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v.daum.net/v/20210211210509508
"트럼프 코로나 대응 달랐다면 미국 사망자 40%는 살았을 것"
안용수 입력 2021. 02. 11. 21:05
의학학술지 랜싯 위원회, 트럼프 공공·보건정책 분석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법이 달랐다면 사망자의 40%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자료사진]
의학 학술지 랜싯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공공·보건정책 분석을 위해
구성된 위원회가 코로나19 대응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과 워싱턴포스트(WP)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코로나19 심각성을 간과하고,
건강보험 정책을 개편해 저소득층의 가입률이 줄면서
공공보건이 취약해졌다는 게 보고서의 요지다.
구체적으로 미국이 다른 주요 7개국(G7) 수준으로 코로나19에
대응했다면 16만명은 숨지지 않았다는 게 랜싯 위원회의 주장이다.
보고서는 또
미국의 지난 2018년 기대수명이 G7 국가 평균과 비슷하다고 가정했을 경우
트럼프 행정부의 공공보건 정책이 달랐다면 사망자 46만1천명의
목숨을 살릴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미국에서 코로나19 사망을 얼마나 줄일 수 있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미국을 제외한 G7 국가(캐나다·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영국)의 사망률과
비교 분석했다.
미국에서는 현재까지 코로나19로 47만명 넘게 사망했으며,
몇 주 내에 50만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또 누적 확진자는 약 2천700만 명으로, 사망·확진자 모두 전세계에서 가장 많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자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심지어 음모론을 퍼뜨리고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지 않았다.
또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과학자들의 의견을 간과했다고
랜싯은 지적했다.
보고서에서는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과오 외에도 미국의 공공보건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팬데믹 사태로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케어 지지하는 미국 시민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 2002∼2019년 미국의 공공보건 예산은
캐나다와 영국의 절반 수준인 3.21%에서 2.45%로 떨어졌다.
랜싯 위원회 추산으로는
트럼프 전 대통령 취임 후 3년 동안 건강보험 미가입자가 230만명이
늘어났다.
인종별로 2017∼2018년 건강보험 가입 비율은
라틴계에서 1.6% 포인트(약 150만명)가 떨어졌으며,
미국 원주민과 알래스카계에서는 2.8% 포인트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백인의 건강보험 가입률은 기존 비율을 유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한 2016∼2019년 사이
환경·직업 요인에 의한 사망자가 2만2천명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전까지 사망자는 감소 추세였다.
보고서는
▲ 노예제의 피해를 본 흑인 보상
▲ 고소득층 세금 인상
▲ 국방 지출 감소 등을 주요 대책으로 제시했다.
랜싯 위원회는 지난 2017년 4월 구성됐으며,
미국과 영국, 캐나다에서 공공보건·법·의약·노조·원주민 사회 등을
연구하는 33명이 참여했다.
연구에 참여한 매리 T 바셋 미 하버드 FXB 센터 소장은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미국은 팬데믹 사태에 대한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라며
"그러나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만의 잘못은 아니고,
사회적 실패도 원인이 있어 백신으로만은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aayyss@yna.co.kr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픽 포기 못 하는 日·中.. 속사정은? (0) | 2021.02.13 |
---|---|
WP 칼럼 "미국은 한국의 대통령 탄핵에서 배워야" (0) | 2021.02.13 |
"프랑스에 2019년 11월부터 코로나 존재.. 중국 보고보다 앞서" (0) | 2021.02.12 |
"중국만 군부편".. 미얀마 시위 와중서 반중정서 급속 확산 (0) | 2021.02.11 |
日 주사기 잘못 사서.. 백신 1천200만 명분 버릴판 (0)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