은 암수 각기 딴 그루로 5월의 짧은 가지에서 잎과 함께 피어난다.
수꽃은 밑으로 늘어진 꼬리를 이루며 1∼5개 달린다.
암꽃은 하나의 가지에서 1∼6개가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길이 2㎝ 정도의 자루 끝에 2개씩의 배주가 마주 붙고 그 중 1개만 1월에 결실을 하게된다.
은행나무의 열매는 외종피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며, '비오볼'이라는 독성 물질이 들어 있어서
옻이 오른 것 같은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
은행나무에는 '플라보노이드'라는 살충. 살균 성분이 있어 병들거나 벌레나 해충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은행잎을 책갈피에 끼워 두는 것은 운치뿐만 아니라 책에 좀이 슬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잎을 헝겊에 싸서 집안 구석에 나두면 해충 등이 없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은행은 예로부터 그 잎과 열매, 뿌리까지 한방과 민간요법에서 여러 질환에 약물로 쓰여왔으며,
은행은 백과(百果) 라고 해서
진해(鎭咳), 거담(祛痰), 천식(喘息), 유정(遺精), 자양(滋養), 대하증(帶下症), 임병(淋病) 등에 쓰이며,
은행잎은 관상동맥경화(冠狀動脈硬化)로 인한 심장병, 협심증(狹心症)과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돕기 때문에 고혈압(高血壓)에도 사용된다.
또한, 흉통(胸痛), 해수(咳嗽), 심계(心悸) 등에도 쓰인다.
성분
은행에는 신경조직성분인 레시틴과 아스파라긴산과 비타민D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 함유되어 있어
성욕감퇴(性慾減退)나 신경쇠약(神經衰弱), 전신피로(全身疲勞) 등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은행열매에는 글로불린을 비롯하여 단백질, 지방, 칼슘, 단백질, 인, 철분, 펙틴, 비타민 A, B1, B2 등이 들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이용방법과 주의사항
가래를 없애주고 위(胃)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는데 겉껍질을 벗긴 은행을 참기름에 담갔다 먹거나,
씨를 바른 대추와 함께 구운 다음 식혀 먹으면 증상이 나아진다.
② 어린이의 야뇨증(夜尿症)에
잠자기 3~4시간 전에 은행 대여섯 알을 구워 먹으면 좋다.
③ 부녀자의 대하증(帶下症)에
대하증에 시달리는 부녀자들은 은행열매와 마(산약)을 같은 분량으로 섞어 가루를 낸 뒤
밥을 먹기 전에 12g 정도씩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④ 아이가 밥을 안 먹을 때(감병-疳病)
백과(은행)을 3g정도 꾸준히 다려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다.
⑤ 고혈압일 때
그늘에 말린 은행잎 35g과 감초 15g을 넣고 달인 물을 수시로 마시면 혈압을 내릴 뿐 아니라
몸에 쌓인 독을 풀어준다.
은행은 이처럼 여러 가지 질환 등에도 쓰이지만,
특별히 어떤 질병이 없더라도 꾸준히 은행을 복용하면 여러 질병을 막을 수 있다.
은행은 대개 소금을 쳐서 구워 먹는데,
은행에는 고유 풍미 성분인 청산(靑酸)이 들어 있어서 계절적으로 맹독성(猛毒性) 청산화합물이 생성되어서
때로는 중추신경(中樞神經)의 자극과 마비를 일으킬 수가 있다.
때문에 많이 먹으면 구토(嘔吐), 설사(泄瀉), 발열(發熱), 경련(痙攣)증세 등의 중독(中毒)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10알 이상 먹는 것을 금(禁)하는 것이 좋다.
동의보감 (東醫寶鑑)
性寒味甘有毒 : 淸肺胃濁氣 定喘止咳 (성한미감유독 : 청폐위탁기 정천지해)
성질이 차고 맛은 달며 독성이 있다. 폐와 위의 탁한 기를 맑게 하고 숨찬 것과 기침을 멎게 한다.
------------------------------------------------------
은행, 은행잎의 효능
△ 영양학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은행열매에는 글로불린을 비롯하여 단백질, 지방, 칼슘, 단백질, 인, 철분, 펙틴, 비타민 A, B1, B2 등이 들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 지방을 제거하고 골연화증을 예방한다.
은행 열매에는 혈관 벽에 엉겨 붙은 지방 찌꺼기를 제거하고 신경조직의 성분이 되는 레시틴과
비타민D의 모체인 ‘엘고스테린’이 함유돼 있다.
이 성분들은 칼슘의 체내 흡수를 촉진하고 골연화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인 성분이다.
△ 혈액순환촉진을 한다.
은행잎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 약품 ‘징코민’도 은행나무 잎에서 추출한 천연 혈액순환 촉진제였다.
독일이나 프랑스에선 은행잎 추출물로 만든 혈액순환제가 혈관 장애나 치매증, 뇌기능 개선제로 판매되고 있다.
△ 각종성분이 풍부하다.
은행의 성분은 전분과 소량의 자당, 당질(38%)로 구성돼 있다.
당질과 지질이 많은 편이고, 칼슘, 칼륨, 인, 철 등 무기질이 골고루 함유돼 있다.
△ 정력을 강화시킨다.
은행에는 정력을 강화시키는 비타민B1과 E가 풍부하며,
나무의 열매에서 찾기 힘든 카로틴과 비타민C도 들어있다.
△ 면역기능을 높인다.
이 같은 비타민은 인체의 면역기능을 높이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혈관 속에 있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억제하는 작용도 한다.
△ 은행 알은 하루에 5~6개 정도 먹어야 한다.
은행은 계절에 따라 독성이 있는 청산 화합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간혹 중독사건이 발생하기도 한다.
성인의 경우 하루 5∼6개 정도 먹을 경우 강정효과와 함께 혈관을 건강하게 하는 효능을 볼 수 있다.
△ 은행알은 조리해서 먹는다.
덜 익은 열매일수록 청산 화합물이 많기 때문에 반드시 조리해서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극단적인 사례지만 한꺼번에 150개 이상 은행을 먹을 경우 구토와 호흡곤란 등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의학계의 보고도 있다.
△ 은행나무는 살충, 살균 성분이 있다.
은행나무에는 ´플라보노이드´라는 살충. 살균 성분이 있어 병들거나 벌레나 해충이 먹는 일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은행나무의 열매는 외종피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며, ´비오볼´이라는 독성 물질이 들어 있어서 옻이 오른 것 같은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
△ 소변이 불규칙 할때 은행알을 먹는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소변이 불규칙할 땐 은행을 구워 먹기도 했다.
민간에서는 고혈압이 있거나 생리통을 앓을 땐 은행잎 또는 줄기를 달여 먹었다고 한다.
△ 기침할 때
가래를 없애주고 위(胃)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는데 겉껍질을 벗긴 은행을 참기름에 담갔다 먹거나,
씨를 바른 대추와 함께 구운 다음 식혀 먹으면 증상이 나아진다.
△ 은행잎 술의 신비한 효능
뇌경색, 시력장애, 류머티스까지 한방에 격퇴.
푸른 은행잎의 후라보노이드라는 성분은 모세혈관의 흐름을 원활히 해주고 혈관을 강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헐고 쇠약해진 혈관의 벽을 치유해주고, 뇌와 내장, 그리고 손, 발끝의 말초에 이르기까지
혈액이 골고루 흐르게 해 준다.
따라서 뇌졸중이나 심장병 등 각종 성인병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은행나무 잎으로 만든 술이 노인성 질환에 놀랍도록 큰 효능을 발휘한다.
은행잎 술을 만드는 방법은 지극히 간단하다.
푸른 은행나무 잎을 소주에 담그기만 하면 된다.
실제로 은행잎 술을 마시고 노안이 개선되어 신문을 읽을 때 끼던 안경도 필요 없게 됐다는 사람이 있고,
관절염이나 심장병, 치매 같은 노인성 질환에도 효과가 있었다는 사례가 많이 있다.
은행알 자체를 술을 담구어 일 년이 지나면 은행알의 성분이 찐하게 우려 나온다,
이것을 아침 저녁으로 한잔씩 마시면 좋다.
△ 은행을 장기 보관할 경우 알이 썩거나 말라버리기 때문에 잘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은행잎과 은행의 효능
- 주성분은 당질, 지방질, 단백질, 카로틴, 비타민C, 칼슘, 칼륨, 인, 철분
- 강장 효과가 뛰어난 정력식품.
- 신경조직의 모태가 되는 레시틴, 아스파라긴산.
- 소변이 잦을때
- 야뇨증일 때
- 기침이나 천식
- 한방에서는 기름에 절인 은행알을 결핵 치료제로 사용.
- 종기가 생겼을 때 싱싱한 열매를 문지르면 살균 작용.
- 은행을 가루내어 대추와 함께 먹으면 현기증을 치료하고 머리가 맑아짐.
- 어린이 설사에 유효.
- 여성들의 갱년기와 불감증 치료.
- 기관지 천식일 때 콩기름이나 식물성 기름에 3개월 숙성후 아침, 저녁 한알씩.
- 기관지염일 때 기침, 가래에 은행이 좋음.
- 그리고 은행보다 더 약효 좋은 은행잎.
☆ 은행잎에 들어있는 '폴라보노이드'는 유해 산소를 없애고,
세포막을 보호하여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징코플라톤'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혈전을 없애며 혈액의 노화를 막는다.
☆ 민간에서는 가슴앓이, 가래와 천식, 설사, 백태, 상피증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널리 쓰였다.
[Tip. 은행! 이렇게 보관하세요]
은행은 10월에 종자를 채취하여도 은행알 속에 있는 배가 덜 성숙한 상태이므로,
완전하게 말린 다음 냉장고나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서 보관한다.
■ 은행잎은 공기를 맑게 하고, 바퀴벌레를 막아요.
은행나무는 여러가지 공해 물질을 정화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가로수로 은행나무를 많이 심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또한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집 안에 두면 좋다.
은행나무는 흔히 밖에 심는 것으로만 생각하지만, 집 안에서도 얼마든지 키울 수 있다.
병들거나 벌레가 생기지 않아 키우기도 까다롭지 않다.
은행나무를 화분에 심어 집 안에 들여놓으면, 풍성한 은행잎이 보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집 안 공기를 항상 맑게 유지할 수 있다.
[바퀴벌레는 이제 안녕~]
은행나무에는 벌레가 끼지 않는다.
은행나무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살균·살충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는 딱정벌레도 굶어 죽을지언정 은행잎은 절대로 먹지 않는다고 한다.
단풍이 든 은행잎을 헝겊으로 싸서 집 안 구석구석에 두면 바퀴벌레 등의 해충을 막을 수 있다.
[책 보관을 깨끗이]
책 사이에 은행잎을 끼워두면 책벌레를 막을 수 있다.
오랫동안 보관해두었던 책을 꺼내 보면 좀이 슬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은행잎을 이용하면 아끼는 책을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은행잎에 들어 있는 ‘부틸산’이라는 화합물은 방충작용을 한다.
■ 약이 되는 은행의 대표적인 효능 8가지
◆ 폐결핵과 천식에 좋아요
은행은 폐와 관련된 병에 약효가 뛰어나고, 폐 기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 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은행잎이나 햇순을 1회분 5~6g 기준으로 달여서 하루에 두세 번씩 5일 이상 마시면 기침이 멎고,
은행잎이나 줄기를 1회분 4~6g 기준으로 달여서 하루에 두세 번씩 4~5일 정도 마시면
가래가 없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갱년기에 목에 가래가 끓는 경우에는 은행에 은행 양의 20배 되는 물을 붓고
1시간 정도 달인 물을 마시면 증상이 사라진다.
[오줌싸개에게는 구운 은행을~]
은행을 불에 직접 굽거나 프라이팬에 소금을 살짝 뿌려 볶아 먹는다.
한번에 4~5알씩 먹으면, 성인병을 예방하고 정력을 좋게 한다.
자기 전에 볶은 은행을 1~5알 먹으면 오랫동안 오줌을 참을 수 있다.
오줌싸개 어린아이에게 하루에 5알 정도의 은행을 구워 먹이면 며칠 이내에 효과를 볼 수 있다.
화장실에 자주 들락거리는 사람은 은행을 찌거나 데쳐서 하루에 7알 정도 먹으면 효과가 있다.
■ 은행으로 만든 천연 화장품 6가지 - 준비할 재료 : 은행 50알, 꿀 ½컵 약한 불에서 저어가며 익힌 뒤 식혀 유리그릇에 담는다.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세안 후 물기를 닦고 골고루 펴 바른 다음 30~40분 뒤 따뜻한 물로 씻어낸다. [거친 피부를 촉촉하게 은행곡물영양팩] - 만드는 법 & 사용법 - - 준비할 재료 : 은행 20알, 곡물가루 1큰술, 달걀 1개. 은행을 살짝 볶아 속껍질을 벗긴 뒤 달걀과 함께 믹서에 곱게 간다. 여기에 곡물가루를 넣어 고루 섞는다. 깨끗이 세안한 뒤 얼굴에 고루 펴 바르고 랩을 씌운다. 40분 정도 지난 뒤 랩을 떼어내고 따뜻하게 적신 타월로 닦아내고 찬물에 적신 타월로 한번 더 닦는다. [여드름 피부에 강력 효과 은행달걀팩] 단 예민한 피부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보통 피부라면 1주일에 1회 정도 사용한다. - 준비할 재료 : 은행 5알, 달걀 1개(작은 것) 깨끗이 세안한 뒤 물기를 닦고 팩을 얼굴에 마사지하듯 펴 바른다. 30분쯤 지나 마르는 듯 조여오면 따뜻한 물로 씻어내고 찬물로 헹군다.
화농성 여드름 피부에 치료 효과가 있고, 넓은 모공을 좁혀주며 잔주름과 각질을 없애준다.
- 만드는 법 & 사용법 -
은행의 속껍질을 벗긴 뒤 믹서에 곱게 갈아 꿀과 함께 작은 냄비에 담아 불에 올린다.
여드름, 기미를 치료하며 거친 피부를 부드럽게 해준다.
잔주름과 넓은 모공에도 효과적이다.
화농성 피부에 강력한 치료 효과가 있다.
- 만드는 법 & 사용법 -
은행은 살짝 볶아 속껍질을 벗긴 뒤 달걀과 함께 믹서에 곱게 간다.
'보건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 살리는 바른 자세, 이렇게 해라 (0) | 2013.03.21 |
---|---|
매실의 효능... 매실액(매실청, 매실원액) (0) | 2013.03.21 |
척추후만(kyphosis)운동 (0) | 2013.03.19 |
두충나무-고혈압 / 골다공증 / 요통(디스크) (0) | 2013.03.19 |
봄 향기 가득 담은 쑥요리 (0) | 201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