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관

與 선거 완패 뒤 벌써부터 '친이-친박' 분열조짐

기산(箕山) 2010. 6. 5. 02:17

與 선거 완패 뒤 벌써부터 '친이-친박' 분열조짐

                                                                                  노컷뉴스 | 임진수 | 입력 2010.06.04 15:57

                                                                                  [CBS정치부 임진수 기자]

한나라당이 6.2지방선거에서 패배한 뒤 선거결과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

4대강 사업과 세종시 수정안 추진 등 정책현안과 관련해

벌써부터 친이계와 친박계간 분열조짐을 보이고 있다

선거참패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하며 공격의 포문을 먼저 연 것은 친박계다.
친박계 구상찬 의원은 3일 자신의 홈페이지 글에서

"한나라당은 선거가 진행되는 동안 오만의 극치를 보였다"며

"중간벨트의 완승을 섣부르게 언론에 흘리고 한나라당 내부권력 관계를

선거라는 공간에서 전략적으로 이용했다"며

선거책임을 주류 친이계에게 돌렸다.

 

 

구 의원은 이어

"지금까지 추진하고 있는 '세종시 수정안', '4대강 사업'과 같은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는 사업을 전면 중지 또는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박성향의 이한구 의원 역시 4일 CBS 라디오 '이종훈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민들이 반대하고 있는 세종시 수정안을 강행처리 하거나,

4대강을 무조건 밀어붙이겠다는 생각은 바꿔야 한다"며

선거패배의 책임을 국정운영 방향과 방식에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한발 더 나아가

"세종시 수정안이 절대로 안된다는 국민적 인식이 확인됐다"면서

"세종시 수정안을 들고 나왔던 총리 이하 중요한 사람들은 물러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 역시

"원칙을 안지키고, 약속과 신뢰를 안지키고 4대강 사업,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한 것에 대해

잘 따져봐야 한다"며

"국정운영과 집권여당의 역할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친박계가 전면에 나서 친이계를 공격하고 나선 것은

그동안 지방선거를 앞두고 역풍을 우려해 계파의 충돌을 최소화 했지만

이제는 할말은 해야겠다는 입장변화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천안함이 불러온 북풍을 등에 업고 선거 승리에 대한 자신감을 보인

정부와 여권 주류 측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박근혜 무용론' 등을 제기하며

정략적으로 이용한 점이 친박계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익명의 한 친박계 핵심의원은

"친박은 그동안 당내에서 귀향살이를 했는데 이제는 하지 않겠다"며

"밖으로 떠벌리고 다니지는 않겠지만 조용히 당내에서 견제하겠다"며

친박계가 느끼는 솔직한 심경을 대변했다.

이에 반해 주류 친이계는

친박계가 제기하는 '선거패배 책임론'에 대해 정면대응은 피하면서도

4대강과 세종시 수정안 등 현정권의 정책현안이 선거결과에 따라 좌초되지 않을까

노심초사 하는 모습이다.

친이직계 강승규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갈등만을 재생산하는 계파간 경쟁구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친박계의 공격에 대한 정면 대응을 피하며 선거패배 책임론이 당내 분열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했다.

강 의원은 이어

"4대강 살리기라든지 세종시 수정안 등에 대해서 선거 이슈나 그 결과에 따라

중단되고 또 다시 시작되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친박계와 다른 목소리를 냈다.

같은 친이계 김영우 의원 역시

"4대강과 세종시 수정안은 본질의 실패라기 보다는 설득과정의 실패"라며

"백년대계를 위해 추진하는 정책을 선거결과에 따라 바꾸는게 오히려 포퓰리즘"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선거패배와 관련해서는

"건전한 토론이 돼야지 '박근혜는 왜 돕지 않았느냐',

'주류는 왜 정국을 독단적으로 운영했느냐' 등으로 다투는 것은 좋지 않다"며

친박계와의 갈등 양상으로 치닫는 것을 경계했다.

 

친이계는 이번 선거패배의 원인이 '4대강과 세종시 등에 대한 국민의 심판',

'과도한 북풍에 대한 역풍'이라는 분석들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친이계로서는 자칫 친박계가 주장하는 것처럼 선거패배의 원인이

정책현안의 무리한 추진 때문이라는 쪽으로 기울 경우

이는 현 정권의 레임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같은 이유때문에 이 시점에서 친이계가 쉽게 4대강과 세종시 문제를 털고 나갈 수 없어

앞으로 이를 둘러싸고 친이계와 친박계의 분열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jslim@cbs.co.kr

[관련기사]
'친박' 구상찬 "정부여당, 석고대죄해야"
與 6.2지방선거 결과 '참패'…朴-夢 '시련의 계절'
정몽준 vs 친이계, 의정부시장 공천 두고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