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관

"삼계탕 속 대추, 먹으면 안 돼"..진실은?

기산(箕山) 2016. 7. 17. 17:50

"삼계탕 속 대추, 먹으면 안 돼"..진실은?

                                                                      YTN | 차윤환 | 입력 2016.07.17. 15:05 | 수정 2016.07.17. 15:05

 

 

■ 차윤환 / 숭의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앵커]
오늘은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됐다는 초복입니다.

아마 오늘 보양식으로 삼계탕 드시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삼계탕을 포함해서 보양식에 대해서 조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차윤환 교수님 모셨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여름철 보양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바로 삼계탕 아닙니까?

 

[인터뷰]
맞습니다.

 

[앵커]
삼계탕이 실제 원기회복에 도움이 됩니까?

 

[인터뷰]
우리가 흔히 원기, 기력이라고 하는 것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사람이 몸으로 활동할 수 있는 힘이라고 하는데요.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엔진인 근육 그다음에 두 번째는 엔진을 움직이는 탄수화물.

그다음에 세 번째는 그걸 조종하는 미네랄인데요.

거기에 있는 단백질, 미네랄, 탄수화물들이 삼계탕 속에는

모두 다 충분히 들어 있기 때문에 원기회복 또는 기력에 좋은 식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말씀이시죠.

많은 분들이 기억을 하는데 지난 5월에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 관광객들이

한꺼번에 모여서 삼계탕을 먹었습니다.

그만큼 지금 삼계탕이 해외에 내놔도 될 만한 음식이 된 건가요?

 

[인터뷰]
실질적으로 삼계탕은 아시아권에서는 이미 굉장히 많이 알려진 식품입니다.

우리가 흔히 치맥이라고 하는 것은 한류 드라마를 통해서 중국에 들어갔지만

삼계탕은 관광이나 어떤 것을 통해서 알려졌는데요.

그 이유가 닭이라고 하는 것은 종교적인 제한이 없는 몇 안 되는 육류입니다.

두 번째는 그 안에 밥이 들어가고 찹쌀이 들어가니까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권에서는 친근감이 높고요.

그다음에 한약재가 들어가서 냄새가 좋고 또 한국의 건강식인 인삼이 들어가고

마지막으로는 고춧가루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아시아권에서는 식품적으로도 굉장히 좋고

그런 것들이 최근에 건강식으로 굉장히 각광을 받게 된 거죠.

 

[앵커]
거의 김치 만큼, 김치 이상으로 알려져 있나요?

 

[인터뷰]
지금 굉장히 많이 돼 있고요.

지금 중국으로 삼계탕의 수출길이 열리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 정도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삼계탕의 역사가 그렇게 오래되지는 않았다고 그런 얘기가 있더라고요.

 

[인터뷰]
맞습니다.

실질적으로 우리가 닭을 끓여먹는 패턴의 것은 백숙이라고 알려져 있었죠.

그런데 백숙에다 인삼을 넣었다고 해서 계삼탕으로 먼저 알려지고 있다가

실질적으로 근래에 들어와서 삼계탕으로 전환이 됩니다.

그게 왜 그러냐면 우리가 백숙 그러면 절대 한 명이 다 못 먹을 정도로 큰 닭을 잡는데

이제 60년대, 70년대 미국적인 양계산업의 시스템이 들어오면서

1kg 전후가 되는 닭들의 생산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면서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분량으로 지금의 형태로 조금 작아졌고요.

그리고 인삼의 가치가 올라가면서 삼이 앞으로 와서 삼계탕이라는 이름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앵커]
삼계탕에 보통 대추가 꼭 들어가지 않습니까?

그 대추를 먹어야 되느냐 먹지 말아야 되느냐 하는 논란이 있는데요.

어떻게 해야 됩니까?

 

[인터뷰]
당연히 먹어야죠.

그 이유가 흔히 이런 얘기를 합니다. 대추가 독을 다 빨아먹었다.

그런데 솔직히 식품 속에 독이 있으면 식품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번째는 삼계탕에 있는 기름을 대추가 다 빨아먹었기 때문에 그건 기름을 먹는 거다.

그런데 제가 실험을 해 봤습니다.

삼계탕 속에 있는 대추의 지방 함량과 삼계탕 국물에 있는 지방 함량을 비교를 해 봤더니

똑같습니다.

그러니까 빨아먹은 게 아니고 국물이 대추 속으로 들어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꼭 챙겨드시기를 오히려 권하고 싶습니다.

 

[앵커]
저도 개인적으로 궁금했는데 오늘 교수님이 확실히 정리를 해 주셨습니다.

삼계탕 속에 대추 먹어도 된다는 거죠.

 

[인터뷰]
꼭 먹어야 된다는 거죠.

 

[앵커]
꼭 먹어야 된다. 먹어도 된다고 아니고.

보통 보면 거기에 전복을 넣는다 말입니다.

전복을 넣는데 전복하고 닭하고 궁합이 맞는 건가요?

 

[인터뷰]
실질적으로 여름 보양식의 가장 핵심 중의 하나는 단백질인데요.

단백질이 한 가지 식재료가 아니라 다른 단백질과 같이 먹게 되면

단백질로서의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니까 닭이라고 하는 것도 단백질, 전복이라고 하는 것도 단백질.

두 종류의 단백질이 붙게 되니까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효과가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닭이라는 것만 갖고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데

거기에 전복까지 넣어서 먹는 것도 좋지만 그냥 닭만 먹어도 되기 때문에

그건 선택의 갈림길이라고 생각됩니다.

 

[앵커]
그리고 저희가 보통 보면 삼계탕 말고도 많이 먹는 게 치킨도 있고요.

닭볶음탕도 있는데 이런 것도 여름 보양식으로 괜찮습니까?

 

[인터뷰]
닭이 가지고 있는 영양소는 모두 다 갖고 있습니다마는

보양식으로는 삼계탕이 조금 더 적절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 이유가 보양식을 먹을 때 주로 우리가 탓하는 것 중 하나가

소화가 잘 안 되니까 탕을 끓여서 소화가 쉬운 형태로 바꿔놓거든요.

그런데 치킨이나 볶음 같은 경우는 조리 과정 중에서 수분이 없어져서

살이 좀더 퍽퍽해집니다.

그런 면에서 끓여서 살이 유들유들하게 풀어져 있는 형태의 삼계탕이

여름 보양식으로는 조금 더 적합하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앵커]
그리고 닭고기와 궁합이 맞는 음식이라고 해야 되나요?

식재료 뭐가 있는지 조금만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해 주세요.

 

[인터뷰]
실질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질문인데요.

궁합이라는 게 다양한 면에서 볼 수 있지 않습니까?

삼계탕에 있는 재료를 놓고 한 가지 생각해 보면

삼계탕에는 꼭 인삼이나 한약재들이 들어갑니다.

그 이유는 닭에 있는 비린내를 잡아주는 성질하고요.

두 번째는 그 속에 찹쌀들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건 닭에는 부족한 탄수화물을 공급하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까 낙지나 또는 전복 같은 경우에는

단백질의 가치를 올려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렇게 삼계탕에 들어가는 재료 자체가 어떻게 보면

닭고기와 궁합이 맞는 재료만 골라서 들어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저희가 보통 여름에 보면 3대 보양식이다, 몇 대 보양식이다 이런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요.

교수님이 추천하는 특별한 3대 보양식이 있다면서요. 뭐뭐입니까?

 

[인터뷰]
일단은 삼계탕이 1번으로 꼽히고요.

2번이 일단 일본 사람들이 즐겨 먹는 장어입니다.

그런데 장어도 구이가 있고 탕이 있는데 한국 사람들한테 탕이 조금 더 적합한 것 같습니다.

세 번째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이견이 왔다갔다 하는데요.

연포탕이라는 분들도 있고요. 추어탕이라는 분도 있고요.

저는 콩국수를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모든 것의 공통점이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식품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콩국수도 좋은 보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삼계탕, 장어, 연포탕이나 추어탕. 그리고 콩국수도 거기에 포함된다는 거죠.

그리고 요즘은 덜합니다만 예전 같은 경우는 삼계탕도 많이 했지만

보신탕이라는 걸 많이 먹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많이 안 먹고 있어요.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인터뷰]
일단 식생활이 바뀌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양식이라는 것이 언제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느냐면 잘 못 먹었던 시기였거든요.

그런데 상대적으로 지금은 많이 먹기 때문에 굳이 보신탕을 먹어서 보양이 된다는 효과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걸 인식했기 때문에 줄었다고 생각하고

두 번째는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육식들, 육류들은 위생적으로 도살이 되는 데 비해서

보신탕에 사용하는 고기들은 위생적이지 않습니다.

그런 것들이 피하게 된 그런 결정적인 이유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앵커]
그리고 애완견,

이른바 반려견을 많이 키우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그것도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인터뷰]
맞습니다.

그러면서 개라고 하는 것이 식품의 범주가 아니라 우리의 반려, 동반자,

이런 개념이 더 커지면서 많이 줄어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앵커]
지금 삼계탕을 중심으로 보양식 얘기를 하고 있는데

보양식을 너무 또 많이 먹으면, 모든 게 그렇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안 좋은 거 아닙니까?

 

[인터뷰]
보양식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특성이 아까 3대 보양식도 말씀드렸지만

첫 번째가 고단백, 고지방, 또는 고열량입니다.

이런 것들이 왜 필요했느냐면 과거에 농경사회 때 이제 초복이 시작된다는 것은

본격적으로 농업을 굉장히 바쁘게 일할 시기가 들어오는 시기고요.

그러다 보니까 일요일도 없지 않았습니까?

그러니까 지금 잘 먹어서 체력을 비축해 놓고 일을 시작하자는 거였죠.

 

[앵커]
한여름에 열심히 일할 수 있게.

 

[인터뷰]
그런데 지금은 농경사회도 아니고요.

또 영양도 과잉으로 먹고 있는 시기인데 이럴 때 오히려 이런 과잉의 에너지나

열량을 가지고 있는 삼계탕이나 이런 보양식들을 많이 먹게 되면

오히려 더 영양과잉이 될 수 있는 소지가 있기 때문에

양을 잘 조절하시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좀 전에 3대 보양식을 말씀을 해 주셨는데 여름에 땀도 많고 그렇지 않습니까?

본격적인 농사철도 앞두고 있는데 그것 말고 이런 음식들 괜찮다라는

평상시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이 어떤 게 있을까요?

체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인터뷰]
실제로 체력의 보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백질인데요.

우리가 단백질이라고 한다면 육류 단백질이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식물성 단백질에도 좋은 것들이 많이 있거든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여름철에 콩을 주로 한 식품들을 오히려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앵커]
그래서 콩국수를 말씀하셨군요.

 

[인터뷰]
콩국수나 두부나 두유 같은 것들을 상시에 드셔주는 것도

충분히 내 몸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이 듭니다.

 

[앵커]
콩을 주재료로 한. 또 다른 음식이 있을까요, 콩 말고.

 

[인터뷰]
콩 말고는 실질적으로 저처럼 약간 풍성한 분들은

차라리 초복, 중복, 말복 때 조금 덜 드시는 걸 권하고 싶습니다.

 

[앵커]
보양식을 너무 많이 드시지 말라는.

 

[인터뷰]
네.

 

[앵커]
저희가 보양식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나요.

 

[인터뷰]
보양식에 대한 기록은 굉장히 오래 전부터 있는데요.

조선시대 때 우리 선조들은 보양식으로

민어나 미꾸라지 같은 물고기들을 잡아서 끓여드셨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닭은 잡게 되면 달걀을 못 낳고요.

소나 돼지는 당연히 잡을 수 없고 그러니까 결국 먹을 수 있었던 것이

물 속에 살고 있는 물고기들이었던 거죠.

하지만 이제 농경사회가 정착이 되면서

아마 보양 문화는 그때부터 시작이 됐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앵커]
오늘 교수님 모시고 삼계탕 얘기 들어봤는데요. 단백질 이야기가 인상에 남고요.

콩을 재료로 한 음식을 많이 먹으라는 말씀도 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삼계탕 속 대추, 먹으면 안 돼"...진실은? 2016-07-17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