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MBC | 김연국 기자 | 입력 2011.05.20 22:34 | 수정 2011.05.20 22:39 [뉴스데스크]◀ANC▶고등학교 역사 교과서가 또 좌편향 논란에 휘말렸습니다.현 정부 출범 이후 끊이지 않고 있는 역사교과서 논란.쟁점과 배경은 무엇인지 김연국 기자가 보도합니다.◀VCR▶올해부터 새로 채택된 한국사 교과서들입니다.교과서 2종에 실린 피카소의 그림 < 한국에서의 학살 >. 이른바 뉴라이트 진영은 "미군의 양민학살만 부각시켰다"고 공격하고 있고, 집필진은 "전쟁의 비참함을 보여준 예술작품"이라고 반박합니다.분단과 정부 수립도 쟁점입니다.◀INT▶ 이명희 교수/공주대"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체성에 대해 서술하지 않거나 소략하게 취급했습니다. 일부 교과서는 매우 부정적으로 대한민국 정통성을 서술했습니다."◀INT▶ 김한종 교수/한국교원대"대한민국의 건국 자체는 굉장히 중요하고 의미가 있는 거죠. 그런데 통일정부가 되지 못하고 남북이 분단됐다. 그게 아쉽다. 이것을 가지고 부정적으로 서술했다고..."역사교과서 편향 논란은 현 정부 출범 직후 본격화됐습니다.2008년 정부는 역사교과서 4종이 좌편향이라며 직권수정한데 이어, 검정위원들을 대거 교체했습니다.그렇게 올해 새로 만든 교과서가 논란에 휩싸였고, 정부는 역사교과서를 또 새로 만들기로 했습니다.당시 좌편향 논란을 주도했던 뉴라이트 인사들은 오늘 출범한 < 한국현대사학회 > 라는 단체에 대거 참여했습니다.교과서로 대표되는 주류 역사학계, 그리고 여기에 맞선 우파 인사들.가장 첨예한 것은 역시 현대사입니다.◀INT▶ 권희영/한국현대사학회 회장"대한민국 정권 자체의 전체적인 성격을 아주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그래서 대한민국에 대해 부정적 정체성을 갖도록 만드는 교과서가 존재한다고 하는 것은 사실입니다."◀INT▶ 주진오 교수/상명대"군사쿠데타를 혁명이라고 이야기하고 싶고, 그 이후에 이루어진 경제성장을 내세워 독재를 미화하고 싶고, 그런 식으로 몰고 가 보수층의 단결, 이런 것을 의도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영국의 사학자 홉스봄은 역사가를 "사람들이 잊고 싶어하는 것을 기억하는 사람" 이라고 했습니다.역사는 자기성찰이라는 뜻입니다.지금 벌어진 교과서 좌편향 논란이 우리 미래세대에게 어떤 성찰의 기회를 줄 수 있을까요?◀INT▶ 이만열/전 국사편찬위원장"가령 나라를 사랑한다고 할 적에 오 대한민국 하던 그런 식으로 사랑하는 방법도 있고, 비판하면서 사랑하는 방법도 있지 않습니까.여간 비판적이 있더라도 그것을 수용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건강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MBC뉴스 김연국입니다.(김연국 기자 ykkim@imbc.com)
[뉴스데스크]◀ANC▶고등학교 역사 교과서가 또 좌편향 논란에 휘말렸습니다.현 정부 출범 이후 끊이지 않고 있는 역사교과서 논란.쟁점과 배경은 무엇인지 김연국 기자가 보도합니다.◀VCR▶올해부터 새로 채택된 한국사 교과서들입니다.교과서 2종에 실린 피카소의 그림 < 한국에서의 학살 >.
이른바 뉴라이트 진영은 "미군의 양민학살만 부각시켰다"고 공격하고 있고,
집필진은 "전쟁의 비참함을 보여준 예술작품"이라고 반박합니다.분단과 정부 수립도 쟁점입니다.◀INT▶ 이명희 교수/공주대"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체성에 대해 서술하지 않거나 소략하게 취급했습니다.
일부 교과서는 매우 부정적으로 대한민국 정통성을 서술했습니다."◀INT▶ 김한종 교수/한국교원대"대한민국의 건국 자체는 굉장히 중요하고 의미가 있는 거죠.
그런데 통일정부가 되지 못하고 남북이 분단됐다. 그게 아쉽다.
이것을 가지고 부정적으로 서술했다고..."역사교과서 편향 논란은 현 정부 출범 직후 본격화됐습니다.2008년 정부는 역사교과서 4종이 좌편향이라며 직권수정한데 이어,
검정위원들을 대거 교체했습니다.그렇게 올해 새로 만든 교과서가 논란에 휩싸였고,
정부는 역사교과서를 또 새로 만들기로 했습니다.당시 좌편향 논란을 주도했던 뉴라이트 인사들은
오늘 출범한 < 한국현대사학회 > 라는 단체에 대거 참여했습니다.교과서로 대표되는 주류 역사학계, 그리고 여기에 맞선 우파 인사들.가장 첨예한 것은 역시 현대사입니다.◀INT▶ 권희영/한국현대사학회 회장"대한민국 정권 자체의 전체적인 성격을 아주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그래서 대한민국에 대해 부정적 정체성을 갖도록 만드는 교과서가
존재한다고 하는 것은 사실입니다."◀INT▶ 주진오 교수/상명대"군사쿠데타를 혁명이라고 이야기하고 싶고,
그 이후에 이루어진 경제성장을 내세워 독재를 미화하고 싶고,
그런 식으로 몰고 가 보수층의 단결, 이런 것을 의도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영국의 사학자 홉스봄은 역사가를
"사람들이 잊고 싶어하는 것을 기억하는 사람"
이라고 했습니다.역사는 자기성찰이라는 뜻입니다.지금 벌어진 교과서 좌편향 논란이 우리 미래세대에게
어떤 성찰의 기회를 줄 수 있을까요?◀INT▶ 이만열/전 국사편찬위원장"가령 나라를 사랑한다고 할 적에
오 대한민국 하던 그런 식으로 사랑하는 방법도 있고,
비판하면서 사랑하는 방법도 있지 않습니까.여간 비판적이 있더라도 그것을 수용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건강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MBC뉴스 김연국입니다.(김연국 기자 ykkim@imb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