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관

복수초

기산(箕山) 2013. 3. 19. 06:07

복수초

 

녹색이라고는 도무지 찾아 볼 수 없는 이른 봄의 산자락,
군데군데 아직 덜 녹은 희끗한 눈덩이만 간간이 보이는 그런 계절이 초봄이다.

사방은 모두 갈색의 정적만이 고요히 흐르고 있는데,
저 먼 곳에서 갑자기 눈이 부시도록 샛노란 꽃 몇 송이가 눈에 번쩍 띈다.

이른 봄에 산에서 일찍 피는, 크고 둥글며 샛노란 그 꽃을 보면
그 해는 복을 받아서 무병장수하게 된다고 하여 불리게 된 꽃이 바로 복수초이다.

각종 매스컴이나 잡지를 통해 자주 등장하는 대표적인 봄꽃이 바로 복수초이기에
그냥 대충은 알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기회를 갖도록 해본다.

복수초 무리도 엄밀히 따지고 보면 세 종류로 구분이 되기에,
구체적으로 비교하면서 공부를 하도록 합시다!

* 복수초의 분류에 대한 이론은 여러 책에 꽤 다양하게 올라있는 편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구분이 되는 편이랍니다.

   기존의 도감에 나와 있는 애기복수초는 복수초를 말하는 것이고,
   가지복수초, 큰(꽃)복수초, 갈기복수초는 개복수초에 포함이 되며,
   은빛복수초는 세복수초나 개복수초 중 꽃의 색이 연한 것을 의미한답니다.
   시중에는 꽃의 색이 흰 원예종도 개량되어 나와 있더군요. *

1) 복수초(Adonis amurensis)는 꽃받침이 8개 이상이고,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큰 편이다.
    꽃이 먼저 피고 잎은 나중에 돋으며, 꽃이 있을 때 잎은 보이지 않거나 아주 작다.
    중북부 지방의 비교적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편이다.
    세복수초나 개복수초보다 꽃받침과 꽃잎의 폭이 좁고 길이가 짧으며, 수술과 꽃의 수가 적다.
    꽃받침은 8개 이상이며, 꽃은 1개이고 작으며 가지를 치지 않는다.
    강원도와 경기도 일대의 산지 및 충청도,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 자란다.
    꽃은 작고 꽃받침이 꽃받침잎보다 대체로 크며, 원줄기에 가지를 치지 않는다.
    수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2) 개복수초(Adonis pseudoamurensis)는 꽃받침이 5개이고 꽃잎보다 짧다.
    잎이 먼저 나오기 때문에 전초가 풍성해 보이며, 남부지역과 동서남해안의 해안가에 분포한다.
    꽃과 잎이 함께 나오기도 한다.
    줄기가 분지하고 5개(간혹 6개)의 꽃받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 이상의 꽃이 피는 것이 보통이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복수초 중 꽃잎과 암술, 수술이 크고 많다.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북도 등지에 분포하며,
    최근 경기도 서해안 일대의 섬지방에 대량 자라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꽃이 크고, 꽃받침잎이 꽃받침보다 크다.
    원줄기에서는 가지를 치며, 수술대가 짧다.

3) 세복수초(Adonis multiflora)는 개복수초와 비슷한데, 잎자루는 매우 짧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이 5개이고 제주도에서만 자생하기 때문에 일명 제주복수초라고도 불린다.
    가지가 갈라져서 2개 이상의 꽃을 피우며, 줄기의 속이 비어 있다.
    꽃이 필 때 잎이 가늘고 길게 자라서(=세엽) 피는 것이 특징이다. 
   
- 하늘공간/이명호 - 

 

 

 

 

[ 1. 복수초 3형제 ]

 

[ 2. 복수초 1송이 ]

 

[ 3. 복수초 접사 ]

 

[ 4. 복수초 3송이 ] - 피기 시작

 

[ 5. 복수초 3송이 측면 ]

 

[ 6. 복수초 꽃봉오리 ]

 

[ 7. 복수초 꽃봉오리 4형제 ]

 

[ 8. 복수초 무더기 ]

 

[ 9. 복수초의 측면 모습 ]

 

[ 10. 복수초의 꽃받침 ]

 

[ 11. 복수초의 피기 직전 모습 ] - 작다고 "애기복수초"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임!

 

[ 12. 복수초 ] - 애기복수초라고 잘못 기록된 개체

 

[ 13. 복수초 후반기 모습 ] - 잎이 많이 자랐고, 꽃받침이 상해 있음.

 

[ 14. 복수초 군락 ]

 

[ 15. 복수초 1송이 눈속 모습 ]

 

[ 16. 복수초 2송이 눈속 모습 ]

 

[ 17. 개복수초 2송이 ]

 

[ 18. 개복수초 4송이 ]

 

[ 19. 개복수초 꽃받침 관찰 ]

 

[ 20. 개복수초 꽃받침 6개 ]

 

[ 21. 개복수초 꽃봉오리 ]

 

[ 22. 개복수초의 꽃 ]

 

[ 23. 개복수초 접사 ] - 꽃이 크다고 해서 "큰복수초"는 틀린 말임!

 

[ 24. 개복수초 초접사 ]

 

[ 25. 개복수초 ] - 꽃받침 관찰

 

[ 26. 개복수초 ] ==> "가지복수초"라고도 불림.

 

[ 27. 개복수초 큰포기 ]

 

[ 28. 개복수초 군락 ]

 

[ 29. 개복수초 대군락 ]

 

[ 30. 개복수초 ] - 숲속의 모습

 

[ 31. 개복수초 눈속 풍경 ]

 

[ 32. 개복수초 눈속 풍경 ]

 

[ 33. 개복수초 눈속 풍경 ]

 

[ 34. 개복수초 풍경 ]

 

[ 35. 개복수초 풍경 ]

 

[ 36. 개복수초 봉오리 ]

 

[ 37. 개복수초 자주색 ] - 꽃잎 외부 모습

 

[ 38. 개복수초 열매 ]

 

[ 39. 개복수초 열매 접사 ]

 

[ 40. 은빛복수초 2송이 ] ==> 개복수초

 

[ 41. 은빛복수초 좌측 ] ==> 개복수초

 

[ 42. 은빛복수초 우측 ] ==> 개복수초

 

[ 43. 은빛복수초 접사 ] ==> 개복수초

 

[ 44. 갈기복수초 ] ==> 개복수초

 

[ 45. 갈기복수초 접사 ]

 

[ 46. 갈기복수초 접사 ]

 

[ 47. 세복수초 ] ==> 제주복수초라고도 불림.

 

[ 48. 세복수초 측면 모습 ]

 

[ 49. 세복수초 근접 ]

 

[ 50. 세복수초 접사 ]

 

[ 51. 세복수초 풍경 사진 ]

 

[ 52. 세복수초 풍경 사진 ]

 

[ 53. 세복수초 열매 ]

 

[ 54. 세복수초 눈속 모습 ] - 필름사진 스캔한 것임.

 

[ 55. 복수초 흰색 ]

 

[ 56. 복수초 흰색 접사 ]

 

[ 57. 복수초 흰색 측면 ]