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변화를 두려워하면 더 큰 변혁이 온다

기산(箕山) 2007. 12. 28. 03:46

 

백세청풍. 병자호란 당시 폭약에 불을 당겨 순절했던 김상용의 집터에 있다.

 

 

변화를 두려워하면 더 큰 변혁이 온다

소현세자


하늘같이 떠받드는 임금이 청나라 황제에게 무릎을 꿇었다.

오랑캐라 경멸했던 홍타이지에게 이마를 땅에 대고 항복하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던

조선의 사대부들은 머리에 꽉 찬 먹물이 터졌다.

뇌는 까맣게 변하고 정신은 공황상태였다. 무지랭이 백성들은 망연자실했다.

망국의 설움을 안고 북으로 끌려가는 소현세자는 참담했다.


이국땅에서의 볼모생활. 소현세자의 심양생활은 절망의 연속이었지만 조선반도에서는 보이지

않던 것을 보았다.

세계의 중심으로 떠받들던 명나라가 멸망하는 모습을 직접 두 눈으로 목격했고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접했다.

새로운 사상을 접목시킬 조국이 있어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허나, 돌아온 그에게 조국은 죽음을 안겨주었다.


흔히들 우리 역사를 가정해보고 싶은 분들이 지목하는 대목이 있다.

고구려가 주축이 되어 삼국을 통일했더라면?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지 않고 요동을 정벌했다면?

광해군이 쫓겨나지 않았더라면?

소현세자가 왕위에 올랐다면?

정조 대왕이 오래 살았더라면?

역사에는 가정이 없고 부질없는 생각이지만 이러한 아쉬움의 대상이 소현세자다.

 

백세청풍. 김상용의 집터에 있는 백세청풍 안내판


서울 종로구 청운동 주택가 담장 안에 바위가 하나 있다.

그 바위에는 백세청풍(百世淸風)이라는 글씨가 음각으로 조각되어 있고 안내판이 길바닥에 누워있다.

안내판에는 이렇게 써있다. ‘이곳은 김상용이 살던 곳이다.

대명일월 백세청풍(大明日月 百世淸風)이라 새겼으나 일제시대 주택을 지으면서 훼손되어

지금은 백세청풍이라는 글씨만 남아 있다.’


백세청풍은 은나라가 망하자 의롭지 못한 주나라 곡식을 먹을 수 없다며 수양산(중국 산서성)

들어가 고사리만 캐먹다 굶어 죽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고사다.

따라서 백세청풍이란 영원토록 변치 않는 선비의 지조를 기린다.

 

이러한 중국의 충신에 우리나라 사육신 성삼문은 ‘고사리는 주나라 것 아니더냐?

그냥 굶지 그건 또 왜 먹나?’ 라며 백이와 숙제조차 나무란다.


수양산(首陽山) 바라보며 이제(夷齊)를 한(恨)하노라.

주려 죽을 진들 채미(採薇)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 것인들 긔 뉘 따헤 났나니.

-성삼문


생명력이 끈질긴 대명일월 백세청풍


백세청풍이라는 글귀가 좋아 함안 서산서원에도 있고 해주 수양산과 금오산에도 있다.

후대 안중근의사도 썼다. 백세(百世)는 일백 세대를 칭한다.

30년 곱하기 백 하면 3천년이 되나 구체적 숫자가 아니다. ‘오랜 세월 또는 영원’을 말한다.

청풍(淸風)의 청(淸)은 눈이 시리도록 맑고 높다는 뜻이고 풍(風)은 바람이 아니라 군자(君子)의

덕과 절개를 뜻한다.


병자호란이 끝나고 소현세자가 심양으로 끌려간 이후, 조선 강토에는 대명일월 백세청풍

(大明日月 百世淸風)을 흠모하는 풍조가 들불처럼 번졌다.

오늘날에도 경북 깊은 마을 선비촌에 가면 대명대(明臺)가 있고 사명대(思明臺)가 있으며

사명단(思明檀)과 심지어 대명동(明洞)이 있다.

모두가 그 무렵 만들어진 것이며 병자호란과 뿌리가 닿아 있다.


청운동 바위에 새겨진 글씨 중 훼손된 ‘대명일월’은 송시열의 글씨요 ‘백세청풍’은 주자의 글씨라는

설이 있지만 글씨에 뛰어난 김상용의 친필인지 아닌지는 여기에서 중요하지 않다.

김상용은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왕비와 왕자 그리고 궁실사람들을 호종하여 강화도에 들어가

조국이 오랑캐의 말발굽에 짓밟히는 것을 한탄하며 화약에 불을 당겨 순절한 분이며 척화론자

김상헌의 형이다.

 

비록 성삼문이 평가절하 했지만 백이와 숙제의 절개는 국난을 당할수록 더 생각나는 법이다.

오랑캐에게 임금이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하는 모욕을 당한 후, 조선 선비들은 존주양이

(尊周攘夷)를 최고의 가치로 쳤다.

명(明)나라는 떠받들어야 할 존주(尊周)이고 청(淸)나라는 배척해야할 양이(攘夷)라는 것이다.

 

사명대비. 명나라를 흠모하는 비석.

큰 글씨 왼쪽 작은 글씨는 숭정삼신유(崇楨三申酉)라 새겨져 있다.

명나라가 망한 1644년 이후 세 번째 신유년에 비석을 세웠다는 뜻이다.

1801년 (순조1년)으로 숭정세월이 끝나고도 157년이 흐른 뒤다.


대명일월(大明日月)은 그냥 밝은 해와 달이 아니다.

명나라 세월로 반드시 되찾아야 할 그 날이다.

우리가 매우 진보적인 당대의 엘리트로 알고 있는 연암 박지원마저 병자호란 140년 후까지

명나라의 꿈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연암이 그의 저서 ‘열하일기’ 첫 부분 도강록 서(渡江錄 序)에서 청나라에 들어가는 소회를

다음과 같이 토로하고 있다.


후(後)는 무슨 뜻인가?

숭정(崇禎) 기원(紀元) 뒤를 말함이다.


삼경자(三庚子)’란 무슨 말인가?

숭정 기원 후 세 돌을 맞이한 경자년을 말함이다.


무엇 때문에 숭정 연호를 쓰지 않았는가?

장차 강을 건너려니 이를 잠깐 피한 것이다.


무엇 때문에 이를 피했는가?

강을 건너면 곧 청인(淸人)들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천하가 모두 청의 연호(年號)를 썼으매 감히 숭정을 일컫지 못함이다.


어째서 드러내놓지는 못하면서도 숭정이라고 부르는가?

황명(皇明)은 중화인데 우리나라가 애초에 승인을 받은 상국인 까닭이다.


숭정 17년 의종열황제(毅宗烈皇帝)가 나라를 위하여 죽고 명이 망한지 벌써 1백 30여 년이

경과되었거늘 무엇 때문에 지금까지 숭정 연호를 쓰고 있는가?


청(淸)이 들어와 중국을 차지한 뒤에 선왕의 제도가 변해서 오랑캐가 되었으되

우리 동녘 수천리는 강을 경계로 나라를 이룩하여 홀로 선왕의 제도를 지켰으니

이는 명(明)이 아직도 압록강 동쪽에 살아있음을 말함이다.

우리의 힘이 비록 오랑캐를 몰아내고 중원을 숙청하여 선왕의 옛 것을 광복시키지는 못할지라도

사람마다 모두 숭정의 연호(年號)라도 높여 중국을 보존하려 함이다.

숭정 156년 계묘년 열상외사(洌上外史) 쓰다.


열상외사는 박지원의 또 다른 호다.

후삼경자(後三庚子)는 조선 정조(正祖) 4년(1783) 청 건륭(淸乾隆) 45년 이다.

140년 전에 망한 나라 명나라를 흠모하고 있다. 무섭다. 소름이 끼치도록 섬뜩하다.

일본 제국주의가 망한지 60여년이 흐른 오늘 현재 일제(日帝)를 동경하고 있는 자가 있다면

우리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미국이 우리나라를 승인해줬으니 미국을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이가 있다면

우리는 어떻게 보아야 할까?

 

망서루. 그냥 하릴없이 서족을 바라본다는 뜻이 아니라 명나라를 그리워 한다는 뜻이다.


숭정(崇禎)은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毅宗)의 연호다.

왜 이 땅의 백성들은 명나라가 망했는데도 명나라를 잊지 못했을까?

왜 이 나라 선비들은 없어져 버린 나라와 의리를 지키는 것을 소임으로 생각했을까?

왜 조선의 사대부들은 명나라가 청나라에 동화되는 것을 믿으려 하지 않았을까?

왜 권력을 끌고 가는 위정자들은 명나라의 소멸이 청나라의 융성이며 그것이 곧 중국이라는 것을

외면하고 싶었을까?


그것은 곧 변화의 두려움이었다. 수구(守舊)다. 옛날이 더 좋았다는 것이다.

우주만물은 변한다는 진리를 외면하고 변하는 것은 불안했다.

끼리끼리 세력을 확장하고 가문의 명예를 쌓으며 자신의 부를 챙기면 그만이었다.

국가의 먼 장래는 안중에도 없었다. 전 인구 대비 소수의 사대부들이 그랬다.

31%가 힘을 합쳐 보수로 회귀한 이번 대선 결과와도 무관하지 않다.


한반도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이 나라 백성들은 외래 문물을 잘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한번 받아들여 토착화된 사상과 문물은 쉽게 내놓지 않은 근성이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 민족의 장점이며 단점이다.


사상과 문화 원조 국가들 보다 더 극성스러워지는 우리나라


석가모니의 조국 인도에서는 크게 중흥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온 불교는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며 우뚝 섰다.

선종(禪宗)이다.

 

유교도 그렇다.

중국에서는 크게 번성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이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퇴계학으로 정제되었다.

 

그리스도교 역시 마찬가지다.

발상지 이스라엘과 유렵은 물론 기독교를 전파해준 미국보다도 우리나라에서 더 부흥하여

세계 기독교 부흥사를 다시 쓰고 있다.


종교만이 아니다.

한때는 자본주의를 위협했던 공산주의가 종주국 소련에서 사라지고 동유럽에서 증발되었다.

중국에서는 자본주의와 결합하여 변형되었지만 한반도에는 아직도 골수 이념으로 살아있다.

북녘도 우리나라다.

왜 이렇게 질길까?

왜 우리나라에만 들어오면 끝장을 보고야 말겠다는 것일까?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잠시 숨고르기 위하여 소현세자 시대로 돌아가 보자.

당시 사대부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사상은 성리학이었다.

조선 건국과정에서 타락한 도덕성을 되찾기 위하여 척불숭유 정책의 일환으로 이 땅에 뿌리를

내린 성리학은 땅에 떨어진 도덕관념을 정립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신권을 강화한 선비들이 택군이라는 미명아래 연산군과 광해군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유교의 덕목으로 칭송하는 충(忠)에서 자기모순에 빠졌다.

대북파의 도움으로 권좌에 오른 광해로 하여금 임해군과 영창대군을 죽이고 계모 인목대비를

유폐하는 패륜을 저지르게 함으로서 효(孝)라는 늪에 빠졌다.

 

인조반정. 반정공신들의 명단이 창의문에 현판으로 걸려 있다.

홍제원에서 출발한 김류의 군대를 능양군이 이끌고 창의문을 통과하여 훈련대장 이흥립의

내응으로 반정에 성공했다는 기념이다.


인조반정에 성공한 반정세력 역시 별로 다르지 않았다.

당파로 나뉘어 박 터지게 싸운 결과 병조호란이라는 치욕을 당했다.

자신들은 임금을 갈아치우는 대단한 변혁을 꾀한 것 같지만 큰 틀에서 보면 변한 것은 없었다.

서인 남인 대북 소북으로 나뉘어 나라를 위하여 엄청 투쟁한 것 같지만 모두가 성리학을

숭상하는 사대부들이었다.

자신들의 폴더에 갇혀 옆 폴더를 보지 못한 것이다. 그 폴더가 성리학이다.


그들은 경복궁 옆 장동에 거점을 마련하고 끼리끼리 통했다.

수탈한 먹이를 나누어 먹고 수탈의 도구를 팔았다. 변화를 추구하는 자는 용서하지 않았다.

임금도 예외가 아니었다. 개혁을 꿈꾸었던 정조도 좌절했고 천수를 누리지 못했다.

정약용도 희생의 칼날을 비켜가지 못했다.

결국 이들은 스스로 파멸하면서 나라를 일제에 헌상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국가의 지도자들은 현실문제도 중요하지만 먼 장래를 내다보고 국가를 이끌어야 한다.

등 따시고 배불리 먹여주면 백성들이 만족할 것 같지만 마음이 배고프면 허기져 한다.

단군 이래 만년 기아를 해결했다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역사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경제가 화두로 떠오른 오늘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백성들은 혼탁한 경제보다도 투명한 경제를 원한다


대통령 당선자가 선거전에서 경제라는 상품으로 재미를 보았다고 경제에 올인 하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경제가 정치를 끌고 가면 부패한다.

맑은 물보다도 탁한 물을 좋아하는 것이 경제의 생리다.

과정보다도 결과를 중시하는 실적위주 경제에서는 더욱 그렇다.

정치가 경제를 끌고 가야 한다. 그것이 순리다. 정치가 발전하면 경제가 투명해진다.

배고픔을 면한 백성들은 혼탁한 경제보다도 투명한 경제를 원한다.


당국에서는 지표를 들이대며 경제가 좋아졌다고 하지만 국민들은 경제가 안 좋다고 한다.

서민경제에서 피부에 와 닿는다. 이것이 바로 국론을 분열시키는 양극화다.

기름 값이 최고가를 갱신하는 오늘 현재 길거리에는 자동차가 길을 메운다.

기름을 적게 먹는 소형차는 줄어들고 덩치가 큰 대형차가 홍수를 이루고 값비싼 수입차가

넘쳐난다. 척도를 재는 자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세금폭탄을 맞았다고 아우성이다.

우리의 옛말에 먹는 것 가지고 장난쳐서는 안 된다는 말이 있다.

의식주는 인간생존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주(住)도 마찬가지다.

집을 여러 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방세를 올리기 위하여 살던 사람을 몰아낸 임대업자는

임대소득세 폭탄을 맞아도 싸다.

주거가 아닌 투기를 목적으로 주택을 여러 채 구입한 사람은 양도소득세 폭탄을 맞아도

억울해 할 것 없다. 가진 자가 갖지 못한 사람들의 희생 위에 부를 쌓으려 했기 때문이다.


소현세자가 새로운 사상과 학문을 접하고 귀국했다.

성리학에 함몰된 사대부들로서는 받아들이기 껄끄러운 사조였다.

귀국한 소현세자를 기다리는 것은 죽음이었다.


 

 

 

삿가스 원글보기

 

'역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6년 전 최초의 태극기 원형  (0) 2008.02.29
함평군 '독립운동 역사관' 연내 개관  (0) 2008.02.28
오르는 길보다 내려오는 길이 어렵더라  (0) 2007.12.22
심온...  (0) 2007.11.19
상아패와 오매패는...  (0) 2007.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