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210714105723885
스카이 출신 20대 여성은 왜 도배사가 됐을까 [인터뷰]
문주영 기자 입력 2021. 07. 14. 10:57 수정 2021. 07. 14. 11:16
[경향신문]

청년도배사 배윤슬씨가 지난 10일 경기 남양주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도배 작업을 하다가 잠시 일을 쉬고 있다.
ⓒ배윤슬
자그마한 체구의 한 여성이 있다.
그는 통이 넓은 작업복과 안전화를 착용하고
매일 새벽 5시 집을 나서
경기 신도시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으로 출근한다.
오늘도 새로운 벽 앞에 서서 벽지를 붙이는 그는
놀랍게도 20대 여성이다.
그것도 소위 ‘스카이’로 불리는 명문대 출신이다.
한때 사회복지사였던 그는 도대체 왜 도배사가 됐을까.
청년도배사의 삶을 2년째 살아가는 그는
올해 28살의 배윤슬씨다.
그는 최근 전화인터뷰에서
“졸업 후 사회복지사로 일했지만 업무가 내 이상과 달랐고,
조직문화의 불합리성을 느껴 기술직을 찾아보게 됐다”며
“비록 도배일이 사회적으로 아직 크게 인정받지 못하지만
이 일을 시작한 후 하루하루가 즐겁다”고 말했다.
이화외고와 연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한 그가
일명 노가다로 불리는 도배사로 ‘전향’한 데는
불투명한 미래보다는 현재를 중시하는 MZ세대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
배씨는
“솔직히 도배 일은 도전이었다기보다는
퇴사를 위한 도피처로 선택했던 일”이라며
“그런데 생각보다 일이 잘 맞았고
무엇보다 투자한 만큼 실력이 늘어
일터에서 내 가치를 인정받는 게 좋았다”고
밝혔다.
“고교 시절 꿈이 사회복지사여서 대학도 관련 학과로 갔고,
첫 직장도 노인복지관이었어요.
일 자체는 재밌었지만 폐쇄된 조직문화가 영 익숙하지가 않았어요.
새로운 일을 시도하려고 하면 ‘그냥 하던 거 열심히 하라’고 하고,
‘너 없이도 이 일 할 사람 많다’는 말도 많이 들었어요.
그러다보니 조직 안에서 제 존재가치를 찾기가 힘들었죠.”
다행히도 부모님은 딸의 선택을 지켜볼 뿐
큰 반대는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당시 퇴사 이유와 향후 계획 등을 담은 퇴사계획서를 작성해
부모님께 드렸더니 제가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구나라고
느끼셨던 것 같다”며
“이후 도배 학원에서 일을 익힌 뒤 곧바로 건설현장에 투입됐다”고
말했다.
도배사로서 초보 딱지는 뗐지만 기술자라고 불리기엔
갈 길이 멀다는 그는 현재 도배 소장·반장·팀원 등
총 5명으로 이뤄진 팀에서 일당을 받으며 일한다.
가정집 일보다는 벌이가 적지만 건설사를 통해
안정적으로 일감을 제공받고 소비자 응대를
직접 하지 않는 것 등은 장점이다.
그러나 힘든 일도 적지 않다.
하루 종일 움직여야 해 일을 시작한지 2개월 만에 7㎏가 빠졌고,
온 몸은 성한 곳이 없다.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꼬박 주 6일 근무라
친구들 만날 시간도 없다.
그럼에도 그는
“도배 일은 노력한 만큼 성장하는 것이 보이고
회식이나 모임 등 다른 사회생활의 비중은 적어서
만족스럽다”며
“또 혼자 하는 작업이다 보니 스스로를 돌아보며
남과 비교하지 않고 나의 과거와 현재의 나를 돌아볼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배씨는
도배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 무덤덤한 반응을 보였던
친구들까지 요즘엔 자신을 응원해준다고 밝혔다.
그는 “친구들의 경우 부모님이 권해서, 또는 당시 얼떨결에
특정 회사 채용이 나오니 시험봐서 현재 직장에 들어간
경우가 많다”며
“그러다보니 적성에 잘 맞지 않는 것 같고 그런 상황에서
기술직으로 전향한 나를 통해 자신들의 직장과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귀한 딸이 험한 일을 할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던
배씨 부모님들도 이제는 그의 선택을 믿고 지지해주고 있다.
배씨는
“얼마전 새로 이사간 집 도배를 직접 했더니 부모님들이 기뻐하시더라”며
“지인들에게 입소문도 내주시고, 밖에서 들은 도배 관련 이야기들을
전해주시며 조언해주신다”고 말했다.
배씨는 도배사로서의 경험을 담아
<청년 도배사 이야기 : 까마득한 벽 앞에서 버티며 성장한 시간들>(궁리출판)
이라는 책으로 최근 출간했다.
“가끔 잘 모르는 사람들이 ‘젊고 똑똑한 아가씨가 왜 이런 일을 하느냐’고
말하는데 남들의 평가와 시선은 한순간이잖아요.
그러니 내가 좋아하고 발전할 수 있는 일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몸쓰는 일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좋지 않지만 몸으로 터득한 기술도 가치있고,
어떤 부분에선 경쟁력이 있음을 다른 청년들도 생각해봤으면 해서
책을 내게 됐어요”
향후 계획을 묻자 그는
“단기적으론 1~2년 내 소장님으로부터 독립해
아파트 한 동을 책임지고 맡고 싶다”며
“또 내 팀원을 뽑아 가르치는 것도 도전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평소 여행과 집꾸미기에 관심이 많았는데
두 분야를 접목해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해는 것이
장기적인 꿈”이라고 밝혔다.
문주영 기자 mooni@kyunghyang.com
'사회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당 22만원' 전 국민 지급? 與 압박에 한발 물러선 정부 (0) | 2021.07.15 |
---|---|
'한명숙' 결론 뒤집혔다.. "불공정·불충분·부정유출 있어" (0) | 2021.07.15 |
노래연습장 급습하니, 불 꺼놓고 도우미 불러 술 마셨다 (0) | 2021.07.14 |
이동훈 'Y 공작설'에 동조했던 이준석, 하루만에 '거리두기' (0) | 2021.07.14 |
정경심의 눈물.. "지옥같은 2년, 성찰의 시간" 최후진술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