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80905144736229?rcmd=rn
우리가 사용하는 물티슈 원단에 플라스틱이?
김정환 입력 2018.09.05. 14:47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쓰레기에 관련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21년부터 1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를 추진 중이며,
인도는 2022년 안에 플라스틱 사용을 근절하겠다고 발표했다.
케냐에서는 비닐봉지를 사용하면 우리나라 화폐로 약 4000만원 이상의 벌금이나
최대 4년의 징역형을 선고를 받는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법령들이 국내에 적용된다면
국내에서 물티슈를 사용하는 소비자들 또한 벌금을 내야 한다는 소리가 된다.
우리 생활에 어느덧 필수품이 되어 버린 플라스틱은
값이 싸고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 쉬우며 원하는 색을 입힐 수 있는 장점을 지녀
다양한 형태의 생활용품으로 우리 생활 속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우리 일상을 살펴보면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일회용 빨대보다 폴리에스테르(플라스틱)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물티슈를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고 사용하고 있다.
우리가 시중에서 흔히 사용하는 물티슈 원단에는
폴리에스테르(플라스틱)가 함유되어 있으며 우리 아이가 사용하는 영유아 물티슈
원단 또한 플라스틱이 함유되어 있다.
그렇다면 폴리에스테르(플라스틱)가 함유된 물티슈가 왜 문제로 거론되는 것일까?
그 이유를 살펴보면 바로 '중금속'이다.
플라스틱을 물티슈로 만드는 과정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들은
고독성이며 발암물질이다.
플라스틱이 혼용된 물티슈의 경우 그 과정에서 많은 화학약품이 사용이 되며
이러한 물티슈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포름알데히드, 프탈레이트 등
중금속에 노출이 되기도 한다.
이는 심장, 신장, 간 등 장기에 치명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들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버려지는 물티슈는 해마다 늘어가고 있으며
해양 생태계까지 위협하고 있다.
바다로 흘러간 물티슈를 비롯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제대로 분해가 되지 않고 있으며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한 해양 생물들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은 사례들을
이제는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국내산 천일염 100g에서는 미세 플라스틱 28개가 검출됐고,
가공전인 국내산 원염에서는 미세 플라스틱 9개가 검출됐다.
이처럼 인간에 의해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하여 생겨난 미세 플라스틱이
이제 우리들의 식탁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 실태이다.
폴리에스테르(플라스틱)가 함유된 물티슈의 경우
유해물질이 발견된 사례가 점차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물티슈를 사용하는 경우
중금속 노출 우려까지 나타내고 있다.
데일리스토리컴퍼니 관계자는
"물티슈에 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인식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많은 것이 안타깝다"면서
"점차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지는 만큼 우리 정부의 철저한 관리 방침에 귀추가 쏠리고 있다"고
전했다.
김정환 기자 hwani89@segye.com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웨이트 보건부 "한국 메르스 확진자 쿠웨이트서 감염 안돼" (0) | 2018.09.12 |
---|---|
'세계적 과학자' 김진수, 수천억대 특허 빼돌렸다 (0) | 2018.09.08 |
태풍 '제비' 日 강타 6명 사망.. 간사이공항 폐쇄·기록적 물폭탄 (0) | 2018.09.05 |
軍, 휴대용 대공미사일 무력화하는 DIRCM 개발.. 세계서 6번째 (0) | 2018.09.03 |
통계청장 경질 논란, 통계참사인가 대응참사인가 (0) | 201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