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관

민간요법

기산(箕山) 2008. 3. 16. 16:48
생활 주변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자연물을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고 심지어 생명도 구할 수
있는 치료법.
 
개요
인간은 예로부터 자연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와 예방법을 통해서 건강을 유지하고 장수를
누리는 법을 터득해왔다.
첨단 의학기술이 발달한 현대에도 민간요법이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최근 들어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대(古代) 의학서에는 "약물로써 병사(病邪)를 공격하며, 5곡(五穀)으로 오장육부를 영양하고
5과(五果)로써 이를 돕고 5채(五菜)로써 그 작용을 보하고 오축(五畜)으로 그 힘을 더한다"라고 해
자연물을 인간에게 적극적으로 적용했음을 볼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보다 확실한 치료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민간에 전해지고 있는 치료법이 있으며 그것이 의학 발전의 기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료가 인류의 탄생과 함께 발전·변모했다고 본다면 민간요법은 인류의 역사와 그 축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민간요법은 입에서 입을 통해 전해오면서 실증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에
기여한 바도 크며 이와 같은 체험들이 축적된 민간 속방이 예로부터 의사나 자연 과학자들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또 치료면에서도 그 민족 지역인들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해왔다.
또한 지역마다 환경과 질병에 관련된 특수한 치료법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복통이 일어나면 손바닥으로 배를 눌러 쓸어주고,
두통이 있을 때 관자놀이를 문지르며, 생강을 먹으면 구역질이 멎고,
땀띠에는 복숭아 나뭇잎이 효과가 있는 등 오랜 세월에 걸친 경험에 의해 얻어진 것이
계속 전해내려와 이를 기초로 간편한 민간요법이 복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약품개발 측면에서 보면,
외국의 경우 말라리아가 만연했던 지역에서 키니네나무를 말라리아 치료제로 이용했던 것이나,
태양열이 작열하는 지중해 연안에서 피부를 보호하고자 올리브나무 기름을 개발했던 것도
이런 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한국의 해안가에서는 생선을 주로 섭취했기 때문에 유달리 식중독이 많았을 것이고,
따라서 와사비라고 부르는 고추냉이가 방부제겸 소화촉진제로 활용되었으며,
돼지사육방법이 유달랐던 제주도 지역에 비자림이 있어 비자나무 열매를 촌충구제약으로
개발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다.
 
더구나 근대에 와서 급격한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생긴 새로운 질병과 합성 의약품에 대한
피해의 속출은 이제까지 별로 관심이 없었던 민간요법이 현대인에게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가끔 그로 인한 피해도 볼 수 있는데,
어떤 병에 어떤 약을 먹고 쉽게 나았다는 주변 사람들의 권유로 취한 민간요법의 피해가
막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민간요법의 유효성은 현대과학의 발전과 함께 하나씩 증명되고 있으나 근거가 없는 경우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잘것없는 들풀과 꽃들, 그리고 곤충들 속에 생명을 지키는 요소들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아직까지 근거를 제시할 수는 없으나 나름대로 치유효과를 가진 민간요법도 있을 수
있으므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민간요법은 약물에 의한 것이 주를 이루며 간단한 자극요법도 있다.
 
 
약물요법
 
■ 채취
약재의 채취시기는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절기에 채취해야만
유효성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칡뿌리는 새싹이 돋기 전인 봄에 채취해야 좋고,
패랭이꽃과 약용 쑥은 여름에,
구기자는 가을에 채집하면 보다 양질의 효력을 나타낼 수 있다.
 
■ 주의사항
① 자연산이므로 독성 물질이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잘 판단해야 한다.
② 치료의 과학적인 근거나 임상적인 사실들이 정확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③ 정확한 약재라도 채취시기에 따라서 효과에 큰 차이가 있으며, 심지어 채취시기가
    안 좋으면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다.
④ 독 성분이 들어 있는 약재는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유독성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도록 하며,
    가능하다면 해독재를 함께 써서 부작용을 최소한 줄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초오(草烏)와 같은 맹독성의 약재를 신경통약으로 사용하는데,
    이때 초오의 독성을 해독시키는 기능이 있는 명태나 콩 종류를 함께 끓이거나 돼지족과
    함께 끓여 흡수 속도를 늦추어 복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⑤ 동물성 약재는 내장·머리·꼬리 등을 떼어 독성 물질과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야 한다.
⑥ 광물성 약재는 대부분 유독하며 복잡한 조제과정을 거쳐야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꼭 써야 할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 역사
동양에서는 중국 상고시대인 약 4,000년 전에 전설적인 삼황(三皇)의 하나인 신농씨가 약의
맛을 보아 약물을 알아냈다는 전설이 있다.
이는 곧 식물과 독물에 대한 감별의 시작이었다.
어떤 식물이든 독물이든간에 사람들의 확인과정을 수없이 거치면서 확실하게 자리를 잡게 된다.
 
한국은 어느 나라보다 4계절의 변화가 뚜렷해 수많은 천연 약물이 많이 자라고 있어 지방에 따라
고유한 민간요법이 많이 발전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향약이 조선시대의 세종대왕 때 〈향약집성방〉
수록되었는데 그중 많은 부분이 민간요법으로서, 발간 취지 자체가 백성들이 쉽게 응용할 수
있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 민간요법과 한방요법의 차이
민간요법은 의사의 진단과 처방·지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예로부터 치료효과가 있다고
전해오는 것을 일반 민간에서 간단하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많이 알려진 묘약(妙藥)이나 향약·자극 요법이 과학적인 실증을 거치지 않은 채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민간 요법은 나중에 약효가 증명되어 우수한 치료법으로 개발되는 경우가 많다.
한방요법은 고대 중국에서 발달한 전통의학으로서 오늘날 전세계의 관심이 되고 있다.
음양오행이라는 동양철학에 근거를 두고 종합적인 생명현상을 관찰해 근본적으로 내적 생명력을
배양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서양의학은 자연과학에 근거해 분석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세포조직을 통한
국소적 치료효과를 보는 것이며,
한방의학은 전신적인 생리적 조정을 기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방의학과 민간 요법은 몸 전체의 생명현상을 조정해 내적인 생명력을 배양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일맥 상통한다.
 
그러나 한방의학은 민간 요법에서 얻어진 고귀한 지식을 몇 천 년의 실증과정을 거쳐 이론으로
체계화한 것으로, 정제과정을 거쳐 민간요법을 취사·선택·확대·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 약물복용법
민간요법도 끓이거나 가루를 낸다거나 환(丸)을 만든다거나 하는 여러 복용법이 있으나
그 대부분은 끓이는 탕약(湯藥)이다.
이는 유효성분의 추출이 용이하며 빠른 흡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장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달이는 번거로움만 아니라면 민간약물의 섭취에
가장 많이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달이는 그릇은 곱돌솥이나 오지 약탕기를 쓰는 것이 가장 좋다.
물은 분량의 약 3~4배가량 붓고 끓이되 처음에는 불을 약하게 하다가 점차 강하게 해 끓인 다음
마지막에는 다시 약하게 한다.
 
달여진 약은 되도록이면 오랫동안 보관하지 말고 바로 먹어야 한다.
냉장고나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유효성분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약물에 따라 다르나 대개는 따뜻할 때 복용해야 하며, 유독한 약물일 경우는 적은 양에서부터
서서히 양을 증가시키면서 천천히 마신다.
 
 
자극요법
 
민간요법은 약물이 주종을 이루지만 자극요법도 민간요법 중의 하나이다.
자극요법이란 인간이 질병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자극을 주는 행동에서 연유한 것이다.
즉 배탈이 났을 때 자신도 모르게 배를 쓰다듬으며 따뜻한 곳에 배를 대면 불편함이 덜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인류가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후 불에 데이는 경우가 더러 생겼는데,
이때 과거에 앓던 병이 우연히 치료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자극전달방법이 역으로 질병 발생 때 체표로 나타나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내용을 체계화해 정립시킨 것이 한의학의 침과 뜸의 원리이다.
 
또한 손으로 눌러서 동통을 제거하고 근육의 경결(硬結)을 풀고자 했던 지압이나,
뜨거운 물과 찬 물을 번갈아 이용함으로써 피부를 자극해 몸 안의 노폐물을 배설하고자 했던
냉온욕법이 있는가 하면, 어느 정도 경험자의 도움을 받아서 실시했던 단식요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밖에도 사람에 따라서 고유의 건강법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호흡을 조절하는 조식법,
척추를 단단한 물체에 계속 부딪침으로써 내장에 자극을 가하는 것 등이 있다.
이들은 나름대로의 경험과 근거를 가지고 민간에서 친숙하게 이용되는 것들이다.

 

- 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