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media.daum.net/v/20170212212142386
[단독]
정부 뒤늦게 "4대강 보 개방 확대".. 문건 입수
이호진 입력 2017.02.12 21:21
[앵커]
4대강 사업의 후유증 한둘이 아닌데,
그 중의 하나가 심각해진 녹조 현상이지요.
그 대책으로 대형 보의 수문을 열어서 예전처럼 강물을 흐르게 해야 한다
이런 지적이 나왔지만 정부는 별 도움이 안된다면서 이를 무시해 왔습니다.
그런데 JTBC가 입수한 국토부 문건에 따르면
올해부터 녹조를 막기 위해서 보 개방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결국 22조씩이나 들어간 4대강 사업 자체가 무의미해진 게 아니냐 이런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4대강이 녹조로 몸살을 앓던 지난해 여름.
국토부는 수문을 일시적으로 여는 펄스 방류 등이
녹조 현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습니다.
방류 직후 녹조류가 크게 줄어드는 등 효과가 있었지만,
가뭄에 대비해야 한다며 상시적인 수문 개방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그런데 취재진이 국토부와 환경부, 농림부가 작성한 문건을 입수한 결과,
올해부터 정부가 녹조와 수질 악화를 막기 위해 4대강 보 방류를 확대하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낙동강 달성보의 경우
시범적으로 수위 하한선을 기존 13.7m에서 11.6m로 2m 이상 내립니다.
대부분 보들의 수위를 인근 지하수에 영향이 없는 수준까지 낮출 수 있게 해
결과적으로 물이 멈춰 있는 시간을 줄이는 겁니다.
이를 포함해 지난해 홍수기 때 했던 6월과 7월에 했던 관련 대책들도
올해부터 연중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염형철/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
(이번 정부 대책으로) 이미 수질 관리를… 애초 계획대로 보를 유지하면서,
물을 가둬놓은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거다.]
22조 원이 들어간 4대강 사업,
생태계와 수질만 악화시킨 채 원점으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자료제공 : 이원욱 의원실)
'지식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더 록'에 나온 독가스.. 극미량만으로도 사망 (0) | 2017.02.26 |
---|---|
북극성 2형 발사에 또 호출되는 '만병통치' 사드 (0) | 2017.02.17 |
인도, 자체 개발 '사드' 구축 나선다.. 미사일 요격 시험 성공 (0) | 2017.02.12 |
개도 '인간 됨됨이' 판단.. 사회성 낮으면 외면한다 (연구) (0) | 2017.02.12 |
"30초만 노출돼도 사망" 日 원전 '최대 방사선' 검출 (0) | 201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