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814182537452
"日수출규제로 동남아 관련 산업도 타격.. 베트남 최대 영향권"
(세종=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입력 2019.08.14. 18:25
대외경제硏 "한국 수출 줄어들면 해당국 산업에 타격 입히는 구조"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수출규제에 나서면서
한국과 글로벌가치사슬로 밀접하게 묶인 아세안(ASEAN : 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도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베트남 공장 노동자 [EPA=연합뉴스]
14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와 신남방 지역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규제로 베트남·필리핀·싱가포르 등 아세안 주요국
전자부품 및 장비 산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국가로는 베트남이 꼽힌다.
베트남에서 전자부품·장비 분야 최종재를 생산하는데
한국의 부가가치 기여 비중은 2.72%(5억8천800만 달러)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이는 해외 국가 중 가장 크다.
일본의 최종생산 부가가치 기여 비중은 2.09%,
중국은 1.87%로 집계됐다.
베트남 자국의 부가가치 기여는 27.2%였다.
필리핀의 경우에도
전자부품·장비 산업서 한국의 부가가치 기여 비중이 2.17%
(3억5천700만 달러)로 높은 편이었다.
싱가포르에서는 1.59%(10억100만 달러)였다.
이외에도 인도에서는 0.32% 수준이지만
국가별로 따지면 중국에 이어 두번째로 부가가치 기여가 높았고,
인도네시아에서 부가가치 기여 비중은 3위(0.60%)에 꼽혔다.
부가가치 기여 비중이 높다는 것은
한국의 전자부품 및 장비 수출이 감소할 경우 해당 국가의 산업도
타격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형민 KIEP 인도남아시아팀 부연구위원은
"부가가치 기여는 특정 산업의 최종재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요된
중간재, 원재료를 분석해 총 투입된 부가가치를 산출한 것"이라며
"아시아개발은행(ADB) 데이터의 한계로 아세안 전체 국가는
분석하지 못했지만, 한국과 연계성이 큰 주요국을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아세안 각국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한일 갈등 고조가 자국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달 초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에서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중국 외교장관이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가 신남방 국가들이 참여하는 다자회의 등을 통해
일본의 수출규제가 아세안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이 크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올해 한국의 참석이 예정된 아세안 관련 다자회의로는
다음 달 중순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7차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 장관회의와 아세안 고위급회담, 11월 개최하는 한국-아세안
정상회의 등이 있다.
관련 태그
'시사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건, 방한 중 北에 접촉 제안.. 北 응답 대신 비난 (0) | 2019.08.24 |
---|---|
도쿄·오사카·나고야의 '뜨거운 함성'.. "사죄하라" (0) | 2019.08.15 |
아베 "양국 갈등에도 민간교류는 지속돼야" (0) | 2019.08.15 |
트럼프 "美, 中서 수백억불 벌어.. 中, 농산물 구매약속 안지켜" (0) | 2019.08.14 |
"트럼프, 아베에 직접 거액의 美농산품 구입 요구" (0) | 201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