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724211817589
러시아, 핵탑재 초음속 폭격기 극동에 배치...
"미일 군사협력 대응"
이재준 기자 입력 2023. 7. 24. 21:18
[모스크바=AP/뉴시스]
러시아 국방부가 제공한 사진에 20일(현지시간)
러시아 공군의 초음속 전략폭격기 Tu-160이 장소가 알려지지 않은 곳에서
훈련 비행하고 있다.
러시아군은 장거리 폭격기들이 군사 훈련으로 타격 훈련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3.04.20
러시아 국방부는
미일과 한미 간 군사협력을 강화하는데 대응해
핵무기 탑재 가능한 초음속 전략폭격기 Tu-160를
극동에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이즈베스티야가 24일 보도했다.
매체는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국방부가 전략폭격기 Tu-160 항공연대를
한반도와 일본 열도에 인접한 극동에 배치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Tu-160 극동 주둔은
러시아 국방수요의 규모와 편성에 의해 정해진다며
이런 틀 안에서 Tu-160 개량작업을 진행하고
최신판 Tu-160M을 만들고 있다.
Tu-160 배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경우
아무르주 우크라인카 공군기지를 거점으로 하는
장거리 비행부대에 배속할 공산이 농후하다고
신문은 전망했다.
극동에 배치하는 Tu-160 전략폭격기는
역내에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을 견제하는데
투입하게 된다고 군사전문가 유리 랴민이 밝혔다.
랴민은
"특히 여전히 남쿠릴열도(북방영토)를 놓고
영토분쟁을 벌이는 일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랴민은
"일본이 근년 들어 군사비를 늘려왔고
장거리 타격무기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며
"이런 측면에서 위협을 무력화하기 위해선
러시아 억지력을 증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백조'라고 부르는 Tu-160은
다양한 날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초음속 전략폭격기로
재래식과 핵 미사일을 발사해
배후 깊숙한 곳에 있는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다.
최대 시속이 2000km에 이른다.
앞서 지난달 6일과 7일에는
러시아 Tu-95 폭격기 2대가
중국 전략폭격기 훙(轟)-6 2대와 함께 동해를 지나
동중국해, 서태평양까지 날아가면서
일본과 한국 등의 전투기가 긴급 발진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밝은태양
응근슬적 대한반도에 전략무기 핵을 배치하려함이다
굥은 알아라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오끼나와는 괜찮지만 대한민국은 안된다
차칫 한반도가 전장터로 바뀔지 모름이다 저자들은 알까
함 이번은 후쿠시마나 일본 열도를 이용해보자
그 전장터
다거
동서남북에 핵천지다.
미국 핵잠, 러시아 핵폭격기, 중국 핵미사일, 북한 핵딴두,
전세계 핵의 중심지가 됐네, ㅎㅎ.
좋겠네, 개돼지들
경고자
극동에 증강되고 있는 한반도 좌표의 미사일들에 대해서는
그 정보가 부족한 것이더뇨?
아니면 언론지면에 올라오지 못하는 것이더뇨?
아무튼 러시아제 미사일이 날아오는 일이 없길 바라는 바이로다.
lehrerinp100
대통령부부가 미핵잠에 올라타서 잠망경 들여다볼때 알아봤다
진짜 우리나라가 우크라이나꼴 나는 것 아냐
------------------------------------
https://v.daum.net/v/20230720050512270
동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바다가 되다…한·미·일·북·중·러 힘겨루기
한반도 비핵화 협상이 사실상 ‘회생 불능’ 상태에 빠지고,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국제사회의 진영화가 심화되면서 동해가 각국 간의 힘과 힘이 맞부딪치는 ‘증오의 바다’
v.daum.net
-------------------------------------------------
https://v.daum.net/v/20230724195040409
자동차 수출 1위 중국... 한국도 중국차 밀려든다
입력 2023. 7. 24. 19:50
오늘
댓글보면 참...
누가중국차타냐고 하는 인간들...
기사내용 봐..테슬라가 중국에서 만들어서 중국차야..
정부는 띨하고 한국산 베터리 장착하지 않은 전기차는 보조금 주지마라.
엉클션
생활용품 중국산 없음 생활이 않될건데
자동차중국산 넘처나는건 시간문제일뿐이지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격 7주째 고전’ 우크라, 다시 진격... 바이든 ‘초조’ (0) | 2023.07.28 |
---|---|
온실가스 배출량 3.5% 줄었지만... "정책 효과는 아냐" (0) | 2023.07.26 |
루카셴코 "벨라루스 온 바그너 그룹, 폴란드 진격 원해" (0) | 2023.07.24 |
한 여름에 얼음의 강? 지구촌 곳곳 ‘극단적 날씨’ (0) | 2023.07.24 |
"中수출 막히면 美공장 지을 필요 없어".. 미국 반도체업체들이 한 말 (0) | 202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