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세계가 인정한 조선왕릉의 문화적 우수성

기산(箕山) 2009. 6. 27. 16:50
세계가 인정한 조선왕릉의 문화적 우수성

 

                                                                            연합뉴스 | 입력 2009.06.27 14:44| 수정 2009.06.27 16:27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조선왕릉 40기 전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왕릉 전체의 통합적 관리 인정받아
자연경관 융합, 공간배치 뛰어나


조선왕릉 40기 전체(북한소재 2기 제외)가 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조선왕조 유산의 우수성을 세계로부터 인정받았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한국은 이로써 조선왕릉을 포함해 세계유산 9건을 보유한 나라가 됐다.
유네스코는 등재 평가 보고서에서 조선왕릉은 유교적, 풍수적 전통을 근간으로 한
독특한 건축과 조경 양식을 지닌 점, 제례의식 등 무형의 유산을 통해 역사적인 전통이 이어져 온 점, 조선왕릉 전체가 통합적으로 보존관리 되는 점을 들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

유네스코는 문화재 지킴이, 전주이씨대동종약원 등 지역ㆍ사회 공동체가 문화재 보존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봤다.

또 조선왕릉이 능침공간, 제향공간, 진입공간으로 나뉘고 공간마다 독특한 조성방식과 석물이 있어
전체 공간 구성에서 가치가 있다는 점과 도시화로 말미암은 피해가 거의 없으며 문화재보호법
제정돼 완충지역에서 개발행위를 금지한다는 사실도 등재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조선왕릉은 같은 유교문화권인 중국과 일본, 베트남 등의 왕릉과 비교했을 때도 독자성을 인정받았다. 평지에 능을 인공적으로 조성하는 중국 왕릉과 비교하면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뤘으며 일본 왕릉에
비해서는 더 긴 역사를 자랑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제례 공간인 종묘(1995년)와 왕실 생활문화공간인 창덕궁(1997년)에 이어 사후세계 공간인
조선왕릉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조선왕조의 문화적 우수성과 독창성을
세계가 널리 인정했다는 의미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조선왕릉은 전문가들로부터 한국의 독자적인 문화와 중국의 성리학 이론, 자연경관을 적절하게
융합했으며 공간배치, 석물의 조형도 빼어난데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왕조가 500년 이상 이어졌고 모든 왕과 왕비의 능이 온전히 남아 있는 사례는 세계적으로도
조선왕릉이 유일하다.

왕릉을 이루는 광대한 수목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부분적으로 사라지고 외곽의 경계가 약간 변형된
사례도 있지만 왕릉을 형성하는 핵심 부분은 조선 시대의 형태를 거의 그대로 간직한 채 현재까지
보존ㆍ관리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관리인인 능참봉과 관리 시설인 재실과 수복방을 뒀으며
해방 이후에는 문화재관리국에서 조선왕릉을 관리하면서 현재까지 원형을 잘 보존할 수 있었다.

매년 제향일에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과 능별 봉향회를 중심으로 제례절차에 맞춰 제례를
치루는 것도 살아있는 유산의 전형을 보여준다.

시기별로 공간의 크기, 시설물의 건축 형식, 석물의 사용과 규모 등에서 각각 차이가 있어
이를 통해 당시의 시대적 사상과 정치사, 예술관을 살펴볼 수 있고 왕릉 조성에 대한 내용은 의궤,
능지 등 여러 기록문헌에 담겨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풍수를 고려해 입지를 선정해 자연환경을 최대한 고려하면서도 제례공간으로서 위엄과 상징성도
갖춘 것으로 평가받았다.
능의 전체 형태와 석물, 석조시설 등은 예술적으로 조선만의 고유한 독창성까지 보여주고 있다.

각 능은 본래의 자연지형을 보존하기 위해 단릉, 쌍릉 등 다양한 형식으로 조성됐으며
정자각, 수복방, 수라간, 재실 등 제례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설만 설치해 자연과 조화를 이뤘다.

유교의 전통을 바탕으로 하면서 매장자의 극락영생을 염원하는 불교적 요소와 12지신상 등
도교적 전통이 반영되는 등 여러 전통 사상을 집적하면서도 고도의 미적 간결함을 표현하는
유산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국왕의 무덤은 절대 왕권을 과시하기 위해 규모를 크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나
조선왕릉은 유교적 위민사상에 따라 규모가 과대하게 크지 않은 것도 특징이다.

도성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범위에서 풍수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위치를 찾다 보니
특정 지역에 집중해 있는 것이 아니라 입지 조건이 우수한 여러 곳에 산재해 있다.

조선왕릉의 세계유산 등재는 기존에 등재된 종묘, 창덕궁과 시너지효과를 일으켜
조선왕조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관광산업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관광객이 20% 늘어난 제주도가 좋은 예다.

kimyg@yna.co.kr
(끝)

 

 

 

 

조선왕릉군, UNESCO 세계유산 됐다

 

                                                             뉴시스 | 이민정 | 입력 2009.06.27 11:07 | 수정 2009.06.27 11:09

                                                           【서울=뉴시스】


동구릉, 광릉 등 수도권의 왕릉부터 강원도 영월의 장릉까지 이르는 조선왕릉군이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이 됐다.

26일(현지시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리고 있는 제 33차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위원회에서
조선왕릉 40기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해당 국가의 국가 이미지가 높아진다. 그에 따른 관광효과도 기대된다.
유산은 항시 유네스코 협약으로 보호를 받게 되며, 자연재해나 재난 시 유네스코로부터
기술 및 재정 등을 지원받게 된다.

 
유네스코는 조선왕릉의 유교적, 풍수적 전통을 근간으로 한 독특한 건축과 조경양식 등의
가치를 인정했다.
지금까지 제례의식 등 무형의 유산을 통해 역사적인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는 점,
조선왕릉 전체가 통합적으로 보존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높게 평가했다.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의 발전적 보존을 위해 일부 훼손된 능역의 원형을
보존하고, 개발압력에 따른 완충구역에 적절한 보존지침을 마련, 시행하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종합적인 관광계획 마련과 안내해설 체계 마련 등도 조언했다.

조선왕릉의 세계유산 등재로 한국은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수원 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종묘, 창덕궁, 제주화산섬·용암동굴 등
총 9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특히 종묘 및 창덕궁에 이어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됨에 따라 조선왕조 관련 문화유산들이
대부분 세계유산 리스트에 오르며 그 문화적 우수성과 독창성을 인정받게 됐다.

한편, 이번 세계문화유산위원회에서는 2004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독일의 '드레스덴 엘베계곡'이
세계유산 자격을 박탈당했다.

1972년 세계유산보호협약 탄생 이후 등재됐던 유산이 세계유산 리스트에서 삭제되는 경우는
처음이다.
엘베계곡 한 가운데 현대적 다리 건설 등이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훼손했다는 이유다.

현재 145개국에 걸쳐 679개의 문화유산, 174개의 자연유산, 25개의 자연문화유산이
유네스코가 인류를 위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 세계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이민정기자 benoit0511@newsis.com

 

 

 

 

조선왕릉의 비밀

 

                                                                              http://blog.daum.net/k30355k/13744925

 

朝鮮王陵엔 '다빈치코드' 뺨치는 '컬처코드'가…
世界文化遺産 朝鮮王陵의 10가지 秘密

                                                                                   

 

                         경기 여주군 세종대왕의 영릉. 봉분 뒤에서 바라본 풍경이다.

                         27일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 40기는

                         이처럼 자연과 인공이 절묘하게 조화된 경관을 자아내고 있다.

                         여주=윤완준 기자

 


조선왕릉은 중국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형식과 구조를 띠고 있다.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조선왕릉만이 간직하고 있는 비밀 10가지를 들여다본다.

1. 조선왕릉은 왜 서울 경기에 몰려 있을까?


강원 영월로 유배돼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 단종의 장릉(영월군)을 제외한

조선왕릉 39기는 서울 경기 일대에 모여 있다.

왕릉을 한양의 궁궐에서 10리(4km)∼100리(40km) 떨어진 곳에 조성했기 때문이다.

왕이 왕릉에서 제례를 올리기 위한 행차를 하루 만에 다녀올 수 있도록 거리를

고려한 결과이기도 하다.


 



2. 어느 쪽 봉분이 왕이고 어느 쪽이 왕비일까?


태종과 비 원경왕후가 나란히 묻힌 헌릉(서울 서초구 내곡동)의 태종 능 위치는

봉분 뒤에서 봤을 때 오른쪽이다.

조선왕릉은 우상좌하(右上左下) 원칙으로 왕이 오른쪽에 묻혔다.

덕종의 경릉(경기 고양시)만은 덕종이 왼쪽에, 비인 소혜왕후가 오른쪽에 묻혔다.

덕종은 왕세자로 죽었고 소혜왕후는 아들 성종이 즉위해 왕대비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3. 조선왕릉은 왜 거의 도굴이 안 됐을까?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성종의 선릉, 중종의 정릉(서울 강남구 삼성동)을 빼고 도굴된 적이 없다.

세종의 영릉(경기 여주군) 석실 부재들의 이음매는 대형 철제 고리로 고정했고

입구에 '이중 돌 빗장'을 채웠다. 석실 사방은 석회 모래 자갈 반죽을 두껍게 채웠다.

부장품을 의궤에 상세히 남겼는데 부장품으로 모조품을 넣은 것도 도굴을 막은 한 요인이다.

4. 왕과 왕비가 항상 함께 묻히지 못한 까닭은?


왕릉은 당대 정치권력의 향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됐다.

중종의 두 번째 계비로 명종을 수렴청정한 '여걸' 문정왕후는 중종 옆에 묻히고 싶어

중종의 첫 번째 계비 장경왕후의 희릉(고양시) 옆에 있던 중종의 정릉을 삼성동으로 옮겼다.

하지만 문정왕후 사후 정릉에 물이 찬다는 이유로 결국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외로이 묻혔다.

태릉이다.

5. 봉분 앞 혼유석의 정체는?


봉분 앞 돌상인 혼유석(魂遊石)은 영혼이 노니는 돌이라는 뜻.

북을 닮은 고석(鼓石) 4개가 혼유석을 받치고 있다. 이 큰 돌은 제사 지내는 상처럼 보이지만, 아니다.

혼유석 밑에 석실로 연결되는 통로가 숨어 있다. 혼유석은 '지하의 밀실'을 봉인한 문인 셈.

실제로 고석에 새겨진 귀면(鬼面)은 문고리를 물었다.

6. 최장신 문·무석인은 어디에 있을까?


문석인(문관)과 무석인(무관)은 대체로 사람 키를 훌쩍 넘어 권위를 뽐낸다.

가장 큰 문·무석인은 철종의 예릉(고양시), 장경왕후의 희릉에 있다. 3m 이상이다.

중종 시대(16세기)는 석물의 장엄미가 최고조였던 때다. 철종은 19세기의 왕이 아닌가.

전문가들은 흥선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꿈꾸며 예릉을 위엄 있게 꾸몄다고 말한다.

7. 정자각의 계단은 왜 측면에 있을까?


참배자가 동쪽(오른쪽)으로 들어가 서쪽(왼쪽)으로 나오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

해가 동쪽(시작과 탄생)에서 서쪽(끝과 죽음)으로 지는 자연 섭리를 인공 건축물에 활용한 것.

동쪽 계단은 2개, 서쪽 계단은 1개다.

올라갈 때는 참배자가 왕의 영혼과 함께 하지만 내려올 때는 참배자만 내려온다는 것.

왕의 영혼은 정자각 뒤 문을 통해 봉분으로 간다고 생각했다.

8. 봉분 뒤에는 왜 소나무가 많을까?


왕릉에 우거진 숲을 계획적으로 조성했다. 봉분 뒤 소나무는 나무 중의 나무로 제왕을 뜻했다.

봉분 주변에 심은 떡갈나무는 산불을 막는 역할을 했다.

지대가 낮은 홍살문(왕릉 입구) 주변에는 습지에 강한 오리나무를 심었다.

태조의 건원릉(경기 구리시) 봉분에는 억새풀을 심었는데 고향인 함흥을 그리워한

태조를 위해 태종이 함흥에서 가져 왔다고 한다.


9. 고종의 홍릉과 순종의 유릉은 황제릉?


고종은 1897년 조선이 중국과 대등한 나라(대한제국)라고 선포했다.

경기 남양주시 홍릉과 유릉은 황제릉으로 조성됐다.

홍·유릉은 정자각(평면이 '丁'자 모양) 대신 중국의 황제릉처럼 '一'자 모양의 침전(寢殿)을 세웠다.

능의 석물도 코끼리, 낙타 같은 낯선 동물을 배치했다.

왕릉의 석물이 왕을 호위하는 상징인 반면 홍·유릉의 석물은 황제의 위용을 드러낸다.

10. 서삼릉에는 왕족의 공동묘지가 있다?


세 왕릉이 있는 서삼릉(고양시)에는 왕자, 공주, 후궁의 작은 묘 46기가 모여 있어

공동묘지를 연상시킨다.

일제강점기와 광복 뒤 도시화 과정에서 자리를 잃은 묘와 원(왕세자와 왕세자비의 무덤)들이

서삼릉으로 쫓겨 왔다.

'공동묘지' 옆에는 왕족의 탯줄을 보관하는 태실 54기도 있다.

원래 태실은 전국의 명소에 묻었는데 일제가 서삼릉으로 몰아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