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media.daum.net/v/20171019211440510?rcmd=rn
[앵커 리포트]
핵추진 vs AIP.. 현실 적합한 한국형 잠수함은?
김성진 입력 2017.10.19. 21:14 수정 2017.10.19. 22:22
<앵커 멘트>
바닷 속 잠수함에서 기습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위협에 대응해 우리도 핵추진 잠수함을 도입해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핵추진 잠수함은 디젤 잠수함보다 속도가 빠르고 장기간 작전이 가능한 게
큰 장점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각종 군 현대화 사업에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현실에서
큰 비용이 드는 핵추진 잠수함이 과연 정답인가 하는 반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디젤 잠수함이면서도 잠항 능력을 향상시킨 공기가 불필요한 추진체계,
AIP 잠수함이 더 실효성이 있다는 겁니다.
우리에게 맞는 잠수함은 과연 어떤 기종인지 김성진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핵추진 잠수함은 우선 잠항 능력이 뛰어납니다.
디젤 잠수함은 축전지 충전을 위해 하루 두세 차례 물 밖으로 나와야 하지만
농축 우라늄을 연료로 쓰는 핵추진 잠수함은 계속 바닷속에서 작전할 수 있습니다.
이동 속도 역시 시속 40킬로미터대로, 디젤 잠수함보다 3배 빠르고,
무장 능력과 음파 탐지 능력 면에서도 디젤 잠수함을 압도합니다.
<녹취> 문근식(전 해군 잠수함 전대장) :
"북한의 SLBM 탑재 잠수함을 노출되지 않고 장기간 추적·감시하려면
핵추진 잠수함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주로 가까운 바다에서 작전하는 우리 해군엔
디젤 잠수함 성능을 개선한 AIP 잠수함이 더 낫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2주 이상 잠항, 6개월 연속 작전이 가능한데, 장보고-2급 이상 잠수함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핵심 건조 기술을 상당 정도 국산화 했고 비용도 핵추진 잠수함 절반 수준인
8천억 원 정도입니다.
<녹취> 신원식(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
"실제로 전투에 필요한 순발력, 속도와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기동성이 뛰어납니다.
결정적으로 소음이 적기 때문에..."
뛰어난 기동성과 정숙성으로 장보고-2 잠수함은 한미 연합 해상 훈련에서
미 항모와 구축함 등 40여 척을 가상 격침시키는 성능을 발휘하기도 했습니다.
군사전문가들은
안보 현실과 잠수함 성능 등을 고려해, 충분한 토론 과정을 거쳐 기종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김성진기자 (sjkim9kbs@gmail.com)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무'에 밀린 KF-16 사업.. 공군 주력전투기, '구식' 전락하나 (0) | 2017.10.25 |
---|---|
"'전기 항공기' 10년 內 실용화".. 관련 개발 '속도' (0) | 2017.10.23 |
'전면전 땐 미사일 총동원'.. 北 조기 제압 작전개념 수립 (0) | 2017.10.20 |
北 장사정포 진짜 잡을 수 있나? 요격 기술의 한계 (0) | 2017.10.16 |
저녁 줄였는데 누구는 살 빠지고, 난 안 빠지고.. 이유는 (0) | 2017.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