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관

자주 먹으면 내성 생긴다?.. 약 내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기산(箕山) 2017. 10. 24. 00:30

http://v.media.daum.net/v/20171023182638106?d=y


자주 먹으면 내성 생긴다?.. 약 내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7.10.23. 18:26


내성과 의존성 걱정에서 벗어나는

가장 기본적이고 좋은 방법은

정해진 용법·용량을 잘 지키는 것이다.

/사진=헬스조선DB(약 사진)



같은 약을 계속 복용하면 내성이 생겨 효과가 떨어질까?

중독성이나 의존성이 생기진 않을까?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만성질환자들이 흔히 하는 걱정이다.


실제 적지 않은 만성질환자들은 이런 걱정에 임의로 약을 줄이거나 끊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약은 내성과는 거리가 멀고,

이런 행동으로 오히려 건강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만성질환 치료제, 내성 걱정할 필요 없어


대부분의 만성질환은 노화에 의한 것이다.

약을 복용하며 질병을 잘 조절해도 노화에 따라 질환은 더 깊어지게 마련이다.


환자들이 오해하는 것은 이 부분이다.

약을 먹어도 질병이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약효가 더 ‘강한 약’으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등 대부분의 만성질환 치료제는 내성이 없다.

오히려 오해 때문에 임의로 약을 줄이거나 끊으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실제 약을 얼마나 잘 먹는지는 병의 예후에 큰 영향을 끼친다.

최근 원자력병원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고혈압치료제의 복약순응도가 낮을수록

심장병·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된 약을 80% 이상 복용했을 때, 50~80% 복용했을 때, 절반도 복용하지 않았을 때로

나눠 각각의 사망위험을 분석한 결과,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위험은 환자에 따라

최대 1.64배, 뇌졸중 사망 위험은 최대 2.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통제, ‘약발’ 안 받으면 복용량 늘리지 말고 병원 찾아야


일상생활에서 흔히 복용하는 진통제 역시 내성과는 거리가 멀다.


단, 병원에서 처방받은 마약성 진통제는 예외다.

진통제는 종류에 따라 마약성 진통제와 비마약성 진통제로 나뉜다.


당연히 마약성 진통제는 내성과 의존성에 주의해야 한다.

다만, 이런 마약성 진통제는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없다.


교통사고 등으로 중증 외상을 입었거나, 암을 비롯한 중증 질환을 앓을 때

엄격한 처방에 따라 복용할 수 있다.


약국 등에서 쉽게 구하는 진통제는 모두 비마약성 진통제다.


정해진 용법·용량만 잘 지키면 내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 말은 반대로 남용할 경우 내성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다.


약을 지나치게 자주 먹으면 간과 신장에서 약의 성분에 익숙해진다.

같은 양이라도 통증에 덜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 대한두통학회는 어떤 진통제든 월 15회 이상, 또는 주 3회 이상

복용하지 말라고 권유한다.


이 용량으로도 조절되지 않는 통증은 병원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좋다.


평소 복용하는 진통제가 잘 듣지 않을 때도 마찬가지다.

내성이 아니라 통증 자체를 의심해야 한다.

내성이 생긴 것이 아니라 통증의 강도가 예전보다 심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내성 걱정에 무작정 통증을 견디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더 심한 통증에 시달리다가 결국 더 많은 양의 진통제를 복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통증 초기인 30~60분 안에 약을 복용해야 한다.

그 이후에는 통증이 더 심해져 결국 본인이 가장 원치 않던 더 많은 약을 복용하는

상황에 이른다.


항생제, 임의로 중단하면 내성 위험


내성이 진짜 문제가 되는 것은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은 전 세계적인 문제다. 특히 한국은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각하다.


항생제 내성 문제가 이렇게 심각해진 것은 오남용 때문이다.

과거에는 과도한 항생제 처방이 문제가 됐다면, 최근에는 복용 기간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이 문제다.


그러나 복용기간을 정확히 지키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항생제 내성을 걱정해 최대한 짧게 복용하려고 한다.


실제 아시아태평양감염재단이 국내 20대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증상이 나아지면 항생제 복용을 중단해도 되나’라는 질문에 73.5%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치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면 병이 나은 것 같아도 반드시 끝까지 복용해야 한다.

열이 떨어지고 기침이 사라졌다고 복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하면 세균이 완전히

사멸하지 않고 남는다.


항생제에 대응해 유전자 변이를 일으킨다.

같은 항생제에는 반응하지 않는 내성균으로 바뀌어 살아남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